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0일 안양시의회 본회의에서 최대호 시장에게 질문을 하는 이재선 시의원
 10일 안양시의회 본회의에서 최대호 시장에게 질문을 하는 이재선 시의원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경기 안양시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안양교도소 이전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법무부가 추진해온 안양교도소 재건축에 안양시가 반대해 이전을 추진하면서 관내 이전지가 거론돼 시의원들이 반대하자 최대호 안양시장이 "1차로 관외 이전을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 시장은 10일 오전 제183회 시의회 임시회 1차본회의 시정질문에서 한나라당 이재선 의원과 민주당 박현배 의원의 교정시설 이전과 관련 "이전 적지가 어디냐"고 질문하자 "민감한 사안으로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했다.

그러나 최 시장은 "구체적으로 어디냐"는 질문을 받자 "이전지가 관내인지, 관외인지는 말씀드릴 수 없다"며 답해 다소 헷갈리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현재 광명시와 안양시 만안구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가 제기되고 있음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 최 시장은 최근 모 지방언론 보도를 통해 거론돼 논란의 단초가 됐던 교도소 이전후보지에 대해 "아무것도 결정 바 없다. 너무 앞서간 보도였다"고 밝혔다.

이는 안양시가 지난 5월 교도소이전타당성 용역을 발주한 이후 모 지방일간지에 광명KTX역사 인근, 석수동 경인교대 주변, 하수처리장 주변 등이 이전부지로 거론되자 광명시와 광명시민은 물론 안양 박달동 주민과 시의원들도 거세게 반발해 왔기 때문이다.

최 시장은 협의지연에 따른 교도소 붕괴 등 문제발생시 책임소재에 대한 질문을 받고는 "우리시의 미래발전을 봤을 땐 교도소 재건축을 허용할 수 없다"고 강하게 못을 받고는 "장기간이 소요될때 일부 시설을 보수하는 쪽으로 허가를 내주겠다"고 밝혔다.

최 시장은 "현재도 법무부는 교도소 재건축을 주장하고 있고,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회의를 갖고 있는 실정(교도소 이전에 따른 협의가 난항으로) 이다"며 "어느 정도 성숙단계가 필요했기 때문에 중간 용역도 받지 않고, 납품도 연기됐던 것이다"고 설명했다.

안양교도소 감시탑
 안양교도소 감시탑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한편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에 자리한 안양교도소는 마포에서 이전해 1963년 9월 3일 개소해 건축한지 48년인 노후화된 건축물로 법무부가 1993년 수도권 외곽 타 시로의 이전을 추진하다 포기한 후 표류하다 재건축쪽으로 선회해 지난해 12월 안양시에 '안양교도소 재건축 협의' 건을 요청했으나 안양시는 법무부의 요청을 거부하고 이전을 제안했다.

안양시는 38만3000㎡에 달하는 안양교도소가 안양, 군포, 의왕 등 3개시 통합의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위해 이전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는 법무부에 전달하고 지난 5월 한국산업관계연구원에 안양교도소 이전 타당성조사분석 용역을 의뢰하고 당초 지난 6월말 완료할 예정이었나 7월 29일, 9월 29일 등 3차례나 용역 준공이 연기된 상황이다.


태그:#안양, #안양교도소, #최대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