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가 지난 15일 오후 서울 강서구 공항로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가 지난 15일 오후 서울 강서구 공항로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후보자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건설된 아시아선수촌 57평형 아파트를 특혜 분양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신경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7일 "(이 후보자가 분양받은) 아시아 선수촌 아파트는 1984년 12월 11일 올림픽 성금모금을 위해 기부금 낙찰 방식이라는 이례적인 방식으로 분양됐다"라면서 "일부 대형 평수에서는 기부금을 1억 원가량을 약정하고 당첨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분양가와 기부금값이 맞먹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라고 밝혔다.

신 의원은 "(당시) 아시아선수촌 아파트 57평의 분양가는 7638만 원으로, 같은 평형대 기부금 최저 약정액인 2600만 원만을 고려하더라도 분양가는 1억 원을 호가한다"라며 "당시 고시출신 10년 차 공무원의 월급은 50만 원이 채 되지 않음을 감안할 때 구입이 불가능하다"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 후보자는 1983년 7월부터 1985년 2월까지 아시아선수촌 아파트 분양을 주도한 노태우 서울올림픽조직위원장의 비서실장을 역임했다. 이를 두고 신 의원은 "당시 노태우 전 대통령은 서울올림픽조직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아시아선수촌 아파트의 분양을 주도했다"라며 "이 과정에서 이 후보자는 분양과정에서 내부정보나 특혜를 받지 않았는지 해명하고 기부금은 얼마를 냈는지, 분양가는 얼마였는지, 그 자금은 어디에서 나왔는지 출처를 밝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 신 의원은 "이 후보자는 1993년 9월 최초 공직자 재산신고를 통해 해당 아파트는 '등기미필 부 사망 상속 중'이라고 해명했지만 후보자의 부친은 당시로부터 6년 전인 1987년 7월 사망해 해명이 석연치 않다"라고 문제제기했다. 이어 그는 "후보자의 아버지 역시 평생을 교직에 종사해오시던 분으로 어떻게 분양대금을 납부했는지 해명이 필요하다"라며 "부친께 상속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상속세 납부 여부를 해명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더불어 신 의원은 "아시아 선수촌 아파트의 입주 시기는 1986 아시안게임이 끝난 직후인 1986년 말에서 1987년 초로 후보자가 입주한 1987년 1월과도 일치해 애당초 본인 소유의 아파트가 아니었냐는 의혹이 강하게 남는다"라고도 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 측은 언론을 통해 "1982년부터 보유하던 삼익아파트를 1986년 매각했고 그 대금과 예금 등으로 1984년 12월 총 9600만 원에 기부금 입찰제로 분양받아 수차례 대금납부 후 1987년 1월에 입주했다"라고 해명했다. 또, 그는 "(당초) 부친 명의로 한 것은 평생 주택을 보유하지 않았던 선친을 위한 것이고 특혜는 전혀 없었다"라며 "부친은 1987년 7월에 사망했고 부친 작고 이후 상속절차를 통해 상속세 2007만 원을 납부하고 소유권을 이전했다"라고 설명했다.


태그:#이병기, #노태우, #아파트 특혜 분양, #신경민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