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남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 보령행동 등은 1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선 후보들에게 SMR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충남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 보령행동 등은 1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선 후보들에게 SMR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 이재환

관련사진보기

 
총선을 앞두고 소형원자력발전소(SMR) 건설 관련 논쟁이 점화되고 있다.

석탄화력 발전소 59기 중 29기가 밀집된 충남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소형핵발전소를 짓는 계획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충남지역 환경단체들은 최근 총선을 앞두고 지역에 출마한 후보들에게 SMR에 대한 입장을 묻고 있다.

이런 가운데 충남환경운동연합, 기후위기보령행동, 충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충남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1일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에서 최소 3기 이상의 신규원전 건설계획을 반영할 예정"이라며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SMR이 들어간다는 언론보도가 있는데, 즉각 중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충남지역 총선 후보들에게 SMR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석탄화력발전 폐쇄 부지에 SMR을 건설하는 문제는 여야, 진보와 보수, 좌우 등 정치적 이념을 초월해 모두가 공동으로 나서야 할 중요한 현안"이라며 "석탄발전 소재 지역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은 SMR 건설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충남은 지난 40년간 수도권의 안락한 전기사용을 위해 굴뚝에서 내뿜는 미세먼지와 비산먼지 등 대기오염, 온배수, 토양 오염, 초고압 송전철탑 등으로 인한 피해와 고통을 감내해왔다"라며 "더 이상 특정 지역의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불공정하고 비상식적인 에너지정책이 지속되어서 안 된다"라고 비판했다.

황성열 충남환경운동연합 상임대표는 "올해 11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이 발표될 예정이다. 선거를 앞두고 민감한 의제가 있어서 선거 이후로 발표를 미룬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이어 "충남이 가장 염려하는 것은 SMR이다. 정부는 최근 지속적으로 관련 내용을 언급해 왔다. 지역은 에너지 수급에 있어서 식민지와도 같았다"라며 "윤석열 정부는 핵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관련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SMR은 핵에 대한 위험성, 경제성 부족, 석탄 발전소 폐쇄에 따른 지역 주민들의 소외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권이 나서야 하는데,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김미선 충남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충남환경운동연합) 실무자이기에 앞서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이다"라며 "원자력 발전소는 이미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그 위험성을 알고 있다. 제대로 된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도 없다. 핵발전소는 대책없이 짓는다고 문제가 해결될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22년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가 SMR을 충남 당진 등 기존 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던 지역에 지으면 된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됐다. 이어 2023년 내포에서 열린 지역간담회장에서 오정근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지역공약 이행지원 특별위원장은 충남 석탄화력 폐쇄 지역에 SMR을 건설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태그:#소형핵발전소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유주의자. 개인주의자. 이성애자. 윤회론자. 사색가. 타고난 반골. 충남 예산, 홍성, 당진, 아산, 보령 등을 주로 취재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