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올라와 있는 '위험음주, 알려드리겠습니다'의 내용 중 일부.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올라와 있는 '위험음주, 알려드리겠습니다'의 내용 중 일부.
ⓒ 질병관리청

관련사진보기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들의 음주행태가 남성이 여성보다 여전히 높은 음주율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갈수록 남성은 감소, 여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연령대별 음주율은 남성 40~50대, 여성 20~30대가 높았다. 그리고 담배와 주류 둘 다 사용자, 홍조증 경험자,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 등 취약집단에서 위험 음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나 음주행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아래 질병청)은 30일 발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에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해 만19세 이상 성인의 음주행태에 대한 최근 10년(2012~2021년) 간 추이 변화, 취약집단의 음주행태 및 관련 요인 등의 심층분석 결과를 수록했다.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 질병관리청

관련사진보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행태는 최근 10년 간 큰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지표별 추이 변화를 보면,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1회 음주량 남성 7잔, 여성 5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신 분율)은 남성이 2012년 25.1% → 2021년 23.6%로 감소한 반면 여성이 2012년 7.9% → 2021년 8.9%로 증가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성 7잔, 여성 5잔 이상을 월 1회 이상 마신 분율을 나타내는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의 경우 남성은 유의하게 감소(2012년 61.7%→2021년 56.0%)했으나 여성(2012년 31.0%→2021년 31.1%)은 큰 변화가 없었고, 연령별로는 남성 40~50대, 여성 20~30대에서 높았다.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5잔, 여자는 3잔 이상을 주 4회 이상 마신 분율인 '지속적 위험음주율'도 남성 10%, 여성 3% 내외로 연도별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남성의 경우 50~60대, 여성은 30대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취약집단의 음주행태를 보면, 담배 및 주류 둘 다 사용자(현재 흡연하면서 월간 음주) 비율은 최근 10년 간 감소 추세였다. 남성의 경우 2012년 36.2%에서 2021년 28.1%로 줄었다. 그러나 담배 및 주류 둘 다 고위험사용자(매일 흡연하면서 고위험 음주)의 경우 최근 10년 간 큰 변화 없이 남성 10명 중 1명(2021년 10.6%)으로 나타났다.

소량의 음주로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2021년 남성 38.9%, 여성 36.4%)이었다. 그 중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는 남성 14.0%, 여성 4.3%로 남자가 여자보다 3배 정도 더 높았다. 참고로, 알코올 홍조증은 알코올 분해효소가 부족해 생기는 증상으로, 이런 증상을 가진 사람이 지속적으로 고위험음주 시 식도암 등 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만30세 이상,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천식 치료약을 1개 이상 복용)의 고위험음주율도 남성 20.4%, 여성 9.0%로 남성이 높았다.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
ⓒ 질병관리청

관련사진보기

 
이외에도 음주행태 관련 요인으로는 여성보다 남성(고위험음주 3.04배, 월간폭음 3.58배, 지속적 위험음주 5.07배), 70대 이상에 비해 낮은 연령(40대에서 고위험음주 2.44배, 월간폭음 2.85배, 지속적 위험음주 1.52배)에서 음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또 건강행동 실천 점수가 낮을수록(고위험음주 33.62배, 월간폭음 3.12배, 지속적 위험음주 8.33배) 음주할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번 심층분석 연구를 수행한 김광기 인제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음주에 관대한 문화적 특성이 있다"면서 "특히 20~30대 여자 음주율이 높은 것은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 주류상품 개발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도 높아진 영향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주류 소비 및 음주폐해 감소를 위해서는 대국민 음주가이드라인 개발, 음주 경고문구 강화와 주류광고 및 마케팅 규제, 장소‧시간적 음주 제한 등 주류이용가능성 제한 정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면서 "음주 취약집단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등 보건의료서비스 강화와 개인이 음주 위험성을 인지하고 자율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는 등 음주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음주행태 개선을 위해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음주조장 환경을 개선하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면서 "우리 청은 음주행태 감시와 근거 강화를 위한 국가건강조사를 지속하고 음주조장 환경 개선과 취약집단별 맞춤형 예방 정책 지원 등 음주폐해 감소 및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관계부처 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태그:#질병관리청, #음주행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