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가수 윤선애
 가수 윤선애
ⓒ 윤선애 팬카페

관련사진보기

어떤 가수는 한 시대를 상징한다. 김민기가 70년대를 대표적으로 상징했듯 윤선애는 80년대를 상징하는 가수 중 한 사람이다.

그가 예의 소름 돋도록 서늘하게 노래하던 80년대는 이제 아득한 과거가 되었다.

하지만 그와 함께 거리에서 <오월의 노래>를 부르며 <그날이 오면>을 기약했던 많은 이들은 아직, <벗이여 해방이 온다>를 쓴 눈물로 절규하는 현실을 산다.

윤선애의 서늘한 음색이 더욱 선명한 그리움으로 다가오는 까닭도 이 때문이다.

많은 것이 변한 것 같은데 별반 달라진 것 없는 세상, 그런 세상을 관조하는 슬픈 침묵, 침묵 속에서 다시 상처받고 쓰러지는 이웃들.

희망은 어디에나 널려 있지만 발목을 잡아채는 좌절의 반복을 견뎌내며 포기 않고 꾸는 꿈. 너무 '80년대 스럽지' 않은가.

그래서 많은 이들이 그가 어떤 변화(진화)의 과정을 거쳤는지 작은 헤아림도 없이 그날처럼 함께이길 갈구한다. 어쩌면 그이들의 애타는 갈증을 축여주는 일조차 윤선애에겐 운명인지 모르겠다.

그가 약 2년만에 콘서트를 연다.  오는 13일 토요일, 서울 조계사에 있는 한국불교역사문화회관에서 오후 3시와 7시 두 차례 윤선애만의 서늘하지만 깊은 노래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콘서트 이름은 '윤선애씨, 어디 가세요? 2'다.

그날, 그곳에 가면 "때로는 우는 동생을 달래는 누나처럼, 때로는 실연한 친구를 토닥이는 친구처럼, 때로는 부드러운 게 가장 강한 힘임을 알고 있는 성숙한 여인처럼 여전히 그 자리에 서서 노래 부르는 그녀"를 만날 수 있다.

아프게 해후하시라. 성실하게 살아왔던 날들 만큼 진하게 윤선애의 노래와 함께 행복하게 슬퍼하시라. 눈물이야말로 가장 숭고한 이해 아니던가.

오래전 정해진 일로 그의 콘서트를 함께 하지 못하는 아쉬운 마음을 작년 12월에 발매된 그의 음반 <아름다운 이야기>를 듣고 또 들으며 위로한다. 한국포크의 대부로 불리는 김의철씨가 기획하고 기타연주까지 한 <아름다운 이야기>는 윤선애가 어떤 색깔로, 어디 만큼 와 있는지 잘 보여준다.

윤선애 콘서트 포스터
 윤선애 콘서트 포스터
ⓒ 윤선애

관련사진보기

그는 음반을 내면서 "어린 시절의 나에게 이 노래를 들려주며 안아주고 싶다"며 "우리의 마음이 자라나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그 사랑을 나눌 수 있을 때까지 여러분과 같은 꿈을 꾸며 노래하고 싶다"고 말한다.

김의철의 클래식 기타 선율과 함께 흐르는 그의 음색은 잘 숙성된 포도주처럼 편안하게 안겨온다.

"아가야 너는 세상이 얼마나 좋으니/너의 말간 눈 너의 미소 가슴에 새기고/네가 아픈 눈물 흘리지 않을 수 있다면/아가야 걱정 말아라 내가 너를 지켜줄게/아가야 무서워 말아라 내가 너를 지켜줄게."
- 류희수·김의철 글, 김의철 곡 윤순애 노래 <내가 너를 지켜주리라>

이번 음반의 색깔을 가장 잘 드러내는 노래다. 윤선애는 그렇게 간만에 돌아와 아픈 눈물 흘리고 있는 이들을, 무서워하는 이들을 포근히 안아준다. 마치 엄마 치맛자락 속에 푹 감겨 엉엉 소리 내어 우는 아이를 달래듯 때로는 가만가만 달래고, 때로는 꼬옥 안아주는 그의 노래….  

그가 다시 부르는 <오월의 노래>엔 "그렇듯 봄이 가고 꽃 피고 지도록" 변치 않은 사랑이 서늘하다. <이게 꿈이냐 생시냐>는 이별의 멍에를 지고 만난 해후한 가족에 대한 절절한 위로가 아프다.

오는 토요일 콘서트에 가게 되면 앵콜 노래로 <떠남이 아름다운 사람들이여>를 요청하고 싶었다. 늘 그렇게 우린 떠나왔지만 새로운 둥지를 찾는 기쁨보다는 다시 길 나서는 슬픔이 컸다. 그조차 아름답다고 스스로 위무했던 세상 모든 벗들과 함께 윤선애가 들려주는 <떠남이 아름다운 사람들이여>를 듣고 싶다.  

"누워 쉬는 서해의 섬들 사이로 해가 질 때/눈앞이 아득해 오는 밤/해지는 풍경으론 상처받지 않으리/별 빛에 눈이 부셔 기댈 곳 찾아/서성이다 서성이다/떠나는 나의 그림자 음음음/언제나 떠날 때가 아름다웠지/오늘도 비는 내리고 거리의 우산들처럼/말없이 돌아가지만 아아아 사람들이여 떠남이 아름다운 사람들이여"


태그:#윤선애, #콘서트, #공연, #80년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