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자전거도시 인천'의 청사진을 야심차게 제시했던 인천시가 자전거도시 정책 방향을 잃고 갈팡질팡하고 있다.

 

시가 자전거전용도로 설치와 더불어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꼽은 자전거교실은 자전거전용도로 설치와 더불어 아직까지 겨울잠을 자고 있다. 게다가 시가 도심형 자전거를 본격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나서면서 지역 소매상들은 울상을 짓고 있다.

 

시는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해 부평구와 계양구, 남구 등의 지역에서 올해 상반기에 자전거교실을 진행키로 했다. 당초 시의 계획대로 하면 자전거교실은 진행되고 있어야 하지만, 3곳 모두 아무런 진척을 보이고 있지 않다.

 

시민 자전거교실 추진 '중단'

 

남구는 문학경기장에, 계양구는 계양교통공원에 각각 자전거교실 운영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 놓고도 운영을 못하고 있다. 시가 인천교통공사의 재원을 가지고 운영예산을 편성했는데, 교통공사 측으로부터 결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

 

부평구의 경우는 당초 부평공원에서 운영할 예정이었으나, 동부공원사업소 측이 '공원은 보행자를 위한 곳'이라며 장소 허가에 난색을 표해 중단된 상태다. 이에 부평구는 장소 협의가 될 때까지 자체 예산을 통해 삼산월드체육관 옆 체육공원에서 자전거교실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처럼 자전거도시 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은 지난해 남동구와 연수구에 자전거전용도로 설치 후 여론의 뭇매를 맞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라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

 

시의 자전거도시 정책 추진의 문제점은 이뿐만이 아니다. 시가 도심형자전거를 본격적으로 판매하기로 하면서 지역 자전거 소매상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도심형자전거를 시민들에게 저렴하게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또한 대중교통(=시내버스ㆍ지하철)과 환승ㆍ할인을 통해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겠다는 방침을 재차 확인했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2~3월 사업자를 공모한 후 4월 6~10일까지 평가위원회와 시민모니터링을 통해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했다. 5월 중으로 도심형자전거 브랜드를 공모해 이르면 6월 중 보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의 이 같은 계획은 추진 단계에서부터 소매상인들의 반발을 산 데다, 자전거 이용활성화 정책 수립에 힘을 보탰던 관련 단체들도 납득할 수 없다는 의견을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시는 사업비 150억원을 투여해 5년 동안 연차적으로 총15만대의 도심형자전거를 시민들에게 보급할 계획이다. 이는 매년 3만대를 공급하겠다는 것으로, 인천에서 한해 소비되는 자전거 5만대의 60%에 해당한다. 때문에 자전거 도매상과 소매상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도심형자전거 보급, "문제 투성이"

 

인천의 한 소매상은 "시가 한해 60%를 판매하면 우린 뭘 먹고 사냐?"라고 호소한 뒤 "게다가 이 문제는 자전거 판매점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가 판매하는 도심형자전거는 시가 50%를 지원해 15만 원대 내외로 알고 있다. 그럼 원가가 30만 원대 내외라는 얘긴데, 그 단가로는 국내에서 더구나 인천에서 결코 생산 못한다. 결국 중국에서 수입해 조립하는 수준밖에 안 된다. 그리고 에이에스(=A/S)는 누가해주냐? 이런 총체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사업이 바로 도심형자전거 보급 사업"이라고 비판했다.

 

공급 과정도 논란이 될 전망이다. 시는 인천교통공사와 우선협상 대상자가 각각 51%, 49%를 투자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 도심형자전거를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게다가 특수목적법인이 판매한 자전거에 대해서만 대중교통 환승할인을 적용키로 한 점은 일반 자전거 이용자와의 형평성에도 어긋나고, 나아가 자전거 판매시장에 사실상 불공정한 독점행위 논란도 야기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인천자전거이용활성화위원회 관계자는 "도심형자전거에만 인천지하철과 환승할인이 가능한 RFID(=무선인식)칩이 부착된다. 이는 세금으로 운영하는 환승할인은 시가 판매하는 자전거만 적용하겠다는 얘기"라고 한 뒤 "일반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은 환승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환승할인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안 돼 있는 점도 문제로 지목됐다. 대중교통과 환승을 하기 위해서는 인천지하철이나 버스에 자전거를 탑승할 수 있는 전용 칸이나 장치가 필요하고, 더 중요한 것은 거점 환승역을 설치하는 것과 환승역에 이르는 전용도로를 설치하는 것인데, 이런 인프라 구축은 전혀 안 돼 있다.

 

인천자전거도시운동본부 이광호 사무국장은 "지난해 전용도로를 설치할 때 이용자가 많은 부평에 우선적으로 설치해 성과를 낸 후 추진하자고 했는데, 결국 시가 고집을 피워 예산만 낭비하고 여론은 싸늘해졌다"라고 한 뒤 "도심형자전거도 마찬가지다. 인프라 구축은 하지도 않고 되레 반발만 키워가며 추진하면 또 다시 여론의 뭇매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안타까워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부평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자전거도시, #자전거교실, #도심형자전거, #인천, #자전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