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행정구역 경남 산청군 시천면 사리, 천평리 일대를 흔히 덕산이라고 부릅니다. 이곳은 지리산 천왕봉 들머리로써 지리산 등산객들에게 익숙한 고장입니다. 또한 퇴계 이황 선생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쌍벽을 이뤘던 남명 조식 선생이 마지막 생을 보낸 곳으로 선생의 묘소와 유적지, 산천재가 생생히 남아 있는 곳입니다.

 

매년 이맘 때면 이곳 덕산에서 곶감 축제가 열립니다. 올해도 산청군 시천면 천평리 곶감경매장일원에서 제3회 지리산 산청곶감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산청곶감축제 스타 쇼쇼쇼, 작목회 노래자랑을 비롯해 곶감따먹기, 높이쌓기, 연날리기, 떡메치기, 윷놀이, 제기차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가 펼쳐지며 10일까지 열립니다.

 

산청곶감은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의 품질인증과 경상남도 추천 QC마크를 획득하였습니다. 산청곶감은 올해 1300 농가에서 1700톤을 생산하여 300억원의 소득이 예상되고 있답니다.

 

축제 첫날 이 곳을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곶감으로 유명한 고장들이 많이 있습니다.

상주, 청도, 장성, 진안, 무주, 함양 등 곶감은 이제 많은 농가의 수입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곳 산청곶감은 곶감용 감으로 씨가 없는 고종시를 주로 쓰고 있습니다. 곶감은 일교차가 큰 곳에서 만들어지는 특산품입니다.

 

감을 자연(천일) 건조하려면 차고 건조한 북서 계절풍이 강하여 통풍이 잘 되어야 하며 주위에 축사가 없고 먼지 등이 날리지 않는 깨끗한 장소가 필요하답니다. 이곳 산청의 시천, 삼장, 단성지역은 북서쪽에 청정 지리산을 끼고 있어 겨울이면 차가운 북서풍이 몰아치는 지역적 특성을 잘 갖췄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변덕스런 날씨 탓과 인력 감축을 위해 순수한 천일건조에 의존하지 않고, 열풍건조 등 인공건조를 하거나 천일건조 후 인공건조를 병행하는 절충식건조를 하여 곶감의 대량 생산과 상품성을 향상시킨답니다.

 

곶감은 비타민C가 풍부하여 겨울철 간식으로 최고라는데, 등산할 때 비상식, 숙취 해소,

피로회복, 감기예방에 좋은 천연 식품이랍니다. 우리의 민담이나 전설에도 곶감 얘기가 자주 나오는데, 그 만큼 곶감은 역사가 오래되고 귀한 고유의 전통 간식이자, 안주이며, 예와 정을 전하는 귀한 식품이었습니다.

 

축제 전시장을 둘러보며 맛보기로 여러 개를 조금씩 먹어 봤는데, 주인에 따라 맛이 제각각이었습니다. 곶감 맛이 거기서 거기라고 할 수 없는 참으로 오묘하고 특이한 맛들이었습니다.

 

곶감은 건조정도에 따라서 비교적 성질이 연한 반건시와 건시로 나눕니다. 특히 반건시의 신비한 색깔과 맛은 정말 일품이더군요. 곶감 맛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 감의 품종, 건조 과정의 정성과 기술, 지역적 기후 특성, 숙성도 등 참으로 고려할 사항이 많은 것만 같았습니다. 곶감은 곶감맛이 아니라 주인의 손맛이랄까요.

 

색감에서부터 모양, 무르기, 맛과 향, 그리고 뒤끝에 남는 맛 등, 곶감은 주인의 정성을 한 치도 어김없이 반영하는 정직한 식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태그:#산청곶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