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아이를 업은 어머니. 이렇게 업고 자장가를 들려주면 아이들이 정을 느끼게 올곧게 자란다고 한다.
▲ 업은 아이 아이를 업은 어머니. 이렇게 업고 자장가를 들려주면 아이들이 정을 느끼게 올곧게 자란다고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미시(Missy)족이란 아가씨와 같은 주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유행을 선도한다는 요즈음의 젊은 어머니들을 부른다면, '미시맘'이라고 불러야 할까? 어쨌거나 이렇게 아가씨와 같은 분들이라도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에게 각별한 관심을 가질 것은 뻔하다.

문제는 이 미시맘들이 과연 아이들에게 정신적인 가르침을 줄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언젠가 대학에 가서 강의를 하는데, 우리 소리를 잘 알고 있는 아이들은 예의가 바르다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세상은 급변하는 것이니 '요즈음도 그럴까?'라는 생각도 들지만, 내가 알기에는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바로 정신세계라고 본다. 물질이 아무리 급변을 해도, 정신세계는 나름대로 중심을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자장가를 아시나요?

혼자 답사를 다닐 때는 오랜 시간 버스를 탈 경우가 많다. 그런데 한 어머니가 아이가 칭얼거린다고 짜증을 낸다. 아마 아이가 잠이 오는가 보다. 어린 아이들은 잠이 오면 칭얼거리는데 엄마가 자꾸만 혼을 내니, 급기야는 서너 살 밖에 안 된 아이가 울음보를 터트렸다. 쉽게 그칠 것 같지가 않자, 승객들이 한마디씩 한다. 물론 아이를 빨리 달래라는 재촉이다. 젊은 어머니는 당황한 탓에 아이만 자꾸 나무라고 있다. 이럴 때 자장가라도 불러주면, 아이가 울음을 그칠 텐데 말이다. 

잘 아는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까지의 아이를 두고 있는 어머니들에게 불어보았다. <우리 자장가>를 아느냐고. 그랬더니 대답은 의외로 간단했다. '모른다'라는 것이다, 그저 당연한 듯 모른다고 한다. 그 중 한 엄마만이 '금을 준들 너를 사랴, 은을 주면 너를 사려'라는 대목을 안다고 한다.

절구질을 하는 아이. 우리 것을 어릴적 부터 알려주면 정체성을 갖게된다.
▲ 절구질 절구질을 하는 아이. 우리 것을 어릴적 부터 알려주면 정체성을 갖게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리아기 착한아기 어허둥둥 우리아기
나라에는 충신동이 부모님께 효자동이
형제간에 우애동이 이웃간에 화목동이
우리아기 잘도잔다 우리아기 잘도잔다

바로 이런 사설을 갖고 있는 것이 우리 자장가다. 할머니들이나 어머니들이 어린 아이를 업고 엉덩이를 토닥거리면서 소리를 했다. 그러면 아이들은 어머니의 살 냄새를 맡고 편안하게 잠이 든다. 그리고 그 아이는 잠을 자면서 무한한 어머니의 사랑을 느끼게 된다.

멍멍개야 짖지마라 우리아기 잠깨울라
꼬꼬닭도 울지마라 우리아기 잠깨울라
어허둥둥 우리아기 우리아기 잘도잔다
금자동아 은자동아 우리아기 얼뚱아기
하늘에서 떨어졌나 땅속에서 솟아났나
금을준들 너를사랴 은을준들 너를사랴
어허둥둥 우리아기 우리아기 잘도잔다

아마 아이의 사랑을 이야기한다면 요즈음의 젊은 어머니들의 사랑이 더욱 각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작 깊은 정은 예전의 어머니들이 더 했을 것이다. 예전에 먹고 살기가 힘들 때는, 정말 아이를 키운다는 것조차 버거웠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아이에게 소홀히 대했을 것이다. 그저 아이를 눕혀놓고 어머니는 하루 종일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혼자이던 아이는 배가 고파 칭얼대다가, 급기야는 소리를 내서 운다. '울지 않는 아이 젖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기계음을 듣고 자라는 요즈음의 어린이들

요즈음은 이런 소리를 할 줄 아느냐고 묻는다는 것 자체가 우스운 일이다. 아마 '무엇 때문에 힘들게 아이를 업고 자장가를 불러주어야 할까?'라는 질문을 할 것이다. 한 마디로 좋은 자장가 노래가 많고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소리를 듣고 자라야 할까?

음악은 무한한 힘을 갖고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사랑이 담긴 소리보다 더 큰 힘을 갖는 것은,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어머니의 소리는 단순한 음의 배합을 한 음악이 아니다. 그것은 곧 정이며, 흐르는 따스한 체온이다. 그 소리 하나만으로도 아이들은 세상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낄 수가 있다.

요즈음은 자장가를 부르지 않는다고 한다.'바빠서, 혹은 맞벌이를 해야 하기 때문에' 등의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그러나 단 한 시간만이라도 아이를 안고 체온을 느끼게 한다면, 아마 그 아이는 세상 누구보다도 올곧게 자랄 것이라는 생각이다.

어머니와 오줌싸게 놀이를 하는 어인이들. 예전에는 오줌을 싸면 키를 쓰고 오줌을 받으러 다녔다. 이렇게 어머니와 놀이를 하면서도 아이들은 깊은 정을 느끼게 된다.
▲ 오줌싸개 어머니와 오줌싸게 놀이를 하는 어인이들. 예전에는 오줌을 싸면 키를 쓰고 오줌을 받으러 다녔다. 이렇게 어머니와 놀이를 하면서도 아이들은 깊은 정을 느끼게 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리자장가의 깊은 사랑

아이들은 어르는 것을 좋아한다. 어른다는 것은 아이를 안고 얼러주는 행동이다. 즉 아이를 안고 움직이면서 소리를 하는 등의 행동으로, 아이를 기쁘게 만드는 행동을 말한다. 이런 어름이 없으면 아이는 그저 냉랭한 가슴을 가질 수밖에 없다.

우리의 자장가, 그 안에는 무한한 사랑이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따듯한 마음이 있다. 또한 그 소리 안에 간절함이 배어있다. 그래서 이런 소리를 듣고 자란 아이들은 항상 따듯한 가슴을 갖고 있는 것이다. 아이를 많이 낳지도 않는 요즈음. 아들이거나 딸이거나 하나만 낳아 잘 기른다는 미시맘들의 생각이라면 우리 자장가를 배우는 것이 좋다.

어머니들이 직접 육성으로 불러주는 자장가는 가장 정 깊은 어머니의 소리이기 때문이다. 그 소리 하나만으로도, 아이를 올곧게 키울 수가 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장난감, 아이들이 사용하는 기저귀, 아이들의 먹거리 등. 아이들 것이라면 어떻게 해서든지 최고의 것을 지향하는 미시맘들이, 정작 아이들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최고의 자장가를 모른다는 것이다.

세상 그 어떤 것보다도 중요한 우리자장가. 오늘 다 같이 우리자장가로 아이의 엉덩이를 토닥이면서 재워보자. 아마 그 어떤 때보다도 가장 편안하게 잠든 사랑스런 아이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태그:#자장가, #우리소리, #미시맘, #놀이, #포대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