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바탕 멋들어진 판이 벌어지는 동안 원작자 차범석이 희곡 <산불>에 녹이려했던 고뇌의 흔적들을 찾아 헤맸지만, 좀처럼 찾기 힘들었다. 아쉽지만 연출가 김현탁이 재구성한 <산불>에는 무성의한 성(性)적 오브제만 넘쳐났다.

 

야시시한 네글리제를 입은 배우들은 어깨와 허벅다리를 훤하게 드러낸 채 맨발로 무대 위를 정신없이 뛰어다닌다. 잔 근육을 뽐내는 남자 배우가 웃옷을 벗어던지고 엷은 신음 소리를 내며 몸을 조금씩 비틀면, 새하얀 조명은 한 발짝 물러나 수줍은 그림자를 만들어낸다. 이를 바라보는 관객들은 당연히 즐거워야하는데, 연극을 보는 내내 마음이 불편하다. 여기엔 분명 이유가 있다.

 

'불(不)친절'한 현탁씨

 

"뭔 소리야?" "대체 무슨 얘기인 줄 모르겠다" "어렵다" 연극을 보고난 뒤 많은 관객들은 이렇게 소감을 밝혔다. 종합해보면, 결국 "말하고 싶은 주제가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유는 차범석의 희곡과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차범석의 <산불>은 한국전쟁이 한창인 1950년 대 초반, 인적이 뜸한 지리산 깊은 산골에 위치한 P부락을 배경으로 한다. 이곳에는 남자가 없다. 전쟁 통에 아들과 남편을 잃은 한 많은 아낙네들만 있을 뿐이다.

 

사건을 이끌어가는 여성들은 젊은 과부들. 며느리인 점례는 스물여덟, 사월은 스물여섯 살이다. 젊은 나이에 시어머니를 모시고 홀로 사는 젊고 아름다운 여성들이다. 인적이 거의 없는 깊은 산골, 밥 한 끼 제대로 챙겨 먹기 힘든 시절인데, 그 곁에 남자까지 없다. 그 삶이 얼마나 힘들었을까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다.

 

이런 상황에서, 공비들의 추적을 피하다 다리를 다친 규복이 마을에 찾아온다. 그토록 기다렸던 남자다. 점례와 사월이 규복에게 광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반면 김현탁이 연출한 <산불>은 너무나 '불친절'하다. 이 모든 내용이 무대 왼쪽에 설치된 스크린에 5~6초 동안 글자 몇 개 보여주는 것으로 끝났다. 특히 화면 크기도 작아, 무대 왼쪽 끝부분이나, 오른쪽 모서리 쪽에 앉은 사람들은 잘 보이지도 않았다. 사정이 이런데도, 작품 소개 글에서는 "원작을 보지 않아도 된다"라는 설명이 곁들여 있었다.

 

"원작 스토리는 최소화했다"고 한 것은 거짓에 가깝다. 실제 연극 기본 뼈대는 원작과 크게 다르지 않아, 내용을 아는 사람은 훨씬 이해하기 편하다. 이 탓에 관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던 배우들의 연기만 빛이 바랬다. 너무나 안타깝게도.

 

화려하지만 위험한 장치들

 

연극 중반이 지날 무렵, 무대 위에서 계란 한 판 정도를 아래로 떨어뜨린다. 누렇고, 끈끈한 액체가 남성의 정액을 연상케 하는 소재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무대가 바뀌면서 깨진 계란을 조금 치우기는 하지만, 시간 상 한계 때문에 바닥에 끝날 때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연극이 끝날 때까지 그 상태 그대로다.

 

 

앙상한 철제 침대 위해 여자 배우를 태운 채, 남자 배우가 세차게 돌리는 장면에선 혹 미끄러지지 않을까 마음이 조마조마하다. 실제로 무대 인사를 하러 나올 무렵, 한 여자 배우가 계란에 발이 미끄러져 넘어질 뻔했다. 극 후반에 고기를 굽는 장면에서도 불필요한 불꽃쇼는 다시금 마음을 졸이게 한다. 옆에 놓인 소화기가 보이긴 했지만 말이다.

 

눈살 찌푸리게 하는 공연 운영

 

연극도 예정된 시간을 무려 20여 분 넘게 보낸 뒤 시작해, 관객들에게 빈축을 샀다. 지난달 27일, 오후 8시 공연을 보러 15분 전쯤 도착해 자리에 앉았다. 10분 뒤, 공연 시간이 다 됐는데도, 빈 자리가 꽤 많았다. 특히 제일 가운데 있는 좌석들만 비어있었다.

 

오후 8시 10분. 시작 시간이 지났는데, 공연은 도무지 시작하려 들지 않았다. 그때까지도 "공연이 늦어져 죄송하다"는 안내 방송도 없었다. 극장 관계자로 보이는 남자 한 명이 돌아다니며 지정된 좌석에 앉았는지를 확인하고 다닐 뿐이었다.

 

20분 뒤 쯤, 출입구서 나이든 사람 몇몇과, 대학생들 여럿이 몰려와 빈 좌석을 채웠다. 그 뒤에도 관객들을 계속 들어왔고, 대부분 어린 학생들처럼 보였다.

 

이에 대해 한 관람객은 "좋은 자리를 맡으려고 일찍 왔는데 잘 보이지도 않은 구석자리를 주고, 게다가 공연 시간이 30분이 다 지났는데도 시작도 안 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얼굴을 붉혔다. 공연은 대학로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센터에서 열렸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블로그(goster.egloos.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산불, #김현탁, #리뷰, #연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입이 있어도 말을 못하는 내가 밉습니다. 화가 나도 속으로만 삭여야 하는 내가 너무나 바보 같습니다. 돈이, 백이, 직장이 뭔데, 사람을 이리 비참하게 만드는 지 정말 화가 납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안타까운 '클리셰'의 향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