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올 여름 여행지는 먼저 봉하마을로 정하고 거기에 맞춰 창녕-합천-산청-함양을 둘러보기로 했다. 빡빡한 일정에도 굳이 합천을 넣은 것은 역사적으로 '역적괴수'로 그려진 정인홍이 합천 사람이고 늘 마음 속에 담고 있었던 영암사터가 합천에 있기 때문이다.

편안하게 앉아 뭐든 궁금해 하고 추측하고 상상할 수 있어 폐사지는 매력적인 곳으로 존재한다.
▲ 영암사터 정경 편안하게 앉아 뭐든 궁금해 하고 추측하고 상상할 수 있어 폐사지는 매력적인 곳으로 존재한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정인홍은 역사적으로 비뚤어진 평가를 받은 대표적 인물이다(정인홍은 남명 조식의 제자로 인조반정 당시 역적으로 몰려 죽음을 맞았다: 편집자주). 역사적 평가는 승자에 의해 얼마든지 왜곡될 수 있다. 노무현 대통령 묘소를 보고 정인홍을 떠올리게 된 것은 이런 우려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1주기가 지난 지 얼마 안돼서 사자에 대한 예우를 저버리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일들이 앞으로도 계속 될 수 있기에 왜곡된 평가를 받는 정인홍의 묘소를 꼭 가보고 싶었던 것이다.

무더운 여름, 정인홍 묘소는 더욱 가슴을 답답하게 하였다. 아침 먹기 전에 들른 해인사를 뒤로 한 채 영암사터로 향하는데 비가 내렸다. 라디오 93.1MHZ에서 흘러나오는 베토벤월광소나타1악장의 선율에 맞춰 우-두-둑 우-두-둑 내릴 뿐, 비마저도 시원하게 내리지 못하였다. 월광3악장처럼만 내렸어도 응어리진 가슴이 조금씩 풀리기 시작할 텐데 말이다. 

해인사에서 영암사터로 가려면 합천댐이나 합천읍을 거쳐야 한다. 합천댐 길은 댐물이 산허리를 자르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댐에 갇힌 물이 성을 낼 것만 같아 댐으로 가는 길을 포기하고 합천읍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합천읍에서 영암서터까지는 산과 들이 번갈아 있는 한적한 2차선도로다. 영암사터에 가까워지면서 계단식 논이 보이기 시작한다. 밭이 있을 자리인데 논이 있어 눈에 익숙하지는 않다. 산줄기마다 뻗어 내린 계단식 논은 영암사터까지 이어진다. 계단식 논은 화려한 풍광과 다르게 애잔한 감동을 선사한다.

계단식 논이 눈에 익을 즈음 황매산 모산재 어귀에 다다른다. 여기부터는 좁은 마을 길을 따라 올라가야 한다. 수탈로부터 쌍사자석등과 삼층석탑을 지킨 마을사람들의 심정을 생각하면 차로 좁은 마을길을 통과하기란 그리 마음 편한 일이 아니다. 산허리에 나이든 느티나무를 보고나서야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느티나무 옆으로 들어가면 영암사터 옆구리로 들어가는 것이다. 어차피 멀리 덕만주차장에서 출발하여 걸어서 산 넘어오기 전에는 절의 옆구리부터 볼 수밖에 없다. 절 앞으로 가자면 새로 지은 절 쪽으로(오른쪽)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절터 정면에 서자, 안개로 황매산 정상은 어렴풋이 보이지만 그 정기는 안개에 젖듯 온몸에 내려앉는다. 몇 단의 거대한 석축 위에 흐릿하게 석탑의 모습이 보인다. 예전에 밭이었던 절 맨아래 부분도 지금은 석축을 쌓아 말끔히 정리되어 있다. 석축 하나만 봐도 이 절이 예사로운 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눈길이 금당터에 이르면 이런 추정은 확신에 이르게 된다.

잘 다듬은 돌을 가지런히 쌓고 일정하게 쐐기돌을 박아 견고하나 밋밋하지 않게 하였다. 석축 하나만 보아도 이 절의 기품이 느껴진다.
▲ 중문터 석축 잘 다듬은 돌을 가지런히 쌓고 일정하게 쐐기돌을 박아 견고하나 밋밋하지 않게 하였다. 석축 하나만 보아도 이 절의 기품이 느껴진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삼층석탑 아래 석축은 동남쪽 중문터에 일부 남아 있던 석축을 근거로 다시 복원한 것이다. 중문터석축은 잘 다듬은 돌을 질서정연하게 쌓고 일정한 간격으로 쐐기돌을 박았다. 쐐기돌은 기능적으로 보면 쌓은 돌이 균형을 잡고 서로서로 지탱하게 하는 것인데 일정한 간격으로 박아 놓아 하나의 무늬 역할도 한다. 석축의 규모나 쌓은 정성을 보면 불국사에 버금가는 절이라 할 만하다. 이런 오지에 이런 석축을 쌓은 절이라, 정말 신비롭기만 하다.

긴 석축 한 가운데를 뛰어나오게 쌓아 쌍사자석등만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 선조의 탁월한 공간운영 능력이 엿보인다
▲ 금당터 앞 석축 긴 석축 한 가운데를 뛰어나오게 쌓아 쌍사자석등만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 선조의 탁월한 공간운영 능력이 엿보인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이러한 석축열은 금강터로 이어진다. 금강터 석축 또한 잘 다듬은 돌로 남북으로 길게 쌓았다. 석축 가운데 부분은 축대를 쌓아 앞으로 튀어나오게 처리하였는데 이 공간은 순전히 석등만을 위한 것이다. 영양서석지의 사우단을 보는 것 같다. 영양 서석지의 네모난 연못 중에 화단 공간이 없는 주일재 앞을 여기처럼 튀어나오게 사우단이라는 멋진 화단을 만들었다. 서석지 주인이 영암사터를 보고나서 쌓았는지 모르지만 우리선조의 공간 운영능력은 대단한 것 같다.

화강암을 통째로 깎아 만들었다니, 우리 선조의 석공기술은 어디까지인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 무지개돌계단 화강암을 통째로 깎아 만들었다니, 우리 선조의 석공기술은 어디까지인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축대 양옆으로 앙증맞은 무지개돌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떨어져 있을 뿐 쌍무지개가 뜬 것 같다. 화강암을 통째로 깎아 만들었다니, 우리 선조의 석공기술은 어디까지인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통나무를 파고 깎아 내어 만든 병산서원의 만대루와 함양 화림동계곡의 동호정 나무계단을 보고나서, 그 기발함과 정성에 놀라는데 이 돌계단을 보면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이 계단에 발을 디디면 어깨가 웅크려지고 몸이 앞으로 숙여진다.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몸을 낮추어 겸손한 마음으로 들어가야 함을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 무지개돌계단 이 계단에 발을 디디면 어깨가 웅크려지고 몸이 앞으로 숙여진다.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몸을 낮추어 겸손한 마음으로 들어가야 함을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단을 오르게 되어 있어 계단이지 옆으로 뉘어 보면 무지개다리모양을 하고 있다. 필시 홍예다리의 원조는 아닐는지. 불국사의 청운교 백운교를 흉내라도 낸 건 아닐까? 다리는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을 연결하기도 하고 구분하기도 한다. 이 계단에 서는 순간 차안의 세계에서 피안의 세계,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서기 전에 갖추어야 할 숭고하고 엄숙한 마음가짐이 저절로 생긴다. 

그래서 그런지 돌계단은 발바닥에 반만 걸칠 수 있도록 작게 만들었다. 이 계단에 발을 디디면 어깨가 웅크려지고 몸이 앞으로 숙여진다. 절에서 대웅전 영역에 들어가려면 키 작은 누각 밑을 통과하여 몸을 숙여야 하듯이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가려면 몸을 낮추어 겸손한 마음으로 들어가야 함을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석축과 돌계단에 쏟은 정성이 이 쌍사자석등에 오면 절정에 이른다. 이 석등이 서 있는 곳에 서면 거칠 것이 없이 앞이 훤히 보여 시원하다
▲ 쌍사자석등 석축과 돌계단에 쏟은 정성이 이 쌍사자석등에 오면 절정에 이른다. 이 석등이 서 있는 곳에 서면 거칠 것이 없이 앞이 훤히 보여 시원하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축대 위에는 쌍사자석등이 우뚝 힘있게 서있다. 석등 앞에 서면 걸리는 것이 없다. 눈이 시원해진다. 석축과 돌계단에 쏟은 정성이 이 쌍사자석등에 오면 절정에 이른다. 석등을 받치고 있는 사자의 뒷모습을 보면 힘 좋은 장정을 보는 것 같다.

엉덩이는 힘을 바짝 주어 처지지 않고 바짝 올라붙었다. 긴장감이 도는 가운데서도 두둑해진 엉덩이와 두 사자다리사이에 형성되는 곡선은 질서정연한 석축의 직선과 잘 어울린다. 다리사이로 조그맣게 보이는 삼층석탑은 마치 막 피려고 하는 연꽃꽃몽우리에 어려있는 듯 예쁘게 보인다.

 두마리 사자 앞다리는 묘하게 연꽃 꽃봉우리 모양이 되었다. 이 안에 들어온 삼층석탑은 연꽃봉우리에 어려있는 듯 보인다.
▲ 쌍사자석등 사자다리사이로 본 삼층석탑 두마리 사자 앞다리는 묘하게 연꽃 꽃봉우리 모양이 되었다. 이 안에 들어온 삼층석탑은 연꽃봉우리에 어려있는 듯 보인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쌍사자석탑 뒤는 금당터 영역이다. 여기도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는다. 금당터는 사방에 기단을 쌓았고 네 곳에 계단을 놓았다. 석등과 돌계단, 석축을 감안하면 금당터가 어땠을까 가히 짐작이 간다. 지금 남아있는 흔적만 봐도 정성을 보통 드린 게 아니다.

계단의 소맷돌은 한군데는 소실되고 세 군데만 남아있는데 모두 가릉빈가를 조각해 놓았다. 불국사 대웅전소맷돌의 버선코같은 둥근 맛과 통도사 대웅전의 세련된 멋에다 가릉빈가의 청량한 소리까지 미각, 시각, 청각을 자극하는 소맷돌이다. 계단에 태극무늬도 아니고 꽃모양도 아닌 가릉빈가로 소맷돌을 장식할 생각을 했을까? 보고 또 다시 보면 무한한 경외감이 생긴다.

가릉빈가로 소맷돌을 조각한 것은 영암사터 소맷돌이 유일한 게 아닌가 싶다. 정성이 구석구석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 금당터 가릉빈가 소맷돌 가릉빈가로 소맷돌을 조각한 것은 영암사터 소맷돌이 유일한 게 아닌가 싶다. 정성이 구석구석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기단면석에 조각해 놓은 사자는 어떤가? 따뜻한 햇살아래 졸고 있는 삽살개마냥 순한 표정을 짓고 있는 놈이 있고 뒤로 머리를 돌리며 정신을 바짝 차려 경계를 하는 놈이 있다. 어느 한구석 그냥 놔두지 않아 생동감있게 조각해 놓았다. 석등의 쌍사자의 지휘아래 가릉빈가는 맑고 청아한 새소리를 내고 기단부의 여섯 사자는 제각기 다른 굵고 중후한 소리를 내어 금당터에는 환상의 아름다운 선율이 맴돈다.

돼지 코를 하고 있고 그지 없이 순한 표정을 하고 있어 통 사자로 보이지 않는다. 무서운 얼굴만 금당을 잘 지키는 게 아니다.
▲ 금당터 기단부 사자상 돼지 코를 하고 있고 그지 없이 순한 표정을 하고 있어 통 사자로 보이지 않는다. 무서운 얼굴만 금당을 잘 지키는 게 아니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금당터 왼쪽 위로 조사당터로 추정되는 건물터가 있다. 여기에 비석을 잃은 돌거북 한쌍이 몇 발자국 거리를 두고 있다. 각기 시대를 달리 하는데 남쪽에 있는 게 나중에 생긴 것이다. 영암사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는 가운데 이 남쪽 돌거북에 세워진 비문이 탁본으로나마 전해진다. 적연국사자광탑비로, 여기에 적힌 문구가 이 절이 영암사라는 사실을 알리는 유일무이한 존재다.

조사당터에 와서 비석을 잃은 돌거북을 가만히 쳐다보고 있으면, 이 만한 절이 이런 외진 곳에 언제, 무슨 연유에서 생겼으며 어떻게 폐사되었는지 이 절에 대한 궁금증은 더해간다. 남아 있는 기록은 거의 없다. 이러한 기록이 고의적으로 파손된 것으로 의심이 들 정도다.

이 절은 신라 하대내지 통일신라에 생겨서 고려말이나 조선 초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임란이나 호란처럼 그 사이에 큰 변란이 없었음에도 철저히 파괴된 점이 궁금하기만 하다. 혹시 남양주 회암사처럼 어떤 정치적인 이유에서 폐사가 된 것은 아닌지 모를 일이다.

조사당터에 이르면 이 절에 대한 궁금증이 더해만 간다. 이런 오지에 이렇게 대단한 절이 왜 세워졌는지, 이 절이 왜 폐사되었는지, 혹시 정치적인 이유에서 폐사된 건 아닌지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 조사당터쪽에서 내려다본 영암사터 정경 조사당터에 이르면 이 절에 대한 궁금증이 더해만 간다. 이런 오지에 이렇게 대단한 절이 왜 세워졌는지, 이 절이 왜 폐사되었는지, 혹시 정치적인 이유에서 폐사된 건 아닌지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전문가가 아닌 여행객이 이래서 편한지 모른다. 거리낌없이 아무 상상이나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전문가에게는 연구거리가 여행객에게는 즐거움이 되기도 한다. 사력(寺歷)과 사세(寺勢), 생성과 폐사에 대해 궁금해 하고 추정하고 상상하는 것이 폐사지가 여행객에게 주는 매력이다. 영암사터는 위대한 석물과 함께 이런 상상력을 자극하는 하늘아래 최고의 폐사지가 아닌가 싶다.


태그:#영암사터, #쌍사자석등, #무지개돌계단, #석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美不自美 因人而彰(미불자미 인인이창), 아름다움은 절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인하여 드러난다. 무정한 산수, 사람을 만나 정을 품는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