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핵무기 병기화 사업'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TV가 3일 보도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핵무기 병기화 사업'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TV가 3일 보도했다
ⓒ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북한의 6차 핵실험은, '완전한 수소탄'이 아님에도 역대 최대 폭발력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이번 핵실험에 따른 인공지진 규모를 진도 5.7이라고 했다. 지난 2006년 10월 9일 1차 핵실험(플루토늄) 때 지진 규모는 진도 3.9였고, 2차(플루토늄, 2009년 5월 25일)는 4.5, 3차(고농축우라늄 추정, 2013년 2월 12일)는 4.9, 4차(수소탄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추정, 2016년 1월 6일)는 4.8, 5차(수소탄 전 단계인 증폭핵분열탄 추정, 2016년 9월 9일)는 5.0이었다.

'폭발 위력'으로 보면, 1차는 1㏏(킬로톤; 1kt는 TNT 폭약 1000t) 이하였고, 2차는 3~4㏏, 3차는 6~7㏏, 4차는 6㏏, 5차는 10kt 수준이었다. 기상청은 이번 6차 핵실험의 위력이 5차 때의 5∼6배에 달한다고 평가했다. 폭발위력이 50kt을 넘을 것이라는 얘기로, 1945년에 미군이 히로시마에 투하한 원자탄의 폭발 위력(16kt)의 세 배에 해당한다.

6차례 핵실험 중 처음으로 충남·북에서도 지진 신고

이날 오후 북한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서울, 경기, 인천, 강원도는 물론 내륙인 충남과 충북에서까지 지진 관련 신고와 문의 전화가 있었다. 6차례의 핵실험 동안 처음 있는 일이라는 점에서, 이번 핵실험의 '위력'을 짐작케 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6차 핵실험에 대해 북한 발표와는 달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의 완성단계에 이른 것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핵실험이 문재인 대통령이 설정한 레드라인을 넘어선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ICBM까지 포함해 "핵탄두 소형화, 경량화, 대기권 재진입 기술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고 북한의 발사체가 정확히 원하는 지점에 떨어졌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면서 이렇게 답했다. "북한의 주장에 논란의 소지가 많고 확인되지 않은 사항이 많다"는 것이었다.

3일 낮 12시 29분에 일어난 북한 6차핵실험 소식을 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심각한 표정으로 입장하고 있다.
 3일 낮 12시 29분에 일어난 북한 6차핵실험 소식을 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심각한 표정으로 입장하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이 설정한 '레드라인'은 "북한이 ICBM을 완성하고 거기에 핵탄두를 탑재해 무기화하는 것"(8월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이라는 점에서, 북한의 핵과 ICBM 능력이 이 선에 도달했다고 말하기는 이르다. 북한 스스로도 '중대 보도'에서 이번 핵실험을 "국가 핵무력 완성에 완결 단계 목표를 달성하는 데서 매우 의미있는 계기가 된다"고 말해, 아직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상황은 아님을 인정하고 있다.

결국, '완성된 ICBM'과 '완성된 핵탄두'의 결합이 레드라인이라는 점에서 현재는 그 목전인 9부 능선까지 와 있는 상황인 셈이고, 이는 북한이 추가적인 무력 시위를 벌일 것이라는 얘기다.

핵탄두와 미사일 능력을 비교했을 때 핵탄두쪽 진도가 더 나가 있다는 점에서 북한이 다음 번에는, 재진입기술 등 ICBM이나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능력 향상을 보여주려 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문 대통령 후보 시절에 "6차 핵실험 하면 남북대화 상당기간 불가능해져"

이번 6차 핵실험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월 9일 취임 이후 줄기차게 강조하고 요구해온 남북대화는 장기간 성사되기 어렵게 된 것이 사실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북한과) 대화하기는 굉장히 어려운 상황으로 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문 대통령 자신도 후보 시절인 지난 4월 27일 "만약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한다면  남북대화는 상당기간 불가능해진다. 5년 단위 정부라는 점에서, 다음 정부에서 남북관계 개선은 사실상 어려워지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낮 12시 29분에 일어난 북한 6차핵실험 소식을 듣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낮 12시 29분에 일어난 북한 6차핵실험 소식을 듣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와 함께 최고로 강한 응징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정의용 안보실장은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보좌관과 긴급 통화를 했으며, 정경두 합참의장과 조지프 던퍼드 미국 합참의장도 긴급통화에서 빠른 시일 내 군사적 대응을 하기로 합의했다.

정세현 전 장관은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무슨 일만 터지면 청와대 안보실장이 미국 안보보좌관부터 찾는데, 이렇게 다급하게 전화하면 미국이 하자는 대로 따라갈 수밖에 없게 된다"면서 "북한의 무력시위에 압박과 제재, 위협으로 대응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지금 수소탄까지 왔다는 점에서, 그간 상황을 복기라도 하면서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제 미국과 진지하게 북한과의 회담 재개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재인 정부도 핵실험과 ICBM 등 북한의 군사적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과거 정부들이 하는 '전형적인' 대응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태그:#6차 핵실험, #문재인, #북핵, #남북대화
댓글38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