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입구.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입구.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이 관광명소화사업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백운동 별서를 휘감아 도는 계곡을 따라 추가 진입로를 내면서 계곡, 대나무숲 등이 원형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공사를 맡은 강진군청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새 길을 낼 수밖에 없었고, 별서 주변은 하나도 건드리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백운동 별서정원 특유의 고즈넉한 모습이 훼손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계곡 따라 새 길... 대나무 원림 훼손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이 관광명소화사업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백운동 별서를 휘감아 도는 계곡을 따라 추가 진입로를 내는 공사가 진행되면서 계곡, 대나무숲 등이 원형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이번 공사의 조감도이다.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이 관광명소화사업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백운동 별서를 휘감아 도는 계곡을 따라 추가 진입로를 내는 공사가 진행되면서 계곡, 대나무숲 등이 원형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이번 공사의 조감도이다.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2일 <오마이뉴스>가 직접 백운동 별서정원 공사 현장을 찾아가보니, 별서 아래쪽의 기존 진입로와 별개로 별서 위쪽의 '무위사~경포대'를 잇는 도로변에 새 진입로가 만들어져 있었다(위 사진 참고). 이번에 새 진입로가 생긴 공간부터 별서까지는 계곡을 따라 대나무 원림(자연 그대로의 삼림)이 이어져 있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하지만 지금은 계곡을 따라 4~5m 폭의 길이 나 있었고, 곳곳에 광장 형태의 넓은 공간이 조성돼 있었다. 길 양 측엔 공사 도중 나온 바위들이 인공적으로 쌓여 있었다. 별서를 휘감아 돌아 아래쪽 안운저수지까지 이어지는 계곡에도 새 길이 생겼다(위 사진 참고).

이곳도 원래 대나무숲이었고, 사람이 통행할 수 없는 곳이었지만 지금은 5~6m 폭의 넓은 길이 나 있었다. 별서 위쪽과 마찬가지로 길을 사이에 두고 계곡 쪽과 능선 쪽 곳곳에 바위들이 쌓여 있었다.

공사 이전까지 백운동 별서를 보기 위해서는 기존 진입로인 '산다경(山茶徑)'을 거쳐야 했다. 별서에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었던 산다경은 사람 한 명 정도가 지나갈 동백나무 숲길로 '백운동 별서 제 2경'으로 꼽힐 만큼 별서 특유의 고즈넉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유일한 출입로인 산다경으로부터 이어져 계곡과 원림으로 둘러쌓여 있는 별서의 원형을 생각해볼 때, 지나치게 관광 목적의 공사를 진행하다 계곡과 원림을 훼손했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부분이다.

강진군 "접근성 높이려 새 진입로 불가피"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이 관광명소화사업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백운동 별서를 휘감아 도는 계곡을 따라 추가 진입로를 내면서 계곡, 대나무숲 등이 원형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백운동 별서 아래쪽 새 길의 모습이다.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불리는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이 관광명소화사업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백운동 별서를 휘감아 도는 계곡을 따라 추가 진입로를 내면서 계곡, 대나무숲 등이 원형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백운동 별서 아래쪽 새 길의 모습이다.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강진군청 측은 별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새 진입로 공사는 불가피했다는 입장이다.

2일 <오마이뉴스>와 만난 강진군청 문화관광과 관계자는 "기존 진입로는 대형버스가 접근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차공간이 협소해 (별서 위쪽) 새 진입로를 만들 수밖에 없었다"며 "별서 주변의 계곡과 원림은 하나도 건드리지 않았고, 문제가 됐던 진입로 곳곳의 물레방아, 인공 나무난간(데크), 인공 목교 등도 설치를 취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공사를 준비하며) 보존과 개발 사이에서 많은 고민을 했다"며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라 다소 정리가 안 된 모습이지만 추가로 수목을 하는 등 정리를 하면 좋은 관광 장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윤정준 '한국의길과문화' 이사는 3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세월이 만든 자연경관을 사람이 인공적으로 고치면서 백운동 별서정원이 가진 고즈넉한 모습이 깨졌다"며 "경관이란 게 면 전체를 봐야 하는데 이번 공사가 숲 전체 분위기를 깨고 오래된 정원의 맛을 없앤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 길이 생겼으니 완전히 원형으로 돌아갈 순 없겠지만 최대한 길 폭을 줄이고 대나무가 자생할 수 있도록 복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백운동 별서는 조선시대 양반 이담로(1627~1701)가 만든 별장으로 12대를 이어 후손들이 살고 있는 곳이다. 특히 강진에 유배 중이던 다산 정약용이 그 경관에 감탄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정약용은 백운동 별서와 주변 계곡·원림에 반해 제자 초의선사와 함께 시와 그림을 담은 백운청을 완성하기도 했다.

올해부터 2018년까지 총 89억 원의 예산을 들여 진행되는 '월출산권(백운동 권역) 관광명소화 사업'은 현재 1단계 사업이 진행 중이다.


태그:#강진, #백운동 별서, #이담로, #정약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