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그 섬에 가고 싶다."  "그 섬을 걷고 싶다."

섬에 가면 시원스레 불어오는 바닷 바람을 맞을 수 있다. 섬에 가면 아름다운 풍경, 오래된 옛 마을을 만날 수 있다. 섬에 가면 싱싱한 해산물과 투박한 사투리, 정겨운 사람들의 인정을 만날 수 있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반복되는 일상의 지루함에서 벗어나 그 섬에 가고 싶다. 그 섬을 걷고 싶다.

통영 여객선 터미널에서 출발!
▲ 통영 여객선 터미널 통영 여객선 터미널에서 출발!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통영 여객선 터미널에서 한산도-제승당 가는 배에 몸을 실었다. 자동차를 실을 수 있는 정기 여객선이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 제승당까지는 20여 분이 소요된다. 제승당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유적이 있는 곳이다.  바닷가를 따라 제승당으로 향하는 길가엔 동백나무, 아왜나무, 소나무 숲이 시원스레 펼쳐져 있다.

아왜나무가 탐방객을 맞아 준다.
▲ 제승당 가는 길 아왜나무가 탐방객을 맞아 준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길은 해당화 핀 바닷가 동산을 따라 계속 이어진다. 바닷가 모래 땅이나 산 기슭에서 피어나는 해당화는 가수 이미자씨의 노래 '섬마을 선생님'에 나오는 가사 내용으로 더욱 유명하다. '해당화 피고지는 섬마을에 철새따라 찾아온 총각 선생님~~~ 열아홉살 섬색시가 순정을 바쳐 사랑한 그 이름은 총각 선생님~~~'

바닷가에 조성된 해당화 동산
▲ 해당화 동산 바닷가에 조성된 해당화 동산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노래를 흥얼거리며 해당화 길을 걷는다.

소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가득한 숲 길
▲ 울창한 숲 길 소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가득한 숲 길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울창한 숲 길을 지나 한산만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수루에 올랐다. 땀을 식히며 수루에 앉으니 맨 먼저 시 한편이 눈에 들어온다. 교과서에 실렸던 시였던 듯하다. 무척 반갑게 느껴진다.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던차에
        어디서 일성 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

이순신 장군의 시조가 적혀 있는 수루
▲ 수루 이순신 장군의 시조가 적혀 있는 수루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수루에서 바라본 한산만
▲ 한산만 수루에서 바라본 한산만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수루에 앉아 바라본 한산만의 푸른 물결이 싱그럽다. 수루 앞에는 참나무 군락과 대나무 잎사귀가 연초록 물결을 이룬다. 그저 바라만 보고 있어도 포근함과 시원함이 온몸을 감싼다. 

쉼 없이 오가는 유람선과 바다
▲ 유람선과 바다 쉼 없이 오가는 유람선과 바다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쉼 없이 오고가는 유람선 뱃고동 소리가 귓가에 맴돈다. 섬의 역사와 문화, 풍경을 감상하기엔 유람선을 타는것이 좋다. 섬 사람들의 삶을 엿보기엔 정기 여객선이 제격이다. 청정 해안이라 바다 빛깔이 유난히 푸르다. 복잡했던 머리 속이 단숨에 시원해진다.

옛 모습이 살아있는 문어포 마을
▲ 문어포 마을 옛 모습이 살아있는 문어포 마을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옛 모습이 그대로 살아 있는 제승당 인근 문어포 마을을 찾았다.  문어포는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학익진 전법에 놀라 황급히 도망치던 왜구들이 신선 같은 한 노인에게 길을 물어본(問語) 곳이라는데서 유래 되었다는 설도 있고, 문어가 많이 잡히는 동네라서 문어포로 불린다는 설도 있다.

문어포 마을 돌담 길
▲ 돌담 길 문어포 마을 돌담 길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문어포 마을의 옛 풍경
▲ 옛 풍경 문어포 마을의 옛 풍경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문어포 마을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돌담길, 황톳길 풍경이다. 문어포에는 아직도 바닷가 포구의 향기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풍경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거센 풍랑을 견디며 오랜 세월 동안 쌓고 쌓아 만든 돌담들이다. 삶의 흔적이 그대로 역사와 문화로 남아있는 곳이다.

동백나무 터널 길
▲ 동백나무 터널 동백나무 터널 길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뒷 동산에서 바라본 문어포 풍경
▲ 마을 뒷산 뒷 동산에서 바라본 문어포 풍경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마을 뒷동산에 오르면 저멀리 통영 시내의 모습이 오고가는 배들 사이로 아스라히 펼쳐진다. 마을 건너편은  미륵도. 행정 구역 상으로는 산양면 영운리다.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미륵산 케이블카도 쉴 새 없이 오르락 내리락 여행객들을 실어 나르고 있다. 한산대첩 기념비를 세우면서 만들었다는 동백나무 터널길이 곡선의 미학을 뽑내고 있다.

삶에 지치고 힘들때면, "그 섬에 가고 싶다."   "그 섬을 걷고 싶다."

동백나무 숲 터널을 걸으며, 편백나무 숲 길을 걸으며 머리를 식힐 수 있는 곳.

섬 사람들의 역사와 문화, 생태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곳.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는 돌담과 지붕과 골목 길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는 곳.

옛 모습이 살아있는 문어포 마을 풍경
▲ 문어포 마을 옛 모습이 살아있는 문어포 마을 풍경
ⓒ 윤병렬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사천의 대표 인터넷 신문 뉴스사천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한산도, #제승당, #문어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으로 들로 다니며 사진도 찍고 생물 관찰도 하고 그렇게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