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경선 후보가 6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예방해 김영훈 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경선 후보가 6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예방해 김영훈 위원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예비후보가 6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을 방문했다. 문 후보는 김영훈 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민주노총 부산본부 출범 당시 지도위원과 고문 변호사 등을 맡았던 인연을 이야기하며 "오래전 친구를 만난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는 "참여정부 때 서로 입장이 달라져 조금은 마음이 착잡하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과 통합진보당 사이에 이상 기류가 흐르는 가운데 문 후보의 이날 민주노총 방문은 노동계의 조직된 지원을 호소하기 위한 것으로 읽힌다. 그는 19대 국회 개원 직후 당론 법안으로 근로기준법 개정안 등을 대표발의 하면서 노동현안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문 후보는 이날 자리에서도 "최저임금을 실질생계를 위한 수준으로 인상하고 최저임금위원회 구성에도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게 하겠다"며 현안 해결 의지를 보였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노동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대선캠프의) 노동본부장도 민주노총 출신이나 민주노총을 대표할 만한 분을 추가로 모시려 한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참여정부의 노동정책과 관련해 "노동분야가 가장 안 풀린 부분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본인도 그 부분을 크게 아쉬워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참여정부의 한계라면 정권교체 이후 (노동계와) 함께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렇게 분열되다보니 막강한 수구보수 세력에게 공격받고 왜소해졌다"고 진단했다.

참여정부의 한계를 어느 정도 인정한 문 후보는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에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 그는 "노사관계를 망침으로써 분배와 성장이 안 되는 문제를 낳는다"며 "참여정부도 한계가 많았지만 노사정위원회 활성화라든지 노동계를 파트너로 참여시키고자 노력했다"고 이명박 정권을 비판했다.

"'사람이 먼저다' 슬로건, 노동자들이 대접받는 사회 의미"

6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예방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경선 후보가 김영훈 위원장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6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예방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경선 후보가 김영훈 위원장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웃음을 터뜨리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또 "요즘 경비용역업체의 폭력을 보면 과거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반의 구사대를 보는 것 같고 공권력은 방조하고 있다"라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경비용역업체의 폭력행위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SJM 용역폭력사태를 민주당이 진상조사 활동을 벌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상임위 청문회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노조 조직률과 단체협약 적용율도 1987년 이전 수준으로 후퇴하고 있다"며 "'사람이 먼저다'라는 슬로건과 경제민주화 정책 등은 결국 노동의 가치나 노동자들이 대접받는 사회를 의미하고 경제정책에도 노동자를 중심에 놓고 좋은 일자리를 통해 성장을 달성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날 문 후보의 방문에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참여정부 당시 저는 철도노조 위원장으로서 파업을 하며 정부와 갈등하기도 했는데 서로 애증관계가 깊었다"며 "기대가 많았지만 실망도 컸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 정권이 들어선 후 늘어난 일자리는 용역깡패들의 일자리이고 대통령은 헌법이 보장한 노동기본권조차 부정하는 발언을 사석도 아닌 라디오에서 대놓고 하는 지경"이라며 "대통령이 그러니 노동현장에 깡패가 활개치고 경찰은 수수방관하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이에 문 후보는 "경영자 마인드를 그대로 국정운영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밖에 문 후보는 이 자리에서 비정규직을 현재의 50% 이하로 줄이고 정규직과 차별도 없애기 위해 '전국민 고용평등법' 공약을 마련과 공무원노조 합법화 등을 약속했다.


태그:#문재인, #민주노총, #김영훈, #대선, #최저임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