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종보 수문개방 이후 변화된 모습. 수문 개방 전에 녹조가 창궐하고 시궁창 펄이 쌓였던 곳에 수풀이 자라고 모래톱이 형성됐다.
 세종보 수문개방 이후 변화된 모습. 수문 개방 전에 녹조가 창궐하고 시궁창 펄이 쌓였던 곳에 수풀이 자라고 모래톱이 형성됐다.
ⓒ 김병기

관련사진보기

 
최근 최민호 세종시장이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만나 세봉보 상시개방이후 퇴적지 확대로 생태건강성 악화를 주장했다. 보수위와 수량회복, 물위기 상황을 대비하기위해 세종보 탄력운영 하자는 건의도 했다.

세종보 상류의 퇴적은 수문만 개방하고 고정보를 철거하지 않은 것때문이다. 퇴적층자체는 하천이면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모습의 일부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단순 퇴적층 때문에 수문을 닫자고 하는 이유는 납득할 수 없다. 퇴적층이 있어야 생명들이 더 다양하게 살 수 있는 점을 환경부와 세종시가 간과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지구과학시간에 배우는 퇴적, 운반, 침식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기본이다.

환경부와 세종시 야합으로 철거가 결정된 세종보를 다시 사용한다면, 역사와 환경을 스스로 후퇴시키는 결과다. 세종보의 철거는 비용편익분석(BC)분석결과 2.9로 매우 높게 나왔다. 1 이상이면 이익이라는 것인데 이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이다. 분석과정에서 환경성, 친수, 이수 등의 모든 것을 고려한 수치다. 과학적이라는 말은 이런 분석에서 나오는 것이다. 허망한 말 뿐 인이 환경부와 세종시의 야합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수문이 닫혀 있을 때를 우리는 명확하게 기억한다. 녹조라떼와 썩은 오니를 우리는 만나왔다. 4급수에서 사는 붉은깔따구와 실지렁이가 창궐하고 이름도 생경한 큰빗이끼벌레를 창궐했다.

더욱이 세종보는 금강본류에 설치하기 적절하지 않은 공법으로 조성되면서, 매년 고장이 나면서 고물 취급을 받기도 했다. 매년 고장나면서 세금을 들여 고치는 세종보의 모습을 다시 볼 필요가 없다. 세종보는 해체가 답이다.

수문이 개방되면서 돌아온 멸종위기종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멸종위기종인 흰수마자와 미호종개가 돌아오면서 금강의 회복을 확인했다. 다시 회복되는 금강을 다시 펄밭과 녹조라떼를 만들겠다는 세종시장을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 펄밭과 녹조밭이 아니라 우리는 생명을 원한다.

 

태그:#보 활용론, #생명을 죽이는일, #대전환경운동연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