메뉴 건너뛰기

close

▲ 초청강연(이면우 교수님)
ⓒ 강민구

@BRI@지난 1월 31일부터 2월 1일까지 전남 영광에 위치한 성지송학중학교에서 원불교 산하 대안학교들의 합동연수가 있었다. 원불교에는 영산성지고를 비롯해 경주화랑고, 합천원경고, 헌산중, 지평선중, 성지송학중, 한겨레 중·고등학교가 있다.

매년 1회 학교별로 연수를 주최하며 그 횟수가 올해 10회를 맞이했다. 대안학교들은 그 성격상 더 많은 노력과 열정이 있어야 하기에 서로를 격려하고 발전하고자 이러한 모임의 필요성을 느끼고 시작했다. 연수 성격은 매년 조금씩 변화 발전해왔다.

올해는 여느 해와 달리 선생님들의 화합과 친목에 그 목적을 두고 미래의 대안을 준비하고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대안학교의 정보와 능력을 결집하고자 결성한 대안교육연구소 ‘인농(人農)’의 총회를 겸했다.

▲ 즐거운 레크레이션 시간
ⓒ 강민구
첫날은 이면우 교수님(서울대학교)으로부터 대안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대신 우리 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해 고민하는 강연을 시작으로 모든 선생님들이 참가하는 레크리에이션으로 친목을 도모했다.

▲ 테마강좌(춤 명상)
ⓒ 강민구
둘째날이 되자 이제는 서로의 얼굴을 익혔는지 인사를 하는 모습이 한결 친근해 보였다. 오전에는 테마강좌로 자신이 신청한 한 강좌를 수강함하는 시간. 춤과 명상, 웃음치료, 음악치료, 다도예절, 마임 등 평소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분야를 마련하였다. 오후에는 가까운 해룡고 실내체육관에서 모든 선생님들이 체육대회를 진행했다.

저녁에는 대안교육연구소 ‘인농(人農)’의 보고회가 있었다. 이 자리에서 대안학교의 선두주자인 우리가 뜻을 모아 연구소 활동을 좀더 적극적으로 모색하기로 합의하고 매월 회비를 자진 납부하여 대안교육에서 우리나라 교육 발전에 이바지 할 것을 다짐하였다. 이어서 연수기간동안 선생님들의 모습을 담은 짧은 동영상에서 자신의 재밌는 모습을 보며 둘째날 일정을 마무리했다.

▲ 함께하는 체육대회
ⓒ 강민구
마지막 날은 원불교 교단의 최고 지도자인 종법사님께 간단히 학교별 현황을 보고하고, 종법사님의 큰 말씀을 통해 가르침을 받았다. 이렇게 일정을 마무리하고 각자 학교로 돌아갔다. 내년에는 용인에 위치한 헌산중학교에서 열한번째 만남이 이뤄진다.

▲ 인농 보고회
ⓒ 강민구

원불교란?
소태산 대종사

원불교의 교조이신 소태산 대종사(少太山 大宗師)는 1891년 5월 5일 전남 영광에서 평범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7세시부터 자연현상과 인생에 대하여 특별한 의문을 품으시고, 스스로 도(道)에 발심하시어 20여년간 구도고행을 계속하사 마침내 1916년 4월 28일, 큰 깨달음(大覺)을 이루시었습니다.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후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표어를 주창하고 먼저 미신타파, 문맹퇴치, 저축조합 운동을 통해 혼란한 시국속에 희미해가는 민족의 혼을 일깨우고, 땅에 떨어진 인륜의 정신을 바로 세우고자 하셨습니다.

새회상 창립의 경제적 기초를 세운 2만 6천 여평의 정관평 방언공사, 인류구원을 위한 혈성(血誠)의 기도로 법계의 인증을 받은 법인성사, 법신불 일원상을 최고의 종지(宗旨)로 삼아 교리와 제도를 제정한 봉래제법, 교화, 교육, 자선의 중심지 익산 총부 건설 등 소태산 대종사의 제세경륜(濟世經綸)은 인류의 빛이요, 거룩한 주세 성자의 생애였습니다.

성은 박(朴)씨이며 이름은 중빈(重彬), 호는 소태산(少太山), 원기 28년(1943) 6월 1일, 53세로 열반하셨습니다. / 원불교 홈페이지

덧붙이는 글 | 원불교 신문 송고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특성화중학교(대안학교)에서 일어나는 교육을 누구보다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작은 학교지만 어느학교보다 내실있는 프로그램을 얘기하고 자랑하고 싶어서 가입했습니다. 글은 학교와 교육 그리고 환경에 관한 글을 쓰고 싶습니다. 물론 능력이 된다면 더 많은 분야에도 다양하게 넓혀가고싶은 욕심도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