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충석 여수시장이 22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 기자회견 김충석 여수시장이 22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 여수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평일보다 손님이 더 없어요. 박람회 열리면 이곳 식당들 미어터질 줄 알았는데 한가합니다. 이게 무슨 박람회 개최한 도시인가요?"(여수 남산동 수산시장 갓김치 판매상인)

"50대 아줌마들이 박람회장에서 자원 봉사하느라 계모임도 안 해요."(한국 외식업 중앙회 여수시지부 김소연 사무국장)

"숙박업은 박람회 시작 전이랑 후랑 비슷해요. 관람객이 적게 온 이유도 있지만 조직위가 마련한 여수 산단 환승주차장 때문에 여수로 관광객이 안 오는 것 같습니다."(사단법인 대한숙박업 중앙회 전남 남부지회 사무국장 한상태)

"숙박업체와 가격협의가 안 됐습니다. 관광 상품을 만들지 못했고, 홍보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단체손님을 여수로 모실 수 없었어요."(전남 관광협회 여수시지부 정성열 회장)  

여수가 한가합니다. 도로에 불법 주차된 차량도 보기 힘듭니다. 덕분에 예전에 비해 길이 더 넓어졌습니다. 자동차도 많이 다니지 않습니다. 시가 줄기차게 강조한 '승용차 안타기 운동' 때문입니다. 세계적인 잔치가 여수 경제를 살릴 것이라는 기대를 잔뜩 품었는데 틀렸나봅니다. 시민들 모두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밥 먹고 잠자는 일은 여수 벗어나서 해결?

여수시 학동에 위치한 숙박업소 밀집지역입니다.
▲ 숙박 여수시 학동에 위치한 숙박업소 밀집지역입니다.
ⓒ 황주찬

관련사진보기


5월 22일 오전, 여수시 학동에 있는 B호텔을 찾았습니다. 그곳에서 일하는 정호진 대리는 "숙박 예약율은 40% 정도"라며 "박람회장 근처에 있는 숙박업소는 조금 형편이 나을지 몰라도 이곳은 파리가 날린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시내 쪽으로 차량 유입이 되지 않으니 손님이 없다"며 한숨을 내쉽니다.

옆 건물이 G모텔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장인 임아무개씨는 "박람회 전보다 더 못하다"며 "방이 안찬다, 출장 온 손님도 없다, 여수가 복잡하다고 해 회사들이 출장도 늦추고 있는 모양"이라고 하소연합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여수시내로 들어오는 차량을 막는 것이 문제'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박람회 조직위는 관광객이 몰고 온 차량을 여수시 입구에 있는 여수 산단 환승주차장으로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셔틀버스 타고 박람회장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박람회를 재밌게 구경한 관광객들은 다시 환승주차장으로 갑니다. 그리고 여수를 떠나죠. 시내로 들어올 이유가 없습니다. 밥 먹고 잠자는 일은 여수 밖에서 해결합니다.

시민도 박람회장으로 발길 옮겨 더 한산

여수시 남산동 수산시장입니다. 평일에도 이곳은 사람들로 북적이는 곳입니다. 박람회가 열렸는데 이곳은 거꾸로 한산합니다.
▲ 남산동 수산시장 여수시 남산동 수산시장입니다. 평일에도 이곳은 사람들로 북적이는 곳입니다. 박람회가 열렸는데 이곳은 거꾸로 한산합니다.
ⓒ 황주찬

관련사진보기


거리를 지나는 사람이 없습니다. '박람회 특수'를 기대했던 음식점, 숙박업소, 상점들은 아우성입니다. 박람회가 열리면 시 전체가 사람들로 넘쳐날 것이라는 생각은 큰 착각이었나 봅니다. 시민들조차 재미있는 구경거리가 가득한 박람회장으로 발길을 옮깁니다. 그래서인지 거리가 더 썰렁합니다.

박람회가 여수를 한산한 도시로 만들었습니다. 큰 규모의 행사가 열리니 이런 일도 생기네요. 급기야 한가한 시내를 한숨만 쉬며 바라보던 단체들이 목소리를 냈습니다. 지난 18일, (사)한국외식업중앙회 전남지회 여수시지부는 박람회 조직위에 건의문을 보냈습니다.

이 단체는 조직위에 "시내 환승주차장부터 차를 채운 후 그곳이 꽉 차면 먼 거리 환승주차장으로 차를 유도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 "가능하면 여수국가산단 내 환승주차장을 폐쇄해 달라"며 "평일 자가용 운행 및 시내 도로변, 갓길 주차를 허용하고 검은 모래로 유명한 만성리 해수욕장 활성화를 위해 마래터널 구간의 모든 차량 통행 제한도 풀어달라"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단체는 "오동도 입구 차량통행 및 주차를 허용하고 동백열차도 운행해 달라"며 "외지 관광객 차량 중 자가용이나 승합차는 환승주차장으로 주차를 유도하지 말고 자유 관광을 하도록 조치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여수시장 "예약기피, 요금인상... 관람객 등 돌리게 했다"

여수시 봉산동 게장거리입니다. 이곳 게장맛은 전국적으로 유명합니다. 식당주인 말이 손님이 눈에 띄게 늘지도 않았답니다.
▲ 봉산동 게장거리 여수시 봉산동 게장거리입니다. 이곳 게장맛은 전국적으로 유명합니다. 식당주인 말이 손님이 눈에 띄게 늘지도 않았답니다.
ⓒ 황주찬

관련사진보기


상황이 퍽 심각한가 봅니다. 김충석 여수시장도 심각함을 느꼈는지 5월 22일 오전에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김 시장은 최근 빚어지고 있는 시내 공동화에 대해 "개막 초기에 언론에 보도된 바와 같이 숙박업소들의 예약 기피와 일부 업소의 지나친 요금 인상 등이 관람객의 등을 돌리도록 자초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시장은 "지나치게 많은 관람객 수요 예측으로 관람객들의 차량을 외곽 환승주차장부터 채우다 보니 관람객들이 여수시내에 들어갈 기회가 없어 공동화가 심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는 "다행스럽게 최근에는 상인들 스스로 반성하고 바가지 요금에 대한 자정 노력을 하고 있고, 정부와 조직위도 승용차와 관광버스를 시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여수시의 건의를 매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바가지 상혼이 사라지고 시내에 차가 유입되기 시작하면 시내 공동화는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그는 "여수시내 일원에 조성된 2만1천여 면의 임시주차장은 현재 관람객 수준인 5~6만 명 정도는 무난히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외 관람객들은 30만 여수시민들을 믿고 여수에 와 지구촌 축제를 즐기길 바란다"고 자신있게 말했습니다.

여수시와 조직위가 이런 사정을 심각히 받아들이고 빠른 해결책을 내놓으면 좋겠습니다. '박람회 특수'까지는 아니어도 여수 시내가 평일보다 사람들 왕래가 없으면 안 되니까요.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여수넷통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여수세계박람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세 아들 커가는 모습이 신기합니다. 애들 자라는 모습 사진에 담아 기사를 씁니다. 훗날 아이들에게 딴소리 듣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세 아들,아빠와 함께 보냈던 즐거운(?) 시간을 기억하겠죠.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