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7일 오후 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을 촉구하는 가상 기공식이 열리고 있다.
 27일 오후 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을 촉구하는 가상 기공식이 열리고 있다.
ⓒ 김재우

관련사진보기

 
부산·경남의 미래세대들이 가덕신공항의 조기 개항을 기원하는 행사를 열었다.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이사장 이지후, 이하 시민공감)'이 준비한 이날 행사는 가덕신공항의 조기개항을 촉구하는 '시민 가상 착공식' 및 2030엑스포 유치를 염원하는 범시민 희망떡 기원행사로 시작됐다. 

이지후 시민공감 이사장은 "가덕신공항은 단순 지역공항의 수준을 넘어 국가균형발전과 지역발전에 기여 할 백년지대계로서 2030엑스포 전 개항을 앞당기는 것이 최대 관건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2030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해서 가덕신공항 조기개항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면서 "정부는 가덕신공항 건설을 위한 사업비 지원을 원활히 추진할 것과 부산시와 국토부는 소멸해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6차공항개발계획안'에 명시된 '지역기업사업 우선참여'의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덕신공항은 인천공항 유사 시 대체공항의 기능과 물류허브공항의 기능으로서도 반드시 조기개항 해야 한다"라며 "800만 부·울·경 시도민의 염원과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가덕신공항 건설과 2030엑스포 유치가 실현될 수 있도록 정부 각 부처, 그리고 부산시와 여야 정치권, 대한민국 국민들께서 모두 한목소리를 내어주실 것을 호소한다"라고 말했다.
  
27일 오후 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초등학생들이 가덕신공항 가상 기공식에서 첫 삽을 뜨고 있다.
 27일 오후 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초등학생들이 가덕신공항 가상 기공식에서 첫 삽을 뜨고 있다.
ⓒ 김재우

관련사진보기

 
시민착공식에선 어린이들의 가덕신공항 첫 삽 뜨기, 참가자 전원의 종이 비행기 날리기 퍼포먼스 등이 펼쳐졌으며 참가자들은 희망떡 나누기, 가덕신공항 기원 마스크 1천개 시민 나눔을 통해 가덕신공항 조기 착공에 관한 시민 여론을 확산 시켰다.
 
27일 오후 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이 주최하는 가덕신공항 조기착공 촉구대회 및 2030 세계박람회 유치 기원행사가 열렸다.
 27일 오후 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이 주최하는 가덕신공항 조기착공 촉구대회 및 2030 세계박람회 유치 기원행사가 열렸다.
ⓒ 김재우

관련사진보기

 
창원 동산초등학교 이찬유 학생은 "가덕신공항이 생기고 2030엑스포가 부산에 유치되면 많은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돈을 쓴다고 합니다. 그러면 우리 부울경과 대한민국이 엄청난 부자 나라가 되고 고향을 떠난 형과 누나들이 함께 살 수 있지 않을 까요? 어서 빨리 가덕신공항이 개항되어 비행기가 날았으면 좋겠습니다"라고 호소했다.    

한편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지난 24일 전체회의를 열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 등의 법안을 가결했다. 개정안은 신속한 보상 추진을 위해 기본계획 수립 완료 후 곧바로 토지나 건물 등을 수용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사업 인정'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내용이다.

통상 공항 건설 보상은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가 마무리된 이후에 진행된다. 그러나 가덕신공항의 경우 토지·어업권 보상에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돼 기존 절차대로 사업이 진행될 경우 2029년 개항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개정안이 국회에서 처리되면 가덕신공항 보상 절차가 조기에 개시돼 개항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태그:#가덕신공항 조기개항, #다음세대들의 가상착공식,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을 기록하고 찰나를 찍습니다. 사단법인 한국지역연구원 연구위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