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단아한 옛집 사이로 난 돌담길을 따라서 자전거를 타고 돈다. 돌담의 기와 위로 내려앉은 눈이 소담스럽다. 눈 속에서 삐죽 언저리를 내민 기와에선 세월의 더께가 느껴진다. 선조들의 그윽한 숨결이 묻어난다.

 

돌담길을 따라 도는 S라인이 부드럽다. 좁은 골목길을 따라 굽이굽이 도는 길이 매혹적이다. 돌과 흙을 번갈아 쌓아 줄눈이 생긴 담장도 있고, 되는 대로 쌓은 담장도 있다. 이 돌담이 여러 채의 한옥과 조화를 이루고 있어 전통마을의 가치도 높여준다.

 

"슬비야! 놀자. 예슬아! 노∼올자." 시계바늘이 금세 어린 시절로 돌아간다. 이 돌담을 한 줄로 세우면 자그마치 3㎞도 넘겠다. 이 돌담은 담양 창평을 '슬로시티(Slow City)'로 지정하는 데 일등공신이었다. 하여 돌담과 옛집은 '슬로시티' 창평의 상징 같은 존재다. 돌담은 지난 2006년 문화재청에 의해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그 길을 따라 자전거를 타고 돌다보니 얼굴에 와 닿는 바람의 감촉마저도 감미롭게 느껴진다. 남극루 앞 넓은 공터에 자전거를 잠시 세운다.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연인이 가까이 다가오더니 말문을 연다.

 

"아저씨! 자전거 어디서 빌렸어요?"

"예. 저기 면사무소 가면 그냥 빌려줘요."

"그래요?"

"저기 교회 보이죠. 바로 그 옆이 면사무소예요."

 

자전거를 타고 도는 모습이 부러웠는가 보다. 고맙다는 인사를 남긴 그들은 벌써 면사무소 쪽으로 가고 있다. 그 옆으로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의 모습이 또 보인다. 옛집과 돌담 사이로 옛 정취 넘실대는 슬로시티,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삼지천(三支川)마을의 일요일 오후 풍경이다.

 

삼지천마을은 월봉산에서 발원한 월봉천과 운암천, 유천 등 세 개의 물줄기가 마을로 모여 흐른다고 해서 이름 붙었다. '삼지내마을'로도 불린다. 이 마을의 역사가 깊다. 16세기 초에 마을이 형성됐다고 전해진다.

 

마을의 역사와 전통은 금세 겉으로 드러난다. 100년도 넘은 전통한옥이 20여동이나 남아있다. 그 중에서 '고재선 가옥'과 '고재환 가옥'은 민속자료로 관리되고 있다. 대문채와 사랑채, 안채, 문간채 등 전통적인 남도 주택의 주거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어서다.

 

'고재욱 가옥'에선 파란 눈의 독일인인 베르너 삿세(Werner Sasse·69)가 살고 있다. 평소 한복을 즐겨 입는 그는 고택에서 수묵화를 그리며 한국생활을 즐긴다. 한국학을 전공한 그는 평소 한옥예찬을 즐겨 한다.

 

전래의 손맛도 그대로다. 삼지천마을을 더욱 빛나게 하는 건 전통쌀엿. 돌담길에 기댄 '창평전통쌀엿'이라는 간판을 따라가면 전통방식 그대로 만든 쌀엿을 맛볼 수 있다. 운이 맞으면 쌀엿 만드는 과정도 직접 볼 수 있다.

 

전통방식을 고집하며 죽염된장을 만드는 곳도 이 마을에 있다. 장을 담그는 이는 고씨 문중의 종부인 기순도(60)씨. 10대째 장맛을 이어오고 있는 그녀는 농림수산식품부에 의해 진장 명인으로 지정돼 있다.

 

옛 방식 그대로의 손맛은 한과와 강정에서도 배어난다. 나름대로 브랜드까지 구축한 창평국밥 또한 이 지역의 대표적인 먹을거리다. 돌담과 고택, 옛 음식 모두 '슬로시티' 창평을 창평답게 하는 것들이다.

 

삼지천마을은 담양에 속한다. 담양까지 갔다면 죽녹원을 그냥 지나칠 수는 없는 일이다. 죽녹원은 긴 설명이 필요 없는 담양의 대표적인 여행지 가운데 한 곳. '남도여행 일번지' 담양을 더욱 빛나게 하는 대숲이다.

 

죽녹원과 함께 돌아볼 수 있는 죽향문화체험마을도 가볼 만하다. 식영정, 송강정, 명옥헌 등 담양의 이름난 누정들이 축소돼 있어 발품 팔지 않고도 한군데서 여러 누정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텔레비전의 한 오락프로그램에 나왔던 이승기가 빠져서 유명해진, 이른바 '이승기연못'도 여기에 있다.

 

판소리를 체험할 수 있는 '우송당'과 한옥체험관, 산책로, 잔디공원, 분수대도 만들어져 있다. 면앙정 송순과 송강 정철의 주옥같은 시가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시비공원도 있다.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길과 숲으로 이름 난 메타세쿼이아 가로수 길과 관방제림의 겨울풍경도 이국적이다. 아이들과 함께라면 금성면에 있는 송학민속체험박물관에도 꼭 가볼 일이다.

 

덧붙이는 글 | 담양 삼지천마을은 호남고속국도 창평나들목에서 자동차로 5분 거리에 있다. 창평나들목으로 나가자마자 좌회전하면 창평면소재지로 연결된다. 삼지천마을은 면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다. 창평면사무소 주변이 삼지천마을이다.


태그:#슬로시티, #삼지천마을, #창평, #담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해찰이 일상이고, 일상이 해찰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전남도청에서 홍보 업무를 맡고 있고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