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몇 년 새, 전국적으로 도시농업의 외형은 커졌고, 이들이 추구하는 목적도 다양해졌다. 주로 정부기관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과 예산이 마련되고 텃밭농사를 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농장이 만들어졌다. 관리와 운영 프로그램은 관련 시민단체와 사회적 기업 등에서 위탁받아 하고 있다.

개인이 이익을 목적으로 분양하는 주말농장과 달리 공공(公共)농장은 그 이용에 있어서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형평성에 맞춰서 분양이 이뤄진다. 분양 방식은 해당 지역의 거주자를 중심으로 신청자를 받아서 추첨을 통해 그해의 경작자를 뽑게 되는데, 경쟁률이 높다.

그리고 공익을 추구하는 목적으로 사회적 약자와 돌봄이 필요한 계층은 추첨이 아닌 별도의 기준으로 선정해서 분양해주고 있다. 예를 들면 노인·청소년·어린이의 세대별로 나누거나 텃밭농사를 통해서 심신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들에게 관련 기관을 통해서 분양을 한다. 여기에는 물론 장애인도 포함된다.

농사를 짓고 있는 장애인들 (2011년 부평농업공원)
 농사를 짓고 있는 장애인들 (2011년 부평농업공원)
ⓒ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관련사진보기


문제는 휠체어나 목발로 이동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중증장애인이 농사를 할 수 있도록 텃밭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인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중증장애인이 농사를 할 수 있겠냐는 편견이 있기 때문이요, 농사를 짓는 중증장애인을 쉽게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쉽게 볼 수 없다'는 것은 이들이 안심하고 돌아다닐 수 있는 사회구조가 아님을 의미한다. 우리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일일이 열거하기가 부끄러울 정도다.

공공농장이 만들어질 때 장애인 텃밭의 필요성을 말하면 대부분 그 취지에 동감한다. 하지만 장애인에게 맞는 텃밭을 만드는 비용을 부담스러워 한다. 그러나 정부기관과 지자체에서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여러 경로를 통해서 외부에서 얼마든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 외에 반대하는 이유로 주민 민원과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이해 안 되는 변명을 내놓기도 한다.

텃밭이 아닌 '틀밭'

중증장애인이 텃밭농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가 있다. 2011년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도시농업공원을 만들 때 처음으로 장애인 텃밭을 만들었다. 운영위탁을 맡은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장애인 텃밭에 대한 설계와 운영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중증장애인에게 텃밭교육을 하고 함께 농사를 지었다. 아쉽게도 지금은 장애인 텃밭이 있던 농업공원 부지는 기업에 임대해 사라지고 말았다(관련 기사 : 맨손으로 배추 뽑아도 '싱글벙글' 합니다).

그 후로 장애인 텃밭은 인천 남동구의 공공농장과 송도국제신도시의 공원에도 만들어졌다. 장애인 텃밭이 생기면서, 여러 곳의 지자체와 장애인 기관에서 설치방법과 운영방법에 대한 문의가 있었다. 관련 자료를 보내주기도 했는데 만들어졌다는 소식을 아직 듣지는 못했다. 아마도 위에서 말한 이런저런 이유로 실행되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천에서도 처음부터 쉽게 됐던 것은 아니다.

송도국제신도시 시민공원 안의 장애인 텃밭 만들기(2013년)
 송도국제신도시 시민공원 안의 장애인 텃밭 만들기(2013년)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장애인 텃밭은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보도블록을 설치하면 된다
 장애인 텃밭은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보도블록을 설치하면 된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휠체어와 목발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장애인에게 맞는 텃밭은 '틀밭'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높이는 휠체어에 앉아서도 할 수 있는 70cm 높이로 제작하는 게 좋다. 70cm는 목발을 이용해도 농사를 할 수 있는 높이다. 틀밭 주변으로는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보도블록을 설치한다. 틀밭과 틀밭 사이의 공간은 양쪽에서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여유있게 공간을 주는 게 좋다.

장애를 가진 이들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대부분 시설이나 가정에서 사회와 격리되기도 한다. 이들과 함께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은 미약하나마 여러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도시농업도 농사를 통한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 구성원으로 함께 살아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장애인 텃밭은 농사를 짓고 수확을 하는 즐거움도 있지만, 사회 구성원으로서 함께 살아간다는 공동체의 의미를 갖는다(관련 기사 : 우리는 못한다가 아니라 잘하는 일을 한다).


태그:#장애인, #틀밭,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농업공원, #도시농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