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여야가 6월 임시국회에서 국정원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지난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김현미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본회의 참석한 문재인 의원 여야가 6월 임시국회에서 국정원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한 가운데, 지난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김현미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민주당 의원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 대선 전에 유출 됐다는 의혹과 관련 "검찰의 추가 수사나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7일 문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은 대화록이 박근혜 후보 진영으로 흘러들어가 선거에 악용된 경위와 그 과정에서 있었던 후보 측과 국정원 간의 결탁(의혹)을 규명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검찰이 국정원의 대선 개입 의혹만 수사한 것의 폭을 넓혀 '회의록 불법 유출'에 대한 수사를 추가해 국정원과 박근혜 후보 진영의 결탁을 밝혀내야 한다는 것이다.

문 의원은 "정상회담 대화록은 기록자로 배석한 청와대 안보정책 비서관이 녹음해온 파일과 기록 메모에 의해 작성됐는데, 녹음 상태가 좋지 않아 잡음 제거 등의 기술을 갖춘 국정원에 파일을 넘겨 대화록을 작성하게 한 것"이라며 "작성 시기는 회담 직후 일주일 이내"라고 말했다.

"회의록, 국정원이 MB정부에 주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여"

24일 오후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 여야 의원들에게 공개하기 위해 제작한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사본의 표지.
▲ 국정원이 공개한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사본 24일 오후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 여야 의원들에게 공개하기 위해 제작한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사본의 표지.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문 의원에 따르면, 정식 작성본은 2007년 10월에 완성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정원이 공개한 회의록 표지에는 '2008. 1(생산)'이라 적혀 있다. 당시는 노무현 정부 시절이지만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직후다.

문 의원은 "공개된 대화록은 2008년 1월에 생산된 것으로 돼 있는데, 국정원의 누군가가 인수위 또는 MB 정부에 가져다 주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며 "더 큰 문제는 원 대화록이나 부본을 사본한 것이 아니어서 내용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문 의원은 "공개된 대화록에 내용의 왜곡이나 조작이 있다면 더 엄청난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그 대화록이 누구에 의해 언제, 무엇을 위해 만들어졌는지 또 내용의 왜곡이나 조작이 없는지 규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대화록을 작성한 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공개된 전문 내용을 확인해 본 결과 내가 작성해 청와대와 국정원에 한 부씩 보관하도록 했던 것과 일치한다"고 밝힌 바 있다.


태그:#문재인, #박근혜, #국정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