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6.2 지방선거에서 전국적 현안으로 부상한 '친환경 무상급식'의 시행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마련됐다.

 

충남지역 2백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충남운동본부는 지난 22일 오후 충남학생교육문화원 소강당에서 '친환경 무상급식 실시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천안학교급식협의회 상임대표인 장기수 천안시의회 부의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는 친환경 무상급식 실시를 위한 여러 방안 등이 다각도로 논의됐다. 친환경 무상급식에 대한 높은 기대와 관심을 반영하듯 방청석도 입추의 여지없이 꽉 찼다.

 

김호 단국대 교수는 토론회 주제발표에서 "무상급식을 강조한 나머지 친환경급식의 의미가 희석되어서는 안 된다"며 "현실적인 조건이 미흡하다면 학교급별 또는 읍면동별 등의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더라도 반드시 무상급식과 친환경급식이 동시에 추진되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친환경 무상급식의 실시는 도내 친환경농업 확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학교급식에 필요한 전 품목을 친환경농산물로 전환하는 것은 생산기반 확보 측면에서 점진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토론자들은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에 필요한 조건 등을 언급했다.

 

토론자인 임춘근 충청남도 교육의원은 "초.중.고 특수학교까지 포함한 충청남도 전체 무상급식을 위해서는 1286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며 "도의회에서 친환경 무상급식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안에서 향후 친환경 무상급식 추진을 위한 예산협의, 업무 분담 등 구체적 성과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황태화 충남교육청 학교급식담당사무관은 "학교에 납품하는 식재료가 학교자율에 맡겨 운영되고 있으나 안전하고 질 좋은 식재료 확보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기하기 위해 권역별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근혁 전국농민회총연맹 충남도연맹 사무처장은 학교급식 식자재 공급에서 지역산 우선이냐, 친환경 우선이냐의 문제에 대해 사전 합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사무처장은 "식자재 대상이 되는 농산물의 친환경 생산이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시.군 단위에서 자체 공급하는 품목이 친환경 농산물이 아닌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군 단위 자체 공급 품목에 대해 지역내에서 친환경 농산물이 없다면, 우선 지역내 생산 농산물을 공급하는 것에서 출발해 2~3년의 준비환경 농산물을 공급하기로 합의하는 방식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충청남도영양교사회 회장인 김영분 광덕초 영양교사는 "학교회계직인 영양사의 처우를 개선해 급식의 효율성을 높이고 영양교사 증원으로 급식을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천안지역 주간신문인 천안신문 583호에도 실립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충청남도, #친환경무상급식,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충남운동본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