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운찬 국무총리가 6일 국회 통일·외교·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연신 진땀을 뺐다. 정 총리를 가장 곤혹스럽게 한 이는 박선영 자유선진당 의원이었다.

 

박선영 의원 '송곳 질문'에 곤혹, 곤혹, 곤혹...

 

박 의원은 대정부질문 초반부터 '일문일답'식 공세로 잇따라 정 총리를 곤혹스럽게 했다. 특히 박 의원이 "731부대가 무엇이냐"고 한 질문에 "항일독립군…인가요"라고 잘못 답한 게 큰 화근이었다.

 

앞서 정 총리는 "마루타가 무슨 뜻인지 아느냐"는 박 의원의 질문에도 "예, 대강 알고 있다. 지금 전쟁 포로 관련 말씀을 하는 것 같은데…"라며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박 의원이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의 반인도적, 반인륜적 전쟁 범죄에 대해 사과와 보상을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에 앞서 던진 질문들이었다.

 

정 총리 "그랜드바겐, 오바마도 '좋은 아이디어'"- 박 의원 "팩트 알고 말하라"

 

박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이 제안한 대북정책 구상 용어인 '그랜드바겐'도 도마 위에 올렸다. "그랜드바겐은 미국 싱크탱크에서 10년 전에 썼던 용어인데 왜 다시 이 대통령이 썼느냐"며 용어의 적합성을 문제 삼은 것이다.

 

이에 정 총리는 "비공식적으로 듣기는 미국에서 나온 포괄적 패키지라는 게 있지 않느냐. 지난번 대통령이 워싱턴을 방문했을 때 그 의미로 말하면서 그랜드 바겐으로 했더니 오바마 대통령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해서 널리 쓰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오바마 대통령이 그렇게 말했느냐"며 "뉴욕타임즈(NYT) 9월20일자 보도를 보면 이씨(이 대통령)의 제안으로 미국은 놀라움에 사로잡혔다고 했다"고 즉각 반박했다.

 

정 총리는 다시 "NYT가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대화를 잘 모르고 했을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되받아쳤지만 되레 면박을 당했다. 박 의원은 "이 대통령은 외교협회에서 발언을 하기 전에 NYT하고 1시간 독대를 하고 인터뷰를 했다. 팩트를 찾고 나오셨으면 좋겠다"고 쏘아붙였다.

 

이날 대정부질문에선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한 사전 비밀접촉도 쟁점이 됐다. 이와 관련,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국정원과 청와대는 아는데 내각만 모르면 그럼 내각은 허수아비냐"고 추궁했지만, 정 총리는 "남북정상회담설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선 긍정적인 생각을 밝혔다. 정 총리는 박 의원이 "남북정상회담을 하긴 하는 것이냐"고 묻자, "우리 정부는 아주 유연한 자세로 어디서든지, 어떤 조건이든지 우리의 원칙에만 맞으면 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정 총리 "우리 원칙에만 맞으면 유연한 자세로 남북정상회담 용의"

 

정 총리는 '대체공휴일' 도입에 대해선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윤상현 한나라당 의원이 "내수시장을 확대하고 경기를 진작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한 제도로 짧은 명절연휴로 인한 교통혼잡 비용 등 사회적 손실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필요성을 주장하자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또 정 총리는 "공휴일에 관한 것을 법률로 하는 건 경제계를 중심으로 찬반 논란이 많다"며 "대체공휴일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계류 중인 것으로 안다. 국회 차원서 논의해달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공휴일이 일요일이나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이어지는 평일을 대체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유명환 외통부장관 "아프간 파병, 희생 각오해야"

 

한편,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논란이 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파병과 관련해 "희생을 각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대정부질문에서 김충조 민주당 의원이 "지난 10월 30일 민주당을 방문해 제3국를 통해서 아프간에 가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했다. 아프간 전쟁은 나빠지고 있는데 이 위험할 때 파병을 꼭 해야 하느냐"며 파병의 위험성을 지적한 데 대해서다.

 

유 장관은 "그런 희생을 각오해야 한다"며 "우리가 과거 국제사회의 지원을 통해서 나라를 재건했듯이 우리도 이런 위치를 감안할 때 우리도 국제사회 의무를 하는 것이 당연한 도리"라고 답했다.

 

유 장관은 교전 가능성도 인정했다. 김영우 한나라당 의원이 "민간 지방재건팀을 보호할 목적으로 경계병력을 파병한다고 하지만 테러집단과의 교전, 전투가 불가피한 상황이 있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묻자 "위협을 받을 경우 자체 방어를 위해서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태그:#정운찬, #대정부질문, #박선영, #김충조, #박지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