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이 벌이는 국민동의청원에 6월 2일 현재 6만명 이상이 참여했다.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이 벌이는 국민동의청원에 6월 2일 현재 6만명 이상이 참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

여성, 장애인, 성소수자, 이주민 등 시민들이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해 나섰다. 경남지역 관련 단체들은 2일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국민동의청원' 참여를 호소했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입법청원은 지난 5월 24일부터 시작됐고, 6월 23일까지 10만명이 참여해야 성사된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10만행동'은 2일 현재 6만명 이상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경희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 마산창원진해시민모임 대표는 "얼마 전 군인이 성전환했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다가, 공군 중사는 상사한테 성희롱을 당하다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부대와 국가는 그들에게 아무런 보호를 해주지 않았다. 우리 사회가 죽인 것"이라며 "여성, 장애인, 이주민, 성소수자 등에 대한 차별이 여전한데, 우리나라를 민주공화국 내지 인권국가라 말할 수 있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차별금지법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 지 십수년이 흘렀다. 여러 차례 국회에서 시도가 되었지만, 복음을 전도하는 기독교인들이 반대하고 표를 의식한 정치인들이 굴복해서 무산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의원 180석을 가진 민주당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기독교는 포괄적 차별금지법 반대를 위해 천만 서명을 받는다고 한다. 우리는 10만 명 서명을 위해 나섰는데, 10만 명이 아니라 340만 경남도민 가운데 적어도 100만 명 이상이 참여할 수 있도록 나서자"고 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박희한 김해서부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하연주 밀양장애인인권센터 소장, 윤소영 경남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 박세은 경남퀴어문화축제조직위 집행위원, 유경종 민주노총 경남본부 부본부장, 김기창 양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팀장 등이 참석해 발언했다.

차별금지법제정경남시민행동은 "국가인권위원회가 처음 차별금지법 제정을 권고한지 15년이 지났지만 아직 이 땅에 차별금지법은 없다"며 "정부는 그저 손놓고 법 제정을 방치해 왔던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2021년, 우리는 이제 차별금지법을 제정하기 이해 10만 행동을 진행하고 있다"며 "10만 행동으로 국회 국민동의청원을 넘어 법 제정까지 굳건히 나아갈 것"이라고 했다.

차별금지법제정경남시민행동은 '선언문'을 통해 "모든 사람은 존엄하며 자유롭고 평등하다. 우리는 성별, 장애, 나이, 언어, 출신국가, 출신민족, 인종, 국적, 피부색, 출신지역, 외모, 혼인여부, 임신 또는 출산, 가족형태, 종교,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전과, 성적지향, 성별정체성, 학력, 고용형태, 병력 또는 건강상태, 사회적 신분 등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다. 모두의 존엄과 평등을 위해 우리는 요구한다.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은 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은 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은 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은 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은 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차별금지법 제정 10만 행동"은 2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앞에서 "평등의 약속, 차별금지법 지금 당장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태그:#차별금지법, #차별금지법제정경남시민행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