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진한 차장검사가 지난해 11월 1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사건 수사결과를 발표를 마치고 생각에 잠겨 있다.
 이진한 차장검사가 지난해 11월 1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실종사건 수사결과를 발표를 마치고 생각에 잠겨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언론인들이 기자 성추행으로 물의를 빚었음에도 솜방망이 처벌을 받은 이진한 대구서부지청장과 검찰을 비판하며 집단적으로 목소리를 냈다.

55개 언론사 소속 언론인 884명은 24일 '성평등 취재환경 마련을 위한 언론인' 이름으로 24일 성명을 발표, 검찰에게 전면 재조사와 이 청장의 중징계를 요구했다. 또 검찰이 해당 기자에게 사과하고 성차별적인 조직문화 개선과 성폭력예방교육 등 확고한 재발방지책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이진한 청장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2차장 검사로 있던 지난해 12월 26일, 기자들과 함께 한 송년회에서 몇몇 여성 기자들의 손을 만지거나 허리를 껴안고 "뽀뽀할까" 등의 말을 했다. <오마이뉴스> 보도로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검찰은 즉각 감찰에 들어갔다 (관련 기사 : 이진한 2차장 '부적절한 스킨십' 사과 검찰총장도 진상조사-후속조치 약속).

그런데 결과는 '경고' 처분이었다. 대검찰청 예규는 성폭력 사안에 최소 견책 이상의 징계를 내리도록 하고 있는데도 그가 받은 징계 수위는 매우 가벼운 편이었다. 감찰 과정에서 이 청장에게 강력한 처벌을 내려달라고 했던 피해자 중 한 명은 결국 그를 성추행혐의로 고발했다(관련 기사 : 이진한 검사 '낮은 수위 경고' 반발 확산).

언론인들은 24일 성명에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인권에 대한 검찰 내부 의식이 얼마나 시대착오적이며 낙후돼있는지 새삼 실감한다"고 했다. 이들은 "이 사건은 검찰 권력이 언론의 사회적 구실을 무시하고 자신의 권력을 과시한 사례"라며 "이진한 차장 검사뿐 아니라 검찰 조직 전체가 언론사 기자를 '여성'으로 보고 일상의 성차별과 폭력을 사소한 것으로 치부했다"고 비판했다. 박근혜 정부가 성폭력을 '4대악' 중 하나로 꼽고 있는데도 이 사건을 못 본 체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또 갈수록 여성 기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이번 일은 한국 언론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넘어서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언론인들은 "앞으로 우리 언론인들은 어떠한 취재원의 성폭력 문제에도 주저하지 않고 맞설 것"이라며 "남녀 모두 기자로서 당당히 제 목소리를 내며 일할 수 있는 취재환경을 만들기 위해 온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태그:#이진한
댓글1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정치부. sost38@ohmynews.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