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양말, 그저 편하게 신으면 그만인 줄 알았습니다.
 양말, 그저 편하게 신으면 그만인 줄 알았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사람이 모이면 가끔 멀쩡한 사람을 바보 만들 때가 있습니다. 이건 쪽수 노름입니다. 일전에 이런 경우가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만난 지인들, 등산한 후에도 여전히 서로 할 말이 많습니다. 그러던 중, 차에서 한 지인이 등산화를 벗고 발을 쭉 내밀었습니다.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터진 한마디가 한 사람을 바보로 만든 시초가 되었습니다.

"이거 오른쪽에 신는 양말인데, 왼쪽에 신었네? 잘못 신었어."

귀를 의심했습니다. 그냥 발에 쏙 넣기만 하면 되는 양말을 잘못 신었다니, 농담이거니 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양말에 오른쪽, 왼쪽이 어디 있단 말인가. 지금껏 마음 내키는 대로 신어왔던 양말이 아니던가. 별 희한한 소리를 다 듣겠네, 싶었습니다.

"말도 안 돼... 양말에 뭐 그런 게 다 있어!"

지인은 계속 "양말을 잘못 신었다"며 지천이었습니다. 일행들도 관심을 보이며 귀를 쫑긋했습니다. 그러자 그가 자기 등산화를 벗더니 신었던 양말 보여주며 말했습니다.

"여기 보세요. 오른쪽 발에 신는 양말에는 'R'이, 왼쪽 발에 신는 양말은 'L'이라고 표시돼 있잖아요. 그걸 아직 몰랐어요?"

'엥?' 하면서도 흥미가 생겼습니다. 저만 처음 듣는 말인 줄 알았더니, 다른 지인들도 "말도 안 돼. 양말에 뭐 그런 게 다 있어!"라며 반발했습니다. 그러자 그가 엄청나게 억울하다는 듯 말했습니다.

"옛날 서울에 가보지 못한 사람이 대문 없는 문이 어디 있냐? 고 우겼다더니 꼭 그 짝이네."

양말을 잘못 신었던 당사자로 지목된 지인이 "그런가?"라며, 고개를 끄떡이면서도 반신반의한 표정이었습니다. 그러면서 말도 안 되는 억지 해학으로 반격의 고삐를 죄었습니다.

"미치고 환장하겠네... 나만 바보 되는구먼!"

무심코 내밀었다가 오른쪽 왼쪽이 구분된 양말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저도 잘못 신었더군요.
 무심코 내밀었다가 오른쪽 왼쪽이 구분된 양말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저도 잘못 신었더군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라이트(Right) - 왼쪽, 레프트(Left) - 오른쪽. 'R'이 왼쪽이지 오른쪽이냐? 너는 영어를 통 모르는구만."

모두들 영어를 반대로 해석한 그의 돌직구성 말에 빵 터졌습니다. 하지만 영어를 모르는 사람으로 지목된 그는 가슴을 치며 억울해했습니다.

"미치고 환장하겠네. 나만 바보 되는구먼."

일행이 배꼽 잡는 사이, 저도 양말을 내밀었습니다. 제 양말도 'R'과 'L'이 표시되어 있었습니다. 아뿔싸, 저도 양말을 바꿔 신었습니다. 무심코 양말을 내밀었다가 무식한 사람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 때 양말 잘못 신은 지인의 기지가 발휘되었습니다.

"저것 봐. 라이트(Right) - 왼쪽, 레프트(Left) - 오른쪽 맞지? 우리는 양말을 맞게 신었고, 넌 양말을 잘못 신은 거야."

셋 중에 둘이 양말을 틀리게 신었으니, 그게 맞다는 억지 논리였습니다. 그러니까 잘못된 대세도 대세라는 현실이 된 것입니다. 진실의 오류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옛날 그리스 철학자들의 지동설과 비교하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Eppur si muove)"

요즘은 인공위성 사진 등으로 지구 모양이 둥글다는 걸 확인할 수 있지만, 옛날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지구가 물 위에 떠 있는 편평한 원반 혹은 사각형으로 보는 게 대세였습니다.

이에 맞서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는 둥글다'며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새로운 지동설을 주장했으나 묻혔습니다. 그러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지동설을 옹호하다가 로마 교황청 종교재판에서 유죄 선고를 받았습니다. 이 유죄 선고 후, 갈릴레이가 남긴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Eppur si muove)"

재밌는 건, "1633년 6월 22일 갈릴레이가 했다는 이 말은 정확한 근거가 없으면서도 사실처럼 전해져 오는 말이다"고 합니다.

목욕탕에 들어갔다 나와 양말을 신을 때...

지인에 다르면 오른쪽 왼쪽 구분을 몰라 잘못 신은 양말입니다.
 지인에 다르면 오른쪽 왼쪽 구분을 몰라 잘못 신은 양말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갈릴레이처럼 주위의 억압(?)으로 바보로 몰린 지인은 최근 입는 행태의 변화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요즘은 기능성 의류가 대세다. 양말도 마찬가지다. 등산 할 때 발에 차는 땀을 흡수하고 발을 보호하는 기능까지 강조되고 있다."

다들 양말을 신어봤을 테니 아실 겁니다. 양말도 오른쪽과 왼쪽이 다릅니다. 목욕탕에 들어갔다 나와 양말을 신을 때 왼쪽에 신었던 양말을 오른쪽에 신었을 경우 반대쪽이 툭 튀어 나올 때가 있습니다. 바쁘지 않을 때는 차분하게 바꿔 신기도 하지만 대부분 그냥 신고 맙니다.

바보로 몰린 지인은 타박을 받으면서도 "요즘 등산 양말은 이런 걸 방지하기 위해 오른쪽(R)과 왼쪽(L)을 구분한다"고 설명하더군요. 이로 보면 참 살기 편한 세상입니다. 하지만 있는 사람들 말입니다. 없는 사람들이 문명을 즐기기란 쉽지 않습니다. 기능성 양말의 따뜻함처럼 훈훈한 연말 되면 좋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립니다.



태그:#양말, #바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