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알짜' 공기업의 민영화 논란을 낳았던 인천공항공사(아래 공항공사)의 급유시설 운영권 민간 임대가 당초 예상됐던 13일 이후로 미뤄질 전망이다.

 

1일 공항공사 관계자는 "(운영권 임대에 대해) 외부업체에 법적 자문을 구하는 중"이라면서 "기존 운영 업체인 (주)인천공항급유시설(아래 (주)급유시설)과 한시적으로 계약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내부 결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공항급유시설 민간 임대, 13일 이후로 미뤄질 듯

 

인천공항공사 급유시설은 인천공항의 드나드는 항공기들에게 연료를 공급하는 시설로 인천공항 내에서도 매년 약 170억 원의 이익이 나는 '알짜' 사업장으로 꼽힌다. 오는 13일자로 이곳 운영권을 갖게 되는 공항공사는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에 따라 이곳의 운영권을 5년간 다시 민간에 맡기기로 방침을 정해놓은 상태다.

 

'돈 되는' 사업장을 민간에 임대하겠다는 공항공사의 방침은 곧 여론의 반대에 부딪혔다. 지난달 말, 공기업 민영화 논란과 대한항공에 대한 특혜 의혹이 크게 불거지자 공항공사 측은 후임 사업자 입찰을 잠시 보류했다. 그러나 며칠만인 지난달 30일, 공항공사는 급유시설 사업자 선정을 당초 계획대로 진행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이때만 해도 공항공사 측은 운영권 입찰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영근 공항공사 부사장은 <경향신문>에 "무기 보류니, 다음 정권으로 넘긴다는 것은 헛소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사업자 입찰 공고도 8월 5일 이전에 내기로 했다.

 

그러나 1일 공항공사의 한 관계자가 밝힌 내부 사정은 공항공사의 공식입장과는 적잖은 온도차가 있었다. 이 관계자는 "공항공사는 1일 현재, 아직 입찰 공고에 필요한 법적 검토도 마치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새 사업자가 14일부터 운영을 해야 하는데 아직 사업자 입찰 공고 날짜도 안 나왔다는 얘기다. 특혜 의혹으로 세간의 이목이 쏠린 마당에 공개경쟁방식으로 잡음 없이 사업자를 선정하기에는 이미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는 "현재대로라면 급유시설 관리에 공백이 생긴다"면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주)급유시설이 일시적으로 추가 운영하는 안에 대해 내부에서 결재 과정을 밟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공항공사 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임시 운영방안은 (주)급유시설에 인건비를 지급하고 운영에 대한 일체의 이익은 인천공항공사로 귀속되는 내용이다. '후임 사업자가 선정될 때까지'라는 단서가 달렸지만 사실상 공항공사 직영이나 다름없는 방식이다.

 

"대한항공 입찰 못하면 공항공사 직영 가능성 높다"

 

국민적인 반대 여론에도 공공기업 선진화를 거론하며 급유시설 운영권 민간 이양을 밀어붙이던 공항공사가 시급한 입찰을 앞두고 주춤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민주통합당의 한 정책관계자는 "급유시설 입찰에 대한항공이 참여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급유시설 사업권 민간 위탁이 사실상 애당초 대한항공에 특혜를 주기 위해 시작된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러한 의혹은 지난달 25일 열렸던 국토해양위원회 산하기관 보고에서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이날 보고에 나선 이채옥 공항공사 사장은 민간 위탁에 대한 이렇다 할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기껏 내놓은 해명이란 연 170억 원을 안겨주는 (주)급유시설의 인력 40명을 인수하기가 부담스럽다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민간 위탁을 하지 말아야 할 이유들은 '차고 넘치게' 제시됐다. 우선 KDI가 공항공사 측에 급유시설을 직접 운영하라고 권고한 용역 보고서가 공개됐다. 전국 6개 공항 급유시설이 모두 해당 공항의 공사에 의해 직영되고 있다는 조사결과도 거론됐다.

 

이날 질의에 나선 김관영 민주통합당 의원은 회사 직원들에게 대한항공이 급유시설 위탁사업자로 이미 내정됐다는 내용의 발언을 한 (주)급유시설 임원의 음성 파일을 공개했다. 문제의 발언을 한 임원은 대한항공 자금부 부장을 지낸 후 (주)급유시설의 상무로 이직한 사람이었다.

 

국토위 야당 의원들은 이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으며 대한항공에 급유시설 운영권이 넘어가지 않도록 하라고 이채옥 공항공사 사장에게 주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이채옥 사장에게 급유시설 사업자 선정 관련 배임 가능성을 운운하며 이 사장을 강하게 압박하기도 했다. 이에 이 사장은 "문제가 되는 한진그룹은 낙찰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민주통합당 관계자는 "대한항공이 실질적으로 입찰할 수 없는 조건이라면 공항공사가 별도의 운영권 위탁공고를 하지 않고 직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공항공사 입장에서도 뚜렷한 특혜 목적이 없었고 단지 민간에 운영을 맡기는 게 목적이었다면 벌써 입찰 공고를 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대한항공이 특혜 수혜자로 정조준되면서 공항공사의 처신이 난감해진 셈이다. 이미 제 시간안에 운영사업 후임자를 찾기에는 늦었다. 기존 입장과 달리 공고를 미루며 (주)급유시설을 이용해 사실상 직접 운영에 나설 경우 대한항공에 대한 특혜 의혹을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태그:#인천공항, #급유시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