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역풍 몰고온 박근혜 대통령의 개각, 야권 대선주자의 현재 생각은?
 역풍 몰고온 박근혜 대통령의 개각, 야권 대선주자의 현재 생각은?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국회와 민심을 등진 박근혜 대통령의 '개각 단독 드리블'이 정치권의 하야 요구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이전까지 '국회의원 개인의 의견 개진' 정도로 나오던 정치권의 하야 목소리가 야권 대선주자들을 중심으로 봇물 터지듯 나오는 상황이다. 심지어 탄핵, 구속 등의 주장도 거론됐다.

국민의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안철수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이 개각을 단행한 2일 오후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박 대통령은 더 이상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아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즉각 물러나라.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 박 대통령은 즉각 물러나라"라고 반복해 하야를 요구했다.

안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개각을 두고도 "분노한 국민들의 정당한 요구에 대한 모욕", "진실과 정의를 바라는 국민들을 조롱한 폭거", "위기를 모면하려는 얄팍한 술책" 등 강경한 표현을 사용하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야3당 "개각 철회해야, 인사청문회 거부"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국민의당 박지원,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가 2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정국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야3당 원내대표 회동을 갖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국민의당 박지원,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가 2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정국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야3당 원내대표 회동을 갖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안 전 대표의 이 같은 태도는 이날 오전 국민의당 비대위 회의 직후 예견됐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박 대통령 개각 관련 기자간담회를 통해 "온건한 우리 당을 강경으로 몰아낸다면 우리도 그 길로 갈 수밖에 없다"라며 강경 노선으로 선회할 가능성을 암시했다. 국민의당 내부에서도 하야 요구와 관련해 진일보한 의견이 오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대표에 앞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박원순 서울시장도 박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했다. 박 시장은 "박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개각명단을 발표한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박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의 권위와 신뢰를 잃었다. 즉각 물러나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소속의 이재명 성남시장은 수위를 높여 탄핵과 구속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시장은 개각 발표 직후 "(박 대통령은) 국민을 여전히 주인이 아니라 지배대상·조작대상으로 알고 있다. 하야·탄핵 요구가 더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시장은 안종범 전 경제수석의 증언을 거론하며 "이젠 국정난맥에 따른 자진 사퇴 요구가 아니라 탄핵을 해야 할 때가 됐다. 탄핵하고, 구속하라"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부겸 의원은 각각 "비상한 결단을 내릴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이 야당의 하야 투쟁을 강요하고 있다"라며 하야 요구를 암시하는 의견을 내놨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야당에 권한 이양'을, 손학규 전 의원은 '여야에 권한 이양'을 주장하며 다소 온건한 의견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달 31일부터 매일 의원총회를 열어 의원들 간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그 동안 "하야를 요구하는 의원도 상당하다"라는 말은 나왔지만, 일단 하야, 탄핵 등의 요구는 당론으로 결정하지 않은 상황이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최종 결정은 의원총회에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원들의 의견 교환을)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우 원내대표는 "(오늘 개각으로) 대통령의 의도가 드러난 이상, 의원들이 '지금까지는 다른 방식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것 정도는 공감한 사항이다"라며 상황이 진일보했음을 시사했다.

정의당은 지난 달 27일부터 원내 정당 중 가장 먼저 박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해왔다.

한편 야3당(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은 이날 회동을 통해 "박 대통령의 개각 철회를 요구하며, 이후 인사청문회 절차에 일절 응하지 않고 거부하겠다"라고 합의했다. 하야, 탄핵 등과 관련해서는 "아직 각 당의 차이가 있으니, 각 당에서 (당론이) 정리되면 다시 논의하겠다"라고 밝혔다.


태그:#박근혜, #개각
댓글38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