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하천에 물길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강바닥은 돌을 깬 사석들을 다져놓았고, 한쪽은 거대한 콘크리트 제방이 놓였다. 이곳이 맑은 물이 흐르던 계곡 형태의 하천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는 모습이었다.

간혹 고여 있는 물웅덩이엔 물고기 한 마리 없었고, 그 어떤 생명체의 모습도 눈에 띄지 않는다. 하천이 아니라 공사판 그 자체의 모습만 있을 뿐이었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지난 11일 대구 달성군 천내천 상류에서 확인한 모습이다. 그러나 이곳은 비슬산에서 발원한 계곡물이 흐르는 자연성이 살아있는 하천 공간이었다. 이것도 그 상류에 소형 댐을 만들어놓았기 때문이지 기본적으로 물이 없는 곳도 아니다.

그런데 천내천 상류에 해당하는 이곳에 이상한 공사가 진행 중인 것이다. 이른바 '천내천 고향의 강 사업'이 대구 달성군(김문오 군수)에 의해서 250억을 예산이 투입돼 진행 중인 것이다. (참고: https://youtu.be/PnT3fWNBu70)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국민 혈세를 투입해 자연하천에 인공의 콘크리트 제방을 쌓고, 크고 작은 바윗돌과 수생식물과 물고기가 가득하던 공간은 지금 공사판으로 변해 있었다. 상류에 농사용 소형 댐을 건설해 물길을 막아놓고는 물이 없다고 하류 낙동강 물을 수 킬로미터 아래서 끌어와 물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달성군의 고향의 강 사업의 핵심이다.

계곡물은 끊어놓고, 독성조류가 창궐하는 녹조라떼 낙동강 물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물만 공급해주면 강 생태계가 살아난다는 것이 달성군의 논리다.

ⓒ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공사에서 비껴나 겨우 날아남은 천내천 상류. 공사현장 바로 위의 모습이다. 바윗돌과 수생식물이 어우러진 우리나라 강 상류 계곡의 형태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자연하천의 모습이다. 이런 계곡 형태의 하천 구간을 달성군의 고향의강 사업은 하천의 자연성을 완전히 갈아엎고 인공의 수로로 만들고 있다. 사업 구간에서 고향의 모습은 그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과연 누구를 위한 공사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고향의 강 사업, 이름은 그럴듯한 이 사업의 진면목이다. 이런 사업들이 전국의 하천에서 그대로 '복사'되고 있다. 예외 없이 국토부의 예산이 들어간다. 국가와 지방정부가 나서서 자연하천을 인공하천으로 개조하고 있다. 대국민 사기 공사로 판명이 난 4대 강 사업이 전국의 소하천에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고향이 과연 뭘까? 그리움이 묻어나고 어린 시절의 모습이 떠오르는 향수가 묻어나는 이름이 고향이다. 고향이란 말마저 오염시키고 있는 현장이 아닐 수 없다. '4대강 살리기'란 사기성 언어와 같은 이름의 하천공사가 여전히 국토부와 지방정부에 의해서 난무하고 있는 씁쓸한 현실이다.




태그:#모이, #대구, #사대강, #환경보호, #낙동강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은 깎이지 않아야 하고, 강은 흘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공존의 모색합니다. 생태주의 인문교양 잡지 녹색평론을 거쳐 '앞산꼭지'와 '낙동강을 생각하는 대구 사람들'을 거쳐 현재는 대구환경운동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