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늘 낮에 지금까지 잘 오지 않던 우편물 하나가 사무실로 배달이 되었다. 발신자는 김태호 경남도지사, 내용물은 낙동강 살리기 리플렛 10장이 함께 들어 있었다. A4 사이즈 1.5배 크기로 모두 8개 단락으로 이루어진 낙동강 살리기는 낙동강 운하 사업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는 홍보 전단지였다. 경남도에 비영리 민간단체에 등록된 시민, 관변단체뿐만 아니라 평소 행정에 우호적인 기관과 단체에까지 일괄적으로 발송한 것으로 보면 적게 잡아도 5만장 정도는 인쇄가 된 것으로 파악된다.

 

경남도가 발행한 홍보전단지에는 첫 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일관되게 낙동강 사업은 운하가 아니라 낙동강을 살리는 사업으로 치장을 하고 있다. 낙동강 살리기 사업에 있어서 최대 역점으로 두는 것은 바로 “과도한 퇴적물을 준설을 통해서 홍수소통 능력”을 증대시킴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단체의 주장은 다르다. 마창진 환경운동연합은 “홍수로 인한 범람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홍수를 예방하려면 4대강이 아니라 상류의 소하천·지방하천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남도가 운하 사업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서 새로운 아젠다를 마련한 것이 바로 낙동강 갈리기다. 운하 사업은 '초딩'들도 반대를 하는 통해 운하 이름을 가지고서는 정면 돌파하기가 사실상 어렵다는 판단하에 ‘살리기’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논리다. 과연 김태호 지사가 주장하는 것처럼 낙동강이 죽었는지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낙동강이 죽었다면 살리는 것이 옳은 일일 것이고, 살아 있다면 당장 사업 명칭부터 바꾸어야 맞는 것이다.

 

최근 부산시에 의하면 갈수기인 현재 낙동강 하류 물금취수원 원수수질이 BOD 1,2PPM으로 나타나 놀라워하면서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김태호 지사의 낙동강에 대한 진단은 잘못되었고, 낙동강을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것으로 보인다.

 

경남 창녕에서 김해까지 4개 지구에 제방보강과 하도정비 사업비로 약 1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것이 경남도의 복안이다. 제강 보강이 홍수 예방에 효과가 없다는 것은 이미 정부에서도 인정을 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6년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통해 제방위주로 추진되어온 치수정책을 탈피하고 천변저류지 복원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박창근 교수는 "상류에 홍수가 난다고 제방을 쌓고 나면 그 다음은 하류에 그 피해가 전가되어 피해가 확대재생산되므로 제방이 근본적 치수대책"이 못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경남도는 느닷없이 살아 있는 낙동강을 죽은 강으로 취급하면서 천문학적인 돈으로 삽질 공사를 하겠다는 것이다. 제방을 쌓는다고 해서 홍수 피해를 줄일 수 없다는 전문가의 의견은 묵살한 채 일방통행 방식으로 가고 있다.

 

경남도민마저 설득할 능력이 없다면 '낙동강 살리기'사업은 명분이 없다. 도지사마저 자신이 없는 사업을 어떻게 7조 6천억원을 들여서 사업을 하겠다는 것인지 의문이 간다.


태그:#낙동강 홍수, #박창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