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퇴비를 만드는 방법을 시연하고 있다.
▲ 강연 중인 오창균 단장 퇴비를 만드는 방법을 시연하고 있다.
ⓒ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지난 6월 23일 텃밭선생님 양성교육 수료식을 진행했다. 총 10강을 마친 수강생들은 아직 학습이 부족하다며 심화학습을 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7월 11일 첫 번째 심화학습이 열렸다. 이 심화학습은 대전환경운동연합 교육센터에서 진행됐다. 첫 번째 강의는 오창균 텃밭사업단장(오 단장)이 몸이 편한 농사인 '태평농법'에 대해 강의했다.

오 단장은 "기종 유기농인 비닐·화학농약·화학비료를 안 쓰는 농법으로 진행하지만, 태평농법은 반갈이를 하지 않고, 미생물과 자가퇴비를 사용하며 제초없이 생명을 존중하는 농법"이라고 설명했다.

오 단장은 태평농법에서 가장 세심하게 신경써야 하는 것이 '풀'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강의 내용에 따르면, 풀이 작물보다 크지 않는다면 제초를 완벽하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제초를 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작물이 건강하게 자라게 되며, 벌레들이 풀을 먹으면서 병충해 피해가 적어진다는 설명이다. 이렇게 풀과 함께 자라게 한 땅은 매우 건강해져 작물이 잘 자라게 된단다. 결국 풀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지 않아도 되며, 이렇게 제초를 자제하는 것이 생명을 존중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설명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 생산

수강 중인 텃밭 선생님들의 모습
 수강 중인 텃밭 선생님들의 모습
ⓒ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태평농법은 실제 농약을 치는 것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를 생산한다고 한다. 오 단장은 "주변 관행농을 지으시는 분들이 우리 밭에 와서는 혀를 차고 가지만, 막상 수확량이나 병충해에 강한 모습을 보고 '어떻게 농사를 지었느냐'고 묻는다"고 말했다.

실제 태평농법은 작물을 튼튼하게 만들어 병충해에 강하게 하는 농법이기도 하다. 지나친 관리를 통해 수확량만 늘이고 작물의 건강을 해치는 관행농에 비해 훨씬 더 건강한 농법인 것이다.

오 단장은 강의에서 텃밭 재배시 사용할 수 있는 퇴비 만드는 법을 알려주기도 했다. 오 단장은 "음식물 등을 쌓아놓고 부엽토를 함께 섞어 3개월 이상 놔두면 퇴비로 사용할 수 있다"며 "거기에 풀액비와 부엽토 액비 등을 제조해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명체들의 공존, 태평농법이 답이다

천연 제재 만드는 모습
 천연 제재 만드는 모습
ⓒ 대전환경운동연합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이어 액비에 방선균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도 소개했다. 오 단장은 "밥과 부엽토를 함께 놓고 약 1주일 정도 밀폐시키면 흰색의 방선균이 나온다"며 "퇴비 제조시에 이 방선균을 사용하면 시간을 훨씬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오 단장에 따르면 집에서 생산된 효소인 김칫국물이나 막걸리 효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신기할 따름이다. 이 밖에도 간단하게 천연 제재를 만들어 병충해를 예방하는 방법 등을 시연하기도 했다.

오 단장은 틀밭에 대해서 설명하기도 했다. 틀밭은 이랑을 틀로 짜 흙의 유실을 막는 농법이다. 틀안의 흙 표면에 부엽토나 음식물 등을 덮어주면 풀은 자라지 않고, 작물은 잘 자란단다. 또, 흙도 살릴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많은 품을 팔지 않고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것.

오 단장은 "이런 농법 외에도 다양한 태평농법이 있다"며 "생명을 생각하면서 농사를 짓다보면, 제초나 곤충과 작물이 공존하는 농법을 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제초와 비닐 멀칭, 거기에 농약까지 사용하는 관행농보다 훨씬 소출이 많고 작물이 건강한 태평농법을 많은 사람들이 채택하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태그:#텃밭선생님, #대전환경운동연합, #태평농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