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여성의 고생을 통해 유지되던 전통은 옳은 것일까? 이제 한국의 명절 풍경도 바뀔 때가 됐다.
 여성의 고생을 통해 유지되던 전통은 옳은 것일까? 이제 한국의 명절 풍경도 바뀔 때가 됐다.
ⓒ 구창웅 제공

관련사진보기

다시 설날이 코앞이다. 이제는 세뱃돈을 받는 게 아닌 줘야 할 처지고 설빔을 얻어 입을 나이도 지났지만, 어쨌건 오래 보지 못한 피붙이를 만나는 명절은 즐겁다.

이 '즐거움'이 남녀 모두에게 평등해야 할 것임은 불문가지(不問可知). 그러나 20~30년 전만 해도 그렇지 못했다. 설과 추석을 포함한 명절에 느끼는 즐거움이란 대부분 남자들만의 것이었다는 게 부정하기 힘든 사실.

새벽시장에서 고른 생선을 굽고, 정성스레 밥을 안치고, 산적을 꿰고, 국과 나물을 준비하는 부엌일은 모조리 할머니와 어머니, 여동생과 누이의 몫이었다. 전날 저녁부터 설 아침까지 며느리들은 넋 잃은 사람인 양 일에만 매달렸다.

탕국 간이 짜거나, 데친 나물이 시아버지 입맛에 맞지 않을 때마다 떨어지는 시어머니의 불호령에 행동거지 하나하나가 조심스러웠다. 몸만이 아닌 마음까지 힘들었을 게 분명하다.

그러면 그때 남자들은 뭘 했을까. 주방을 바삐 오가는 여자들의 발걸음을 본체만체 전복구이나 명태전을 안주 삼아 술을 마셨다. TV 뉴스를 보며 "정치는 엉망이고, 경제 또한 걱정이다"는 뻔한 이야기나 주고받았다.

설 제사가 끝난 뒤에도 마찬가지 풍경. 여자들의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끝없이 밀려드는 설거지와 수차례 거듭되는 손님상 차리기. 그 시간 남자들은 느긋하게 음복술을 마시며 기분 좋은 취기에 젖어갔고.

명절에 사용될 모든 음식을 준비하고도 "여자들은 제사상에서 멀찌감치 물러나 있으라"는 말에 부엌에 쪼그리고 있던 어머니와 숙모들 모습이 어제 본 것처럼 선명하다.

남자들이 식사를 마친 다음에야 식은 밥과 나물로 비빔밥을 만들어 허기를 끄던 여자들. 한 세대 전 여성들에게 설이란 대체 뭐였을까. 허리가 부러지도록 고생하는 날? 남자 수발드는 것으로 일관하는 날? 바뀐 잠자리의 불편을 견뎌야 하는 날?

굳이 페미니즘을 소환하지 않더라도 불공평하고 불평등하며 불합리한 관행이 분명하다. 귀족과 농노, 압제자와 민중 사이에 존재했던 억압적 지배와 비자발적 복종이라는 시스템이 남성과 여성 사이에 엄존했던 시대. 그것이 여실하게 드러났던 지난날 명절 풍경. 우리는 그 시간을 지나오며 새로운 시대를 모색했다.

수고스러움을 나누는 명절이 되길
 
설 연휴를 일주일 앞둔 27일 서울 종로구 예지동 광장시장에서 시민들이 제수용품 등을 구매하기 위해 상점을 둘러보고 있다.
 설 연휴를 일주일 앞둔 27일 서울 종로구 예지동 광장시장에서 시민들이 제수용품 등을 구매하기 위해 상점을 둘러보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누가 뭐래도 평등이란 귀한 가치다. 성별의 차이가 평등을 무너뜨리는 이유가 돼서는 곤란하다. "명절 준비는 누구누구의 몫"이라는 낡은 레토릭으로 굴종을 강요할 권리는 남성에게도 없고, 여성에게도 없다.

평등과 공정이란 가치의 구현은 거창한 것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남녀 모두가 즐거운 명절을 위해 남자와 여자가 함께 수고스러움을 나누겠다는 합리적 결심을 하는 것 또한 '평등한 세상, 공정한 사회'로 가는 길의 디딤돌이 되지 않을까?

봉건 군주건, 조선 양반이건, 독재권력이건 지배자의 필요에 의해 불합리하게 유지돼 온 억압의 구조와 부당한 질서에 대한 거부 없이는 역사 발전도 없다. 인류가 지난하고 긴 투쟁을 통해 쟁취해 가고 있는 성평등의 역사도 마찬가지가 아닐지.

시간은 흐르고 역사는 변화 속에서 발전했다. 200년 전을 살았던 독일 철학자의 말은 틀리지 않았다. 이젠 남존여비(男尊女卑)와 여필종부(女必從夫)를 대놓고 말하는 이들은 드물어졌다. 앞으론 그 숫자가 더 적어질 것이 분명하다. 이것은 '발전하는 역사'인 동시에 재론의 여지없이 바람직한 일이다.

이런 상상을 해 본다. 남동생이 누나와 함께 부침개를 굽고, 오빠와 여동생이 사이좋게 제사상을 차리며, 아버지와 숙부가 서툴지만 소매를 걷고 설거지를 하는 명절. 허리를 펴고 고개를 든 할머니와 어머니, 며느리의 환한 웃음이 마당과 마루 가득 넘치는 명절.

사실 우리 모두는 그런 설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남녀를 불문하고.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경북매일신문>에 게재된 것을 일부 보완한 것입니다.


태그:#설, #명절, #남녀평등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버지꽃> <한국문학을 인터뷰하다> <내겐 너무 이쁜 그녀> <처음 흔들렸다> <안철수냐 문재인이냐>(공저) <서라벌 꽃비 내리던 날> <신라 여자> <아름다운 서약 풍류도와 화랑> <천년왕국 신라 서라벌의 보물들>등의 저자. 경북매일 특집기획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