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에서 열린 '6.25전쟁 유엔참전국 주한대사 초청 정책설명회'에서 참석한 대사 등과 인사하고 있다. 2024.4.5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에서 열린 '6.25전쟁 유엔참전국 주한대사 초청 정책설명회'에서 참석한 대사 등과 인사하고 있다. 2024.4.5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5일 "북한의 군사적 도발과 핵 무력 증강에 대비해 한국 정부는 한미동맹 및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를 통해 '더 두텁고 더 높은 억제체제'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남북관계관리단 회담장에서 열린 6·25전쟁 유엔참전국 21개국 주한대사 대상 정책설명회 인사말을 통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올바른 변화를 견인하기 위해 유엔참전국 및 유엔사 회원국과의 협력도 확대해 나가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 장관은 "북한은 작년 연말 이래 이른바 '2국가론'을 표명하면서 대한민국에 대한 '통일 흔적 지우기'와 핵 위협 등 적대적 공세를 지속하는 반통일, 반역사적 행태를 일삼고 있다"면서 "독재 체제의 생존만을 도모하기 위한 시대착오적인 모습을 계속해서 드러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장관은 특히 북한인권 문제를 국제사회에 적극적으로 제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북한인권 증진이 북한문제 해결과 통일로 이어진다는 담론을 확산하고 북한인권 문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인권 문제에 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올해 <2024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하고, '북한인권 국제대화'도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도 지속적으로 부각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이런 노력이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한 실효적 책임 규명, 북한 주민 인권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엔 참전국들의 관심과 협력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참가한 주한대사들에게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를 잊지 않겠다는 의미를 담은 물망초 배지를 전달했다.

통일부는 이날 행사와 관련해 "북한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규정하고 '통일흔적 지우기'를 지속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자유를 함께 수호했던 6.25전쟁 유엔 참전국 주한대사들과 한국 정부의 자유평화통일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나누기 위해 마련되었다"고 설명했다.  

태그:#김영호, #북한인권, #유엔참전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