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어린 손녀의 철없음으로 오갈데 없어 진 순진이. 순진이는 동물자유연대에서 보호하다 입양이 되었습니다.
▲ 안락사를 시켜달라고 동물자유연대에 맡기고 간 순진이 어린 손녀의 철없음으로 오갈데 없어 진 순진이. 순진이는 동물자유연대에서 보호하다 입양이 되었습니다.
ⓒ 동물자유연대

관련사진보기


한 아이에게 벌레를 밟지 말라고 가르치는 것은 벌레를 위한 것만큼이나 그 아이를 위해서도 소중한 가르침이다.
- 브래드리 밀러

어렸을 적 아버지께서 발바리 한 마리를 얻어 오셨습니다. 그때는 그 개가 왜 그리 무서웠던지 개 옆을 지날 때마다 오금이 저려 오며 식은땀이 났었습니다. 한 시간씩 어머니가 돌아오기를 기다려 그때서야 집안으로 들어가곤 했었지요. 심지어는 정원의 작은 돌들을 모아 개에게 던지며 개가 놀라 개집으로 들어간 순간 재빠르게 옆을 지나 가기도 했었습니다.

그러기를 한 달을 했을까요. 애들이 무서워하니 빨리 다른 곳으로 보내라는 어머니의 성화가 있었고 그렇게 그 개는 다른 곳으로 보내졌습니다. 어린 시절의 그 기억은 지우고 싶은 기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때 어머니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그 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아무런 말씀을 해주지 않으셨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애완견'이라는 말이 없었습니다. 지금은 흔히 볼 수 있는 시추나 말티즈 등의 실내 소형견도 없었지요. 이러한 견종들이 우리나라에 들어 와 집안에서 함께 살게 되면서부터 개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이 줄어 들었으며 이러한 귀여운 동물을 가지고 싶은 소유욕과 비례하여 애견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리고 애견문화가 정착하기도 전 양적으로만 증가한 애견들은 집안에서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것에 익숙하지 못한 미성숙한 양육자들에게 내쳐지기 시작하였고 유기동물의 문제가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강아지 선물로 우울증 걸린 엄마, 왜?

남자친구가 선물로 준 리트리버. 둘의 사이가 멀어지면서 있을곳이 없던 장군이는 시골로 보내졌습니다.
▲ 5만원에 개고기 집으로 팔려갈뻔 한 장군이. 남자친구가 선물로 준 리트리버. 둘의 사이가 멀어지면서 있을곳이 없던 장군이는 시골로 보내졌습니다.
ⓒ 동물자유연대

관련사진보기


조그맣고 예쁜 애견들이 넘쳐나는 요즘. 우리는 주변에서 동물을 선물로 주고 받는 경우를 쉽게 목격할 수 있습니다. "개나 한 마리 사줄까?" 흔히들 하는 말이죠. 그 중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가정에서 부모가 동물을 어떻게 대하고 자녀에게 교육을 시킬 것인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자녀의 요구와 성화에 못 이겨 일단 사주고 보자라는 개념으로 무분별하게 동물을 구입하는 것입니다.

유기동물의 입양을 원하는 전화를 받아 상담을 하다 보면 의외로 젊은 엄마들의 입양 문의가 많습니다. 대략 짐작하여 물어보면 다수가 5살 미만의 어린 자녀들을 두고 있으며 입양의 목적 또한 이제 막 걷고 말하기 시작하는 어린 자녀가 동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교육적인 목적으로 입양을 원하는 것이라고 얘기를 하십니다.

그 분들 중 예전에 개를 키워 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부모는 50%가 넘지만  어린 시절 시골의 마당에서 풀어 놓고 키웠던 경험이 대부분입니다. 이런 분들의 경우 아직 손이 많이 가는 유아를 돌보면서 집 안의 개를 함께 돌본다는 것이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니며 아이가 좀 더 자란 후에 다시 고려해 보시라고라 말씀 드리면 대부분 수긍을 하십니다.

문제는 동물을 사달라고 막무가내로 떼를 쓰기 시작하는 유치원생과 초등학생을 둔 가정입니다.

동물자유연대는 매년 서울시내 유치원을 돌며 어린이 동물보호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번에 50~100명의 유아들을 한자리에 모아서 교육을 하는데 매번 처음 시작과 함께 앉아있는 어린 유아에게서 나오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집에도 개가 있었어요. 근데 엄마가 다른 집에다 보내버렸어요." 심지어는 그 어린 유아의 입에서 엄마가 갖다 버렸다는 말까지 나오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습니다.

동물자유연대의 교육은 동물을 직접 만지고 체험하는 교육이 아닙니다.
▲ 동물자유연대의 어린이 동물보호교육 현장 동물자유연대의 교육은 동물을 직접 만지고 체험하는 교육이 아닙니다.
ⓒ 동물자유연대

관련사진보기


강아지를 키우고 있는 초등학생을 둔 어머니의 울먹이는 전화 한통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너무나 간절히 강아지를 원하는 자녀가 반에서 1등을 하여 어쩔 수 없이 개를 사주었다고 합니다.

문제는 어머니가 개를 키워본 적이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현재 8개월째 분양 받은 강아지를 키우고 있지만 쳐다보고 있는 것은 괜찮지만 아직 만지지도 못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개가 사람이 없으면 심하게 울부짖어 외출을 제대로 하지도 못하며 개에게 그렇게 많은 돈이 들어가게 될지도 예상을 못하셨다는 것입니다. 본인은 원래 책임감이 강한 사람이라 이 개를 다른 사람에게 주거나 버리는 것은 절대로 할 수 없지만 개를 분양 받은 것을 매일 후회하며 개로 인해 생긴 우울증으로 하루하루가 힘겹다며 마무리를 지으셨습니다.

한 번은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 짜증섞인 목소리로 상담을 요청해 오신 한 아주머니, "푸들인데요... 아우. 미치겠어요... 얘 좀 데리가 가세요." 자세한 상황을 물어보니 7개월 전쯤 초등학생인 아들의 성화에 돈을 쥐어주고 개를 사오라고 했다는 것입니다. 원래도 활발한 성격의 푸들이 아직 어리기까지 하니 부산스러운 것은 당연지사인데 그 감당이 힘들고 짜증이 난다는 것입니다.

더 황당한 것은 아들이 개를 사올 때는 미니 사이즈의 토이 푸들인 줄 알고 샀는데 속았다는 것입니다. 현재 몸무게가 4kg을 넘어가고 있다며 당장 밖에다 버릴 기세로 얘기를 하더군요. 마침 동물자유연대 보호소에 빈 자리가 막 생긴 시점이라 다시는 함부로 개를 사지 못하도록 못 박은 후 데려오라고 했습니다.

아직도 어린 초등학생 아들의 풀 죽은 뒷모습이 생각납니다. 개를 넘겨주고 한시바삐 떠나려는 어머니와 연신 코를 훌쩍이며 계속해서 푸들을 돌아보던 어린 아들. 그 아들의 상처 받은 마음이 저에게는 보이는데 어머니는 짐 하나를 떼어놓은 듯 홀가분해 보였습니다.

어린이날 동물을 선물하실 건가요?

어린 아들의 성화에 퇴계로에서 산 포순이는 덩치가 커짐과 동시에 내쳐졌습니다.
▲ 덩치가 커지면서 내쳐진 포순이 어린 아들의 성화에 퇴계로에서 산 포순이는 덩치가 커짐과 동시에 내쳐졌습니다.
ⓒ 동물자유연대

관련사진보기


산책을 하다 보면 어린 자녀가 개를 데리고 나온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기에도 개를 안고 있는 모습은 불편하기 그지 없으며 질질 끌고 다니는 모습 또한 많습니다. 심지어는 퀵보드에 줄을 연결하여 그 속도를 따라 가지 못하는 개들이 헐떡이며 끌려가는 안쓰러운 광경을 연출하기도 합니다.

예전에 살던 아파트에서 아직 어린 꼬마아이가 늘 혼자 개를 데리고 나오기에 궁금해 물어보니 엄마가 집안에서 배변을 보는 개를 너무 싫어하여 밖에서 싸도록 매일 내보낸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그 꼬마아이도 그것이 불만인 듯 빨리 싸라며 개를 다그쳤습니다. 볼일을 다 보게한 후 황급히 개를 끌고 들어가는 꼬마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저 개가 그 집에 머물 날이 길지 않음을 직감적으로 느끼고 가슴 한켠이 욱신거렸습니다.

어린이 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혹 이번 어린이날에 동물을 사주기로 약속하셨나요? 어린 자녀들은 올바른 동물 돌보기가 되지 않습니다. 이는 고스란히 부모들의 부담으로 남을 것이며 이 부담으로 키우던 동물을 다른 곳으로 보내거나 유기를 하게 하게 된다면 어린 자녀들의 마음엔 동물을 사주지 않았을 때의 서운함보다 몇 배는 더 심한 충격을 받게 될 것입니다. 내 자녀가 동물로 인해 배려와 사랑을 배우게 하려면 그 전에 먼저 부모들이 동물을 맞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덧붙이는 글 | 동물자유연대 홈페이지 함께나누는 삶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태그:#동물자유연대, #동물학대, #유기견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동물자유연대 반려동물복지센터 국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