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년 여 간의 봇공사를 마치고 자태를 드러낸 화성남문인 팔달문
▲ 팔달문 2년 여 간의 봇공사를 마치고 자태를 드러낸 화성남문인 팔달문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2년여 간에 걸친 보수공사를 마친 팔달문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조선 후기인 1794년에 세운 화성의 남쪽 문인 팔달문은,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이다. 그 이름은 '팔달산'에서 따왔다. 화성의 네 곳 성문 중 동쪽 문과 서쪽 문에 비해 북쪽 문과 남쪽 문은 더 크고 화려하게 꾸몄다.

팔달문은, 돌로 쌓은 무지개 모양의 문은 왕의 행차 시에도 가마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게 내고 위에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를 세웠다. 문루 주위 사방에는 낮은 담을 돌리고 바깥쪽으로는 반달형 옹성, 좌우에는 적대 등 성문 방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설을 두었다.

팔달문 천정애 그려진 용의 그림
▲ 천정 팔달문 천정애 그려진 용의 그림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진각 지붕으로 꾸민 팔달문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옹성은 우리나라 성곽에서 일찍부터 채용되었던 방어 시설로서, 서울성곽의 동대문, 전주성의 풍남문 등에서도 볼 수 있다. 팔달문의 옹성은 규모와 형태면에서 한층 돋보인다.

14일 오후 팔달문을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인가 촬영을 하려고 했지만, 공사가 마무리가 되지 않아 미루고는 했다. 바람이 세차게 부는 일요일 오후였지만, 그 바람으로 기가 나부끼는 모습이 오히려 보기가 좋다. 차들이 지나다니는 곳에서 촬영을 하느라 조금은 힘이 들었지만, 이렇게 웅장한 팔달문을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화성은 모든 문의 벽에 축조를 한 책임자의 이름을 저실명제 판이 있다
▲ 실명제 판 화성은 모든 문의 벽에 축조를 한 책임자의 이름을 저실명제 판이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외성이다
▲ 옹성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외성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공사실명제 판이 가장 뚜렷해

1964년 9월 3일에 보물 제402호로 지정된 팔달문은, 화성의 시설물 중에서 서문인 화서문(보물 제403호), 방화수류정, 서북공심돈 등과 함께 보물로 지정된 시설물이다. 그동안 공사 때문에 갑갑하게 가려져 있던 팔달문이, 모든 공사를 다 마치고 말끔하게 새로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문을 지나 옹성 쪽으로 나가다가 문의 겉 벽면에 있을 공사실명제 판을 찾아보았다. 이 실명제 판은 4개문에 다 있지만, 장안문의 실명제 판은 6·25 때 폭격을 맞는 바람에 깨어졌다고 한다. 대신 그 내용을 적어 옹성 안에 비로 제작을 해두었다. 팔달문을 바라보고 오른쪽 문 벽에 있는 실명제 판에는 '감동 전 목사 김낙순, 전 부사 이방운 등 85명'의 기술자가 팔달문의 조성에 참여했다고 적고 있다.

성문을 닫고 비녀를 걸어두기 위한 성벽에 난 홈
▲ 빗장걸이 성문을 닫고 비녀를 걸어두기 위한 성벽에 난 홈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성문을 닫고 빗장을 걸기 위한 비녀
▲ 비녀 성문을 닫고 빗장을 걸기 위한 비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꿀이 흘렀다는 팔달문

문 안에는 커다란 나무 하나가 바닥에 놓여 있다. 바로 문을 닫고 빗장을 지를 때 사용하는 비녀이다. 그 크기만 해도 팔달문의 장엄함을 알 수가 있다. 안으로 들어가 옹성의 벽을 바라다본다. 참 단단하게 지어졌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지금은 양편의 성곽이 끊어져 아픔을 더하고 있지만, 그 문 하나만으로도 대단하다.

바람이 갑자기 세차게 불어 옹성의 문이 삐그닥거린다. 만일 그 소리를 과거에 적들이 들었다고 하면, 그 소리만으로도 두려움에 떨었을 것만 같다. 함께 팔달문의 구경에 나섰던 김우영 <e수원뉴스> 주간이 이야기를 한다.

"여기 어디쯤인가 성문 벽에서 무엇이 흘러내렸데요. 그것을 손가락으로 찍어 먹어보니 달았다는 거예요. 성돌을 들어내고 안을 들여다보니, 그곳에 벌들이 집을 짓고 살고 있었다고 해요."

팔달문의 측면
▲ 측면 팔달문의 측면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팔달문은 생명을 살리는 문이라는 것이다. 정조대왕이 강한 국권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선비들을 모아 장사를 시작했던 곳. 팔달문 앞의 장시는 그렇게 시작이 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그런 장시에 몰려드는 사람들의 흥청거림이 있어, 꿀벌조차도 그 안에 집을 지은 것은 아니었을까?

모든 공사를 마치고 장엄한 모습을 드러낸 팔달문. 주변을 돌아보다가 보니, 성문 벽 밑에 풀 한 포기가 자라고 있다. 그렇게 공사를 하고 있는 동안도 생명이 그것에서 움튼 것이다. 비록 위로 놀라갈 수는 없었지만, 주변을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감흥을 불러온다.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팔달문, 팔달문을 자랑하기에 주저함이 없는 것은, 새롭게 치장을 한 팔달문을 만났다는 감흥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e수원뉴스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팔달문, #화성, #보수, #보물, #수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