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축령산 편백. 생김새가 독특하다.
 축령산 편백. 생김새가 독특하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또 다시 작심삼일(作心三日)이다. 설날을 맞으면서 세운 몇 가지 계획이 사흘을 넘기지 못하고 흐트러졌다. 온몸의 기운이 쫘-악- 빠진다. 장성 축령산이 떠올랐다. 나약해진 나를 붙잡아 줄 것 같아서다. 흔들리는 목표를 다시 세워줄 것도 같다.

전라남도 장성에 있는 축령산은 임종국(1915〜1987) 선생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숲이다. 나무와 숲의 가치를 일찍 안 선생은 황무지였던 축령산에 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6년부터였다.

당시는 멀쩡한 나무까지도 베어다가 땔감으로 쓰던 때였다. 임업에 대한 그의 투자는 주변 사람들의 손가락질을 받던 시절이었다.

축령산을 찾은 사람들이 편백숲 사이로 난 길을 걷고 있다. 숲길에서 만나는 사람도 모두 모델이 된다.
 축령산을 찾은 사람들이 편백숲 사이로 난 길을 걷고 있다. 숲길에서 만나는 사람도 모두 모델이 된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을 찾은 사람들이 편백숲 산책을 마치고 숲에서 걸어나오고 있다.
 축령산을 찾은 사람들이 편백숲 산책을 마치고 숲에서 걸어나오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 편백. 숲길에서 올려다 본 편백의 모습이다.
 축령산 편백. 숲길에서 올려다 본 편백의 모습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그럼에도 선생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선생은 눈앞의 이익보다는, 먼 미래를 내다봤다. 날마다 나무를 돌보고 숲을 가꾸는 데만 신경을 썼다. 가뭄이 들었을 때엔 물지게를 져서 물을 댔다. 가족들까지 나서서 물동이를 이고 산을 오르내렸다.

선생은 이렇게 21년 동안 편백과 삼나무 등 수십만 그루를 심었다. 그 면적이 240㏊나 됐다. 숲을 가꾸면서 갖고 있던 재산도 다 써버렸다. 그것도 부족해 빚까지 떠안았다.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되자, 숲을 다른 사람한테 넘겼다. 그리고 1987년 세상을 떠났다.

하늘로 쭉쭉 뻗은 편백. 축령산 숲길에서 올려다 본 편백의 모습이다.
 하늘로 쭉쭉 뻗은 편백. 축령산 숲길에서 올려다 본 편백의 모습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 편백숲. 임종국 선생이 황무지를 개간해 심은 나무들이다.
 축령산 편백숲. 임종국 선생이 황무지를 개간해 심은 나무들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 편백 숲길. 산에는 편백 숲 사이로 임도가 반듯하게 나 있어 산책하기에 좋다.
 축령산 편백 숲길. 산에는 편백 숲 사이로 임도가 반듯하게 나 있어 산책하기에 좋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임종국 선생이 가꾼 축령산은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 추암리에서 모암리, 북일면 문암리에 걸쳐 있다. 대한민국의 편백숲을 대표한다. 한 번이라도 찾은 사람이라면 금세 고개를 끄덕인다. 편백숲 사이사이로 난 길은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의 앞자리를 차지한다. 산림청과 (사)생명의숲에서도 '미래를 위해 보존해야 할 아름다운 숲'으로 선정했다.

숲길 산책로가 여러 갈래로 나 있다. 산책로는 마을을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모암마을에서 우물터와 편백쉼터까지 올라갔다 내려오는 코스가 일반적이다. 5월에 산소축제가 열리는 삼나무 숲이 출발점이다. 추암마을과 대곡마을, 금곡마을에서 출발해 두런두런 거닐 수 있는 길도 있다.

축령산 편백쉼터. 편백숲을 찾은 사람들이 나무의자에 앉아 쉬면서 편백을 올려다보고 있다.
 축령산 편백쉼터. 편백숲을 찾은 사람들이 나무의자에 앉아 쉬면서 편백을 올려다보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 편백숲. 산림의 가치를 일찍 안 임종국 선생이 피땀 흘려 가꾼 숲이다.
 축령산 편백숲. 산림의 가치를 일찍 안 임종국 선생이 피땀 흘려 가꾼 숲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모암마을에서 편백 숲길을 따라 올라간다. 임도를 따라 줄지어 선 나무들이 하늘로 반듯하게 쭉쭉 뻗어있다. 수십 미터씩 뻗은 편백과 삼나무가 압도한다. 하지만 위압적이지는 않다. 임종국 선생의 체취가 배어있는 숲이다.

드넓은 연녹색의 숲길을 따라 타박타박 걷는다. 걸음을 부러 빨리 할 필요가 없다. 자연스럽게 걸음이 느려진다. 걷는 것만으로도 보약이 되는, 피톤치드 듬뿍 머금은 숲이다. 숲길에 줄지어 선 나무들이 행진하는 병정들 같다. 여행객들이 병정들 사이를 지나며 사열을 하는 것 같다.

축령산 숲길에서 만난 편백. 생김새가 희귀하다.
 축령산 숲길에서 만난 편백. 생김새가 희귀하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 편백숲길. 늦은 오후가 되면서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축령산 편백숲길. 늦은 오후가 되면서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축령산 편백숲. 모암마을 주차장에서 가까운 숲이다.
 축령산 편백숲. 모암마을 주차장에서 가까운 숲이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발걸음이 가볍다. 눈이 시원해진다. 머릿속이 상쾌해진다. 세상시름 다 걷어낸 것처럼 홀가분해진다. 마음 속 깊은 곳의 갈증까지도 후련하게 풀어준다. 피톤치드를 맘껏 호흡하며 하늘하늘 걷다보니 어느새 우물터다. 주변은 편백쉼터다. 앞서 간 사람들이 통나무 의자에 앉아 쉬고 있다. 방식이 조금씩 다를 뿐 편백숲에서 몸보신을 하는 건 매한가지다. 치유의 숲임을 실감한다.

축령산 편백숲. 몸과 마음의 치유를 바라는 사람들이 찾고 있다.
 축령산 편백숲. 몸과 마음의 치유를 바라는 사람들이 찾고 있다.
ⓒ 이돈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찾아가는 길
호남고속국도에서 연결되는 담양-고창 간 고속국도 장성물류 나들목으로 나간다. 서삼면 소재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소를 지나 모암마을 입구에서 좌회전한다. 내비게이션은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 모암리 산 98번지 또는 서삼면 모암리 682번지.



태그:#편백, #편백모델, #축령산, #장성, #임종국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