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한약사회가 운영하는 심야응급약국(자료사진).
▲ 당번약국. 대한약사회가 운영하는 심야응급약국(자료사진).
ⓒ 소재현

관련사진보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이 56개 심야응급약국(100%조사) 및 119개 당번약국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총 56개 심야응급약국 중 문을 닫은 곳은 14%(8곳), 심야응급약국이 단 한 곳뿐인 강원권은 그나마도 문을 닫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18일 경실련은 전국 총 56개 심야응급약국 등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심야응급약국'에 대한 실효성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일반약 슈퍼 판매'의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3일부터 14일까지 현재 운영 중인 전국 심야응급약국 총 56곳 전부(서울13, 부산3, 대구2, 인천4, 광주3, 대전2, 울산1, 강원1, 경기12, 충북2, 충남3, 전북2, 전남3, 경북2, 경남1, 제주2)와 당번약국 중 119개(대구6, 대전4, 강원2, 충남5, 전북18, 전남17, 경북1, 경남9, 부산45, 광주12)를 방문해 운영여부를 확인하고, 의약품(까스활명수, 겔포스엠)을 구매하며 복약지도와 위생복 착용 여부를 중심으로 조사했다.

지난해 시범사업 기간에는 한 곳도 없었다가 올해 한 곳 운영한다던 강원권의 경우는, 그마저도 문을 닫아 심야에 이용할 수 있는 약국이 단 한 개도 없었으며, 또한 119개 전국의 당번약국 중 10%(12곳)가 영업을 하고 있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경실련은 "지난해 시범사업 이후 약사회가 국민들의 약 구매 불편요구를 회피하며 심야응급약국을 확대하겠다고 공언해 왔음에도 실제 운영여부를 확인한 결과, 국민들이 전국적으로 심야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약국 수가 전국 약국의 0.2%인 48개에 불과하다"며 "그나마도 지역적 편차와 불균형이 심각한 것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과 같이 공식홈페이지에서 전국적으로 몇 개 안되는 심야응급약국을 운영한다고 게시해 놓고 지역주민이 심야시간에 약이 필요해 어렵게 약국을 찾아갔으나 약을 구입하지 못하고 헛걸음을 하게 되는 사례가 생긴다면 심야응급약국의 지속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복약지도를 해주는 약국은 단 4%

복약지도에 관한 부분도 경실련의 조사 대상이 됐다. 경실련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심야응급약국에서 직접 의약품을 구매했을 때 46곳(96%)에서 복약지도나 아무런 설명없이 약을 판매했고, 119곳의 당번약국 조사에서도 복약지도가 이뤄진 곳은 5곳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경실련은 "경실련이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의 판매를 주장해 온 상비약 수준의 간단한 약은 전국의 약국에서 아무런 설명 없이 약이 판매되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라며 "간단한 약조차 약국에서의 판매를 고집하는 약사회의 주장에 명분이 없음을 다시 한번 증명해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약사의 위생복 착용여부 조사에서도, 심야응급약국 중 17곳에서는 위생복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 약을 판매하고 있었고, 119개 당번약국 중 49%인 52곳에서도 위생복을 미착용한 채로 약을 판매하고 있었던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경실련은 "비약사에 의한 약 판매가 실제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상비약 수준의 약 판매가 이뤄질 경우와 무엇이 다른지 납득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경실련은 끝으로 "복지부가 지금까지도 국민의 의약품 구매 불편과 접근성 제고와 관련한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무부처로써 책임의식을 갖고 근본대책 마련에 서둘러 달라"고 요구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여약사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경실련, #심야응급약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