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주시노조가 설치한 공무원노조 가입 조합원 찬반 투표소. 사진=공무원노조 제공
 광주시노조가 설치한 공무원노조 가입 조합원 찬반 투표소. 사진=공무원노조 제공
ⓒ 정재수

관련사진보기


광주광역시노동조합이 10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가입 조합원 총투표를 이틀째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시 측의 방해가 도를 넘어 서면서 조합원들의 분노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첫 날인 9일 점심시간에 직원들을 나가지 못하게 부서장이 막고,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해결하게 하는 등 시 측의 감시에 대해 조합원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10일 오전에는 광주시가 시청 출입문 일부만 개방하고, 신분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통제하면서 노조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투표소 근처 통행 금지하기도...  노조 "끝까지 진행한다"

광주시노조는 행정자치부와 시 집행부의 방해 압박에도 11일까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가입 조합원 총투표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노조가 9일 오전부터 조합원 투표를 실시하자, 윤장현 광주시장은 하루 만에 투표 허용에서 '사실상 반대한다는 입장'의 호소문을 발표했다. 실국사업소장도 투표자제 호소문을 업무행정 포털 게시판에 올리는 등 투표 참여 차단에 앞장서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첫 날 투표에서는 부서장들이 점심시간에 도시락을 시켜 직원들을 나가지 못하게 하고, 도시락을 준비하지 못한 부서는 부서장 인솔 하에 청사 구내식당에서 해결하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내식당 안에서는 행정지원과 직원들이 부서별 점심 식사 여부를 확인하는 등 조합원들의 투표 행위에 대해 감시에 나서고 있다.

또한 투표소 주변에 행자부 감사관실, 행정지원과 직원들을 배치해 주위를 서성이면서 감시하고, 지하의 경우 주차장 옆이 투표소인데 투표소가 보일 수 있도록 차량을 주차시켜 놓고 블랙박스로 영상을 촬영하는 등 방해를 펼치고 있다.

광주시노조 관계자는 "감사위원회에서 직원들에게 조합원 명단 다 입수해 투표여부를 파악하고 있다"며 "투표한 사람과 부서장까지 처벌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날 오후 3시 부시장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는 근무시간 외에도 투표를 금지하고, 오후 5시 이후부터 별도 지시가 있을 때까지 공무원증을 패용하고, 투표소 근처로 통행하지 말라는 결정을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래도)투표는 끝까지 진행한다"면서 "시 측에서 이렇게 방해 수위를 높이자 '이렇게까지 압박하는 것에 대해 이해 할 수 없다'고 얘기하는 등 조합원들의 분노가 끓어 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행자부는 당초 법외 노조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은 '불법'이라 규정하고 투표소 설치부터 원천봉쇄하겠다는 입장이었지만, 윤장현 시장이 근무 시간 외 투표를 허용하면서 투표가 진행됐다.

하지만 윤 시장이 지난 9일 오전 "투표 이후 광주시가 걱정이 된다, 현명한 판단을 해달라"는 등의 사실상 투표 반대 입장 내용의 호소문을 발표하면서, 시 측 집행부의 투표 방해가 노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행자부는 전공노 가입투표를 주도해 지방공무원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광주시공무원노조 간부 4명을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광주시노조도 행자부 장관 등 관계자 등을 지난달 28일 부당노동행위 등으로 검찰에 고발한 상태여서 향후 법적 다툼까지도 예상된다.

이번 조합원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투표하고 그중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가입이 결정된다. 가결된다면 전국 17개 광역단체 노조 중 처음으로 공무원노조 소속이 되는 것이다. 지난 2014년에도 광주시노조는 공무원노조 가입을 추진하며 투표를 진행했으나, 투표율이 과반을 넘지 못해 무산된 바 있다


태그:#광주시노조, #공무원노조, #가입 찬반, #투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