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누리당 이혜훈·유기준·이정현 등 친박(親朴) 성향의 최고위원들은 18일 오전 최고위에서 완전 국민경선제 도입을 요구하며 '버티기' 중인 김문수·정몽준·이재오 등 비박(非朴) 3인방에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새누리당 이혜훈·유기준·이정현 등 친박(親朴) 성향의 최고위원들은 18일 오전 최고위에서 완전 국민경선제 도입을 요구하며 '버티기' 중인 김문수·정몽준·이재오 등 비박(非朴) 3인방에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완전 국민경선제 도입을 요구하며 '버티기' 중인 김문수·정몽준·이재오 등 비박(非朴) 3인방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이 새누리당 최고위에서 쏟아졌다.

친박(親朴) 성향의 최고위원들은 18일 오전 최고위에서 "민주적 발상이 아니다", "일반 당원들의 평균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면 후보 등록 절차를 밟으라", "면전에 대고 당헌당규를 만든 당원·국민들을 모욕하는 것" 등 공격적 언사로 비박 3인방을 난타했다. 친박(親朴)의 대반격이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이날 "경선규칙을 논의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어 달란 분이 있다"며 "그러나 새누리당 당헌·당규에 의하면 당의 모든 결정은 지도부인 최고위가 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비박 3인방 측 대리인들이 지난 15일 황우여 대표와 서병수 사무총장을 만나, 별도의 경선규칙 논의기구를 만들고 거기서 나온 합의안에 대해 최고위가 존중해줄 것을 요청한 것에 대한 반박이다.

이 최고위원은 이어, "지도부가 마음에 안 드니깐, 중대한 사안을 결정하는 기구를 따로 만들란 얘기는 국민과 당원을 무시하는 처사이자, 민주적 발상이 아니다"며 "하자 없이 선출된 사람들이 (자신들의) 입맛대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제치겠단 건 민주주의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정현 "당 지도부더러 '앞잡이'라고? 당원·국민을 모욕한 것"

유기준 최고위원도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할 경우 역선택의 문제가 남아있고 상당한 선거비용이 소요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 비박 3인방의 요구를 일축했다.

유 최고위원은 특히, "(경선규칙이 명시된) 당헌·당규를 개정하지 않으면 후보로 등록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헌법이 개정되지 않는다고 기존 헌법기능이 정지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소크라테스적인 준법의식을 강요한 것도 아닌데 일반 당원들의 평균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면 당의 후보 등록 절차를 시작해야 할 것임을 이 자리서 밝힌다"고 말했다.

그동안 최고위 공개 발언을 삼가던 이정현 최고위원도 비박 3인방을 공개적으로 질타했다. 이 최고위원은 "새누리당의 절대적 기반은 당헌이다, 당 구성원이 당헌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거나 도외시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현 경선규칙은 2007년 대선경선이 있기 2년 전인 2005년 9개월 동안 57차례의 회의를 거쳐 만들고 유·불리에 따라 함부로 손 못대로 헌법처럼 당헌에다 규정한 것"이라며 "수십만 명이 참여해 만든 것을 두, 세 사람이 단 몇 주 만에 고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또 "최근 당원과 국민이 선출한 지도부에 대해 '환관', '앞잡이', '대리인' 등 민망한 용어로 공격하는 사람이 있다"며 "이것은 지도부를 구성한 당원과 국민을 면전에서 모독하는 발언이다, 지도부는 비판의 대상은 될 수 있지만 공격의 대상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우리 모두가 사랑하는 이 당에 대해 아무개 사당화, 아무개 당이네 이런 식으로 당내에서 공격하는 것도 당원과 국민에 대한 무시"라며 '박근혜 1인 사당화'를 비판하는 비박 3인방에 대해 각을 세웠다.

정우택 "당대표 직속 경선규칙 논의기구 설치 요구 받아주자"

한편, 여·야를 망라하는 완전국민경선제 합동토론회를 제안했던 정우택 최고위원도 "경선규칙에 대한 논의도 시작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신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것은 정치지도자로서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고 꼬집었다.

다만, 정 최고위원은 "어떤 방식으로든 경선 규칙에 대한 반발과 후유증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중재안을 제시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지난 17일 황우여 대표에게 '당대표 직속 경선규칙 논의기구'를 설치하되 경선 후보로 등록한 후보만 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이다.

정 최고위원은 "당 지도부가 결단을 내려 논의기구를 최고위 산하가 아니라 당대표 직속을 하자는 제안을 수용하고 필요하다면 경선규칙 논의기구의 결정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겠단 것도 검토해달라"고 말했다.

또 "논의기구의 실질적 권한과 위상을 인정하고 경선을 치르겠다는 후보 간 사전 동의가 반드시 있어야 하고 활동시한도 명확히 정해야 한다"며 "경선에 참여하겠다고 등록한 후보들만 이 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태그:#새누리당, #박근혜, #비박3인방, #완전 국민경선제, #친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