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올해 최고의 유행어는 무엇일까? 여지없이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MBC 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해리의 전용 멘트인 '빵꾸똥꾸'이다. 그런데 이 최고의 유행어가 방송통신심의원회(아래 방통심의위)의 재재 조치라는 폭풍을 맞았다. 심의위가 문제삼고 있는 부분은 지난 11월 18일과 20일, 23일 방송된 대사다.

"왜 때려, 이 빵꾸똥꾸야.", "먹지 마! 어디 거지 같은 게 내가 사온 케이크를 먹으려고!", "내 방에서 당장 나가!" 

극중 초등학생인 신분을 고려할 때 격한 표현이라는 이유이다. 심의위는 방송법 100조 1항에 근거하여 권고조치를 내렸다고 한다. 그렇다면 방통심의위가 내린 권고조치는 당연한 것일까? 아니면 흔히 말하는 'MBC 죽이기'의 일환일까? 혹은 '해리의 버릇'을 고쳐주고 싶은 것일까? 이 모든 이유를 떠나서 위원회의 권고조치가 한심하다는 것만은 사실이다.

최근 극중에서 해리의 모습은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신애와 함께 있는 것조차 거부하던 해리지만 함께 TV를 보고, 신애의 숙제를 빌려달라고 조르거나, 신애의 외출에 무료함을 표출한다. 극중에서 해리는 분명히 버릇없는 아이지만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다. 

영악한 요즘 아이들의 극대화된 '해리'

해리는 버릇없는 아이지만 '빵꾸똥꾸'는 외로움을 표현하는 자신만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해리는 버릇없는 아이지만 '빵꾸똥꾸'는 외로움을 표현하는 자신만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 imbc

관련사진보기

자식을 키우는 부모로서 사실상 해리의 말과 행동이 걱정되기도 한다. 아이들과 무심코 <지붕 뚫고 하이킥>을 보다가 해리가 나오는 장면이 나오면 화들짝 놀라 채널을 돌리기도 한다.

우리 아이만큼은 해리처럼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나온 무의식적인 행동이다. 사실 극중에서 해리의 행동은 버릇 없는 아이의 대표적인 모습이다.

해리가 보여주는 식탐은 그렇다 치고, 아빠와 엄마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을 '빵꾸똥꾸'라고 부른다. 특히 세경과 신애 자매는 거지 취급을 하며 사사건건 괴롭히고 훼방을 놓는다.

아이로서는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요즘 아이들을 보면 해리만큼은 아니지만 너무 과잉보호를 한 탓인지 보고 즐길 거리가 많은 탓인지, 대체로 영악하다. 자기 것과 남의 것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데, 유치원만 들어가도 그러한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즉, 해리의 모습은 시트콤이라는 성격상 단적인 부분이 극대화된 것일뿐, 요즘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런 모습에서 아이들에게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해리의 모습에서 우리 아이들이 배울까 걱정도 되지만 해리의 행동은 부모인 나를 반성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과연 아이들이 저런 행동을 그대로 받아들일까? 아니다. 해리의 모습을 본 우리 아이는 "애가 왜 저래?"라고 반문하며 해리의 행동이 이상하다고 느꼈다. 이어서 나는 이렇게 이야기해주었다. "해리처럼 저렇게 떼쓰고 버릇없게 행동하면 안 돼!"라고.

아이들의 거울은 역시 부모라죠

해리의 버릇 없는 행동과 말투는 이 땅위에 살아가는 부모들이 풀어야 할 숙제인지도 모르겠다.
 해리의 버릇 없는 행동과 말투는 이 땅위에 살아가는 부모들이 풀어야 할 숙제인지도 모르겠다.
ⓒ imbc

관련사진보기

이래도 아이들이 배울까 걱정해서 해리의 '빵꾸똥꾸'를 금지하려 한다면 우선적으로 해리의 캐릭터를 이해해야 한다. 해리가 부르짖은 '빵꾸똥꾸'는 사랑을 갈구하는 외로움의 또 다른 표현이다.

사실 초등학교 1학년인 일곱 살짜리 아이가 '나 요즘 너무 외로워!'라고 울부짖는다면 그것 또한 화들짝 놀랄 일이 아니겠는가. 그렇다. 외롭다는 말을 모르는 해리가 대신 자신의 외로움을 표현하는 단어가 바로 '빵꾸똥꾸'다.

그렇다면, 해리는 왜 외로운가? 관심 없는 어른들 때문이다. 성적에만 관심 있는 엄마 현경, 자상하지만 무언가 부족한 아빠 보석, 하나 밖에 없는 남매지만 나 몰라라 하는 오빠 준혁이. 자신의 연애만 관심 있는 할아버지 순재와 더불어 모든 가족에게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삼촌 지훈까지.

해리와 놀아주고, 해리를 다독여주고, 해리에게 자상하게 가르치는 이는 없다. 단지, 악을 쓰고 버릇없게 행동하면 날아오는 것은 현경이 머리를 쥐어박거나 때리는 정도이다. 아빠 보석도 버릇없게 굴고 '빵꾸똥꾸'를 쓰는 해리에게 '빵꾸똥꾸'라는 말을 안 쓰는 대신 인형을 사주겠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헌데 왜 '빵꾸똥꾸'라는 말을 쓰지 말아야 하는지, 알려주는 사람은 없다. 그저 쓰지 말라 이야기하거나 무관심으로 일관한다. 결국 해리의 이러한 모습은 어른들이 만든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도 그렇다.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는 요즘, 아이들을 보듬거나 가르칠 만한 여유가 없다. 더욱이 오바마가 칭찬한 학구열 덕분에 그러한 일상생활 속의 잘못된 습관을 가르칠 만한 시간이 아이들에게도 없다. 유치원생도 영어와 피아노, 태권도, 미술 등 배워야 할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실 속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해리의 '빵꾸똥꾸'를 위원회가 제지하는 것은 왜 쓰면 안 되는지를 말하지 않는 해리의 엄마, 아빠와 같은 모습이다. 오히려 극중에서 변화하는 해리의 모습을 지켜봄으로써 어른이 하지 못하는 부분을 아이들에게 간접적으로 설명해 주어야 하는 게 아닐까 싶다.

그렇다. 아이들이 배울까 무서워하기 보다는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서 부모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넓게는 어른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해봐야 할 때이다. 오히려 해리의 '빵꾸똥꾸'는 우리에게 숙제를 던져주고 있다.

막장드라마의 사이코 불륜은 어찌 할거요

그럼, 이제 위원회가 제지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지금 '빵꾸똥꾸'의 금지령은 KBS의 막말 발언 퇴치와 같은 것이나 다름없다. 특히 막장 드라마가 유행하는 대한민국 방송가의 현주소를 생각한다면 더욱이 이번 권고조치는 기준이 없음을 다시 한 번 입증하고 있다.

현재 <천사의 유혹>을 비롯해 <멈출 수 없어>와 <망설이지마> 등 방송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드라마 소재는 불륜, 복수극 등 자극적이다 못해 극단적인 드라마들이 많다. 그뿐인가.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사생활 폭로를 빌미로 웃음을 유발하고, 자신들끼리 비속어를 사용하며 농담을 일삼는 모습은 왜 제지를 하지 않는 것인가?

설상 그러한 부분들을 모두 제지하려고 들면 방송국은 방송을 중단해야 할지도 모른다. 혹은 애국가를 시작으로 다큐멘터리, 시사프로, 교양프로그램과 뉴스 등으로 방송시간을 메워야 할지도 모른다. 유독 아이들의 정서를 생각해 '빵꾸똥꾸'에 제재를 가하는 것은 특정 방송사에 대한 횡포로 밖에 비쳐지지 않는다.

오히려 어떠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위원회에서 일괄적으로 제제를 한다면 어느 정도의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기준을 제시한다 해도 방송 프로그램의 기획의도와 취지 등을 살펴보지 않고 단편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주먹구구식의 방식이 아닐까 싶다.

위원회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진정한 목적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정확한 것은 '빵꾸똥꾸'를 제재한다 해서 아이들이 안 좋은 것을 배우는 것도, 빵꾸똥꾸를 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이미 '빵꾸똥꾸'의 진정한 의미를 시청자들은 알고 있으니 말이다.

덧붙이는 글 | 다음 블로그에 송고합니다.



태그:#방송통신심의원회 , #해리 , #지붕 뚫고 하이킥 , #빵꾸똥꼬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