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2년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62주년이 되는 날이다. 나는 그때 여섯 살 난 소년이었다. 그때의 기억을 더듬어 내가 본 한국전쟁 이야기를 5회 정도 연재하고자 한다. 마지막회에는 최근에 발간된 한국전쟁 당시 프랑스 종군기자(AFP·르 피가르 소속) 네 명이 야전에서 발로 뛰며 작성해 전송한 기사들을 한데 묶은 <한국전쟁 통신>을 소개할 예정이다.

기사 사이에 소개하는 사진은 기자가 2004년, 2005년, 2007년 세 차례 미국 메릴랜드 주 칼리지 파크에 있는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에서 발굴한 것들이다. 이 한국전쟁 사진 자료 가운데 일부는 이미 오마이뉴스에 '사진으로 보는 한국전쟁'이라는 제목으로 30회 연재한 바 있다. 또한, 눈빛출판사에서 <지울 수 없는 이미지 1, 2, 3>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 장면> <한국전쟁 Ⅱ> 등의 제목으로 사진집을 펴냈다. - 기자 말

1950. 8. 25. 한 차례 전투기 공습이 끝나자 마을은 불타고 들길에는 피난민 시신이 널브러져 있다.
 1950. 8. 25. 한 차례 전투기 공습이 끝나자 마을은 불타고 들길에는 피난민 시신이 널브러져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피란민 행렬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그해 나는 여섯 살 난 소년이었다. 그 무렵 아버지와 어머니는 부산에서 살았고, 나와 바로 밑 여동생은 구미 할아버지 집에서 살았다. 아마도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외아들이 신접살림이 난 데다가 손자 손녀들이 연년생으로 넷이나 되자 위로 두 손자 손녀를 당신들이 대신 길러주고자 슬하에 둔 모양이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마자 인민군들은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왔다. 1950년 7월 31일에는 인민군이 진주, 김천, 상주, 함창, 영덕에 이르는 선까지 남하했다. 그들은 8월 15일 내로 부산까지 밀고 내려간다고 장담했다. 그런데도 대한민국 정부는 개전 초부터 전황을 사실대로 알리지 않아 백성들의 피란 행렬은 인민군의 진주 직전이거나 인민군이 진주한 다음에야 그들을 통해 전황을 알았다.

1950. 8. 24. 낙동강 유역의 피난민 행렬. 온갖 가재도구들이 다 보인다. 하지만 쌕쌕이(전투기) 공습이 오면 가재도구도 다 팽개치고 도망가기에 바빴다.
 1950. 8. 24. 낙동강 유역의 피난민 행렬. 온갖 가재도구들이 다 보인다. 하지만 쌕쌕이(전투기) 공습이 오면 가재도구도 다 팽개치고 도망가기에 바빴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그 무렵 우리 집은 구미 장터 마을에 살았는데 북으로부터 쏟아져 내려오는 피란민의 행렬과 북쪽인 아포에서 쏘아대는 인민군의 대포 소리를 듣고서야 허겁지겁 피란봇짐을 쌌다. 첫째, 둘째 고모 네도 장터 마을에 살았다. 그런데 우리 집에만 소가 있었다. 그래서 세 가구의 피란 짐을 모두 우리 집 소달구지에 실었다.

우리 집은 선산경찰서(구미 소재)와 100여 미터 거리로 바로 앞집 건넌방에는 신혼 순경부부가 살고 있었다. 그 순경이 출근 후 집으로 돌아오지도 못하고 군대를 따라 허겁지겁 갑자기 남으로 후퇴하자 홀로 남은 부인이 피란봇짐을 이고 징징 울면서 통사정하기에 할머니가 받아주었다. 그러다 보니 우리집 피란행렬은 네 가구로 피란민은 모두 열다섯이었다.

이미 남쪽으로 가는 열차는 끊긴데다가, 남으로 가는 신작로도 피란민으로 가득 찼다. 그래서 우리 집 피란 행렬은 금오산 오른 편 골짜기인 선기동 윗마을인 덤바우로 갔다. 하지만 북쪽에서 워낙 많은 피란민들이 구미 일대에 몰려들자 덤바우 마을은 먼저 온 피란민들이 이미 빈 방들을 차지하고 있었다.

1950. 8. 24. 낙동강 유역의 고달픈 피난민 행렬로 온갖 가재도구들을 남자는 지게로 여자들은 머리에 인 채 나르고 있다.
 1950. 8. 24. 낙동강 유역의 고달픈 피난민 행렬로 온갖 가재도구들을 남자는 지게로 여자들은 머리에 인 채 나르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우리 집 피란민 일행은 하는 수 없이 냇가에다 임시 거처를 마련했다. 열다섯 식구 가운데 아이들은 절반이었고, 내 또래가 셋이었다. 어른들은 난생처음 당하는 피란생활로 힘들었을 테지만 우리 조무래기들은 피란이 뭔지도 모른 채 마치 소풍을 나온 듯 시냇가에서 피라미를 잡거나 감자를 구워 먹는 등 낮 시간은 마냥 즐거웠다.

1950. 7. 29. 한 국군이 뙤약볕 속에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 후송시키고 있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전쟁터에서 맺어진 전우애는 눈물겹도록 아름답다.
 1950. 7. 29. 한 국군이 뙤약볕 속에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 후송시키고 있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전쟁터에서 맺어진 전우애는 눈물겹도록 아름답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밤이 되면 꼭 아이 울음소리 같은 늑대 울음소리에 무서워 떨었다. 실제로 늑대들이 득시글거려 어른들은 아이들을 한가운데 몰아 자게 한 뒤 사방으로 돌아누워 잤다. 그래도 불안하여 할아버지나 고모부는 행여 아이들이 늑대에게 물려갈까 봐 모닥불을 피우며 밤을 샜다. 아침에 일어나면 옆의 피란민 가운데는 어린아이를 늑대에게 잃었다는 소문도 들렸다.

우리 조무래기들은 감자가 떨어지자 메뚜기나 방아깨비를 잡아 냇가에서 구워 먹기도 하고 그래도 허기를 메울 수 없자 사촌 형과 누나를 따라 덕뱅이 마을에 가 감나무에서 떨어진 풋감을 주워 먹었다. 아이들이 풋감을 많이 먹은 다음 날은 똥이 나오지 않아 여기저기서 비명을 지르면 어른들은 꼬챙이로 똥구멍을 후벼 팠다.

할아버지나 고모부는 아이들 보호 못지않게 미혼인 고모나 사촌 누나의 보호에 무척 신경을 썼다. 미혼 고모나 사촌 누나는 피란 내도록 허름한 몸뻬 차림에 수건을 써서 나이든 여자로 위장케 했다.

1950. 8. 24. 피난길에 한 어머니가 거적 아래서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1950. 8. 24. 피난길에 한 어머니가 거적 아래서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총에 맞은 복실이

이따금 밤이면 총을 든 인민군들이 피란민 잠자리로 찾아와 전지불로 사람의 얼굴을 비추며 혹 피란민 대열 속에 국군이나 경찰이 숨어있는지 살폈다. 어느 하룻밤 인민군들이 임시 숙소로 접근하자 피란길에 같이 나선 둘째 고모네 복실이가 마구 짖었다.

"이 쌍놈의 개새끼!"

한 인민군이 따발총으로 마구 짖어대는 복실이에게 방아쇠를 당겼다.

"깨갱!"

1950. 7. 29. 경북 영덕, 한 인민군 전사가 논두렁 수로에 머리를 박고 숨져있다.
 1950. 7. 29. 경북 영덕, 한 인민군 전사가 논두렁 수로에 머리를 박고 숨져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복실이는 비명과 함께 어둠 속에 사라졌다. 날이 샌 뒤 언저리를 살펴보니 자갈터 마을로 핏자국 보였다. 그 핏자국은 점차 작아지더니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사촌 형과 누나는 "복실아!"라고 외치며 핏자국 방향의 마을인 자갈 터와 수점마을 등을 한나절 찾아 헤맸지만 끝내 찾지 못하고 돌아왔다.

그런데 이틀이 지난 한밤 중에 복실이가 절름절름 절면서 찾아왔다. 우리 집 피란민 일행 모두가 복실이를 번갈아 안아주면서 반가움을 전했다. 그의 뒷다리는 총알이 스쳐간 듯 그새 피로 엉겨 있었다. 고모는 헝겊으로 복실이의 상처를 감아줬다.

1950. 9. 20. 유엔군들이 포로들을 벌거벗게 검색하고 있다.
 1950. 9. 20. 유엔군들이 포로들을 벌거벗게 검색하고 있다.
ⓒ NARA, 눈빛출판사

관련사진보기



태그:#한국전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