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기자말]
 
함양민간인희생자유족 이동섭씨
 함양민간인희생자유족 이동섭씨
ⓒ 주간함양

관련사진보기

 
1949년 9월, 당시 경남 함양 안의면 상원리 유동마을 이장이 빨치산으로 주민들의 도장을 도용해 보도연맹에 임의로 가입원서를 작성했다. 이장 체포 당시 그 명단이 수첩에 적혀 있어 국군이 무고한 마을 사람들을 빨치산으로 오인하여 안의면 상원리 탁현마을 주민 19명이 체포, 함양군 유림면 매촌마을 뒷산에 끌려가 집단 학살당했다.

함양양민희생자유족 이동섭씨

"죄라면 산 밑에 사는 것이 죄라. 남매만 바라보며 한 많은 세상 산 어머니, 공부를 못한 게 지금도 한이다."

음력으로 8월 초삼일, 이른 아침 부모님은 선산에 벌초하러 갈 채비를 하고 있었고 초등학교 입학한 지 5개월 가량 된 이동섭씨는 책가방이 없어 보따리에 책을 싸며 등교 준비를 하고 있었다.

"1949년도, 나이가 어려서 양력은 암기를 못 하고 음력으로 8월초삼일, 8월 3일 아침밥을 먹고 매년 선산에 벌초를 하려고 부모님이 낫을 갈고 준비하고 있을 적에 마을에 반장님을 통해서 군경 순사와 군인이 와서 동회한다고 마을 사람들을 모이라 했어요."

그중 15세 미만 60세 이상은 빠지게 하고 나머지 15명은 영문도 모르고 포승줄에 묶여 잡혀갔다. 안의초등학교에서 하룻밤 자고 함양초등학교에서 이튿날 자고 4일 만에 함양 당그래 산에서 전부 총살당했다.

"50년에 6.25가 터졌으니까 49년은 그런 세월이었어요. 좌익이니 우익이니 할 적에 딴 죄는 아무것도 없고 산 밑에 산다는 것. 내 주소 본적지가 안의면 상원리 698번지입니다. 상원리 용추 절에 가다 보면 물삼거리 매산쏘 있는 곳 좌측으로 탁현이라는 마을이 있어요.

한 20호 살았어요. 낮으로 순사나 군경들이 와서 일하라 하면 일해야 되고 밤으로 빨치산이 내려와서 밥 해 달라 하면 살기 위해서 밥 해줘야 되고... 어쩌겠어요 산 밑에 사니께. 산 밑에 사는 죄. 보도연맹에 가입을 한 것도 없고, 아무것도 없어요."


이동섭씨의 아버지는 6남매로, 셋째 큰아버지도 같은 날 희생됐다. 마을에서는 한 집에 세 명, 한 집안에 예닐곱 명이 희생되고도 했다. 그 속엔 부자지간도 있었다고 한다.

하루아침에 아버지가 끌려가 총살당했다는 얘기를 들었어도 시신을 찾으러 갈 수 없었다.

"그때 뼈라도 찾아오려고 했는데 우리는 어리지, 어머니는 젊지. 여자들끼리 가서 발굴하겠나요. 우리가 커서 유골을 발굴하려고 애를 쓰니 이미 쓰레기장이 들어서고 흔적이 없어져 버렸어요."

스물아홉에 혼자가 된 어머니는 이동섭씨와 여섯 살 아래 그의 여동생만 바라보며 한 평생을 살다가 92세에 생을 마감했다.

"산에 가서 나물을 캐 오면 20리 넘는 함양장 거창장에 이고 가서 팔고, 집에 올 적에 국수 한 그릇을 안 잡수시고 오신 분이에요, 자식들 살리려고."

어머니는 두 남매만 바라보며 한 많은 세상을 사셨다.

이동섭씨 또한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학교를 그만두게 된다. 어머니를 따라 다니며 시키면 시키는 대로 남의 집 밭을 매고, 논을 매고, 나무를 해 왔다. 새벽4시부터 나무를 해 와 20리가량 되는 길을 하루 두 번 왔다 갔다 하며 나무를 팔았다.

"먹고살기 바쁜데 배움이 있나요 그냥 그길로 졸업이라요. 학교고 뭣이고 입학하자마자 졸업이지요."

이동섭씨는 책가방 들고 중학교, 고등학교 모자 쓰고 학교 가는 학생을 보면 눈물이 나서 쳐다보지를 않았다고 했다. 배운 게 없으니 농사만 지어야 했고 동생 또한 학교를 다니지 못해 문맹자가 돼버렸다. 아버지의 부재가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컸다.

"생각하기도 싫어요. 아버지가 살아계셨다면 고등학교는 갔을텐데... 그랬다면 지금 내 손이 이런 손은 아니었겠죠."

이동섭씨는 열세 번의 이사로 산 밑의 고향집을 벗어나 지금은 안의면 소재지에서 살고 있다.

공부가 하고 싶어서 지금도 여가가 있으면 책을 본다. 공부를 못한 게 지금도 한이다. 암울한 세월을 살았다며 한숨짓는 이동섭씨는 그때를 상상하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

같은 안의면에 살아도 산골짜기 마을 소식을 사람들은 잘 몰랐다. 이동섭씨는 5남매를 두었지만 자식들에게도 이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나도 생각하기도 싫고 떠올리고 해야 좋을 것 없고 해서 일절 그런 얘기 안 합니다. 아휴 참..."

진실규명을 통해 명예는 회복됐으나 시효가 지나 정부로부터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다.

"진짜 빨갱이는 전역하여 경찰로 댕기며 빨갱이를 잡으러 다녔지요. 빨갱이가 빨갱이 잡으러 다니다가 총 맞아 죽으면 그래도 그 가족은 대학도 무료로 공부하고. 우리 눈에 보인 그런 사람들이 여럿이었어요. 아무것도 모르고 빨갱이 짓 안 하고 산 사람들은 아까운 목숨 다 가져다 죽이고 실제 빨갱이 짓 하던 사람들은 그 뒤에 자식들꺼정 잘 살고."

그때는 캄캄한 그믐날 밤 같은 세상이었다.

*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의 외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유족

■ 이름 : 이동섭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아들
■ 생년월일 : 1942년 5월28일 / 만 81세
■ 성별 : 남
■ 주소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읍삼동길 40
■ 직업 / 경력 : 목수

희생자

■ 이름 : 이이업
■ 생년월일 : 1910년 2월 5일
■ 사망일시 : 당시 39세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698
■ 직업 / 경력 : 농업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함양민간인희생자 유족의 기억을 기록하다 ⑧, #이동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