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여수시 백야도 손두부집.
 여수시 백야도 손두부집.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산행의 맛은 먹을거리를 찾는 데까지 이어진다 하죠? 하여, 지난 11일 여수시 화정면 백야도의 백호산 산행을 마치고 '옛날 맛 손두부'를 찾았습니다.

두부는 단백질이 풍부한 콩으로 직접 만든 터라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 합니다. 두부 집으로 들어서니 사람들 바글바글합니다. 앉을 자리가 없습니다. 산행 후 두부와 막걸리 생각은 비슷하나 봅니다.

두부를 사가는 사람도 많습니다. 사갈 때는 큰 것 5000원, 작은 것 2500원입니다. 이곳에서 먹을 땐 큰 것 7000원, 작은 것 4000원이네요. 두부가 떨어져 다시 만들고 있습니다. 그럼 손으로 두부 만드는 과정을 따라가 볼까요?

고거 재밌네, 손두부 만드는 과정

콩 불리기
 콩 불리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1. 콩 불리기
두부의 맛은 어떤 콩을 쓰느냐가 중요하다죠. 이곳은 여수의 많은 섬에서 자란 콩을 사용한다는군요. 바닷바람을 맞고 자라 맛이 남다르다더군요. 24시간 불립니다.

2. 갈기
옛날에는 맷돌로 갈았지요. 하지만 요즘은 대단위로 해 어림없어 분쇄기를 이용합니다. 물에 불린 콩은 물을 적게 주고 곱게 갑니다. 그리고 더운물을 간 콩에 붓습니다. 그래야 콩물과 비지 분리가 잘됩니다.

갈기와 거르기
 갈기와 거르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3. 거르기
곱게 걸러야 부드러운 두부를 만들 수 있지요. 곱게 간 콩은 천으로 콩물과 비지로 분리합니다. 콩물은 두부를 만들고, 비지는 따로 국 끓일 때 사용합니다.

끓이기.
 끓이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4. 끓이기
미리 물을 끓인 후 콩물과 물을 1:1 비율로 섞어 저으면서 다시 끓입니다. 끓이는 과정에서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데 콩기름 등을 넣으면 거품이 준다 합니다.

손두부 틀.
 손두부 틀.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5. 굳히기와 간수 넣기
두부 만들기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간수 넣기입니다. 간수는 끓은 물을 굳히는 작업입니다. 간수는 3~4회 정도 나눠 넣습니다. 직접 만든 두부는 시장에서 파는 것보다 더 노란빛을 띱니다. 이는 간수에 약품을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끓인 콩물 붓기.
 끓인 콩물 붓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6. 모양내기
맑은 웃물은 따로 보관하여 두부 만든 후 넣어두면 좋습니다. 어느 정도 응고된 콩물을 천을 댄 틀에 붓습니다. 그리고 천을 싸고 누름돌로 눌러 물기를 뺀 다음, 두부가 굳으면 물에 넣고 틀을 빼냅니다.

누르기.
 누르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자른 손두부를 긇였던 물에 넣고 주문에 따라 꺼냅니다.
 자른 손두부를 긇였던 물에 넣고 주문에 따라 꺼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이 과정은 대략 2시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이렇게 따끈따끈한 두부 처음입니다. 대개 식은 두부를 먹었는데 말입니다. 이제 먹어봐야겠죠.

손두부 자르기
 손두부 자르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김치와 파장을 얹어 한 입 쏙~. 와~우, 죽이네요. 바로 이 맛입니다. 여기에 막걸리 한 잔 뺄 수야 없죠? 딱 어울리는 궁합니다. 옛날 어른들 이렇게 많이 드신 이유가 있었네요.

손두부에 양파와 파장, 김치와 먹기.
 손두부에 양파와 파장, 김치와 먹기.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다음과 U포터에도 송고합니다.



태그:#손두부, #백야도, #막걸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