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화연대 부설 ㈔문화사회연구소가 2008 문화사회 아카데미 동계강좌를 1월 7일부터 2월 27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크게 '교양강좌'와 '이론강좌'로 나뉘어진다. 먼저 교양 강좌는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제는 일상 생활 중심의 문화교육 체계로 나아가자는 선언적 의미"를 담고 있는 강좌다.

 

'세대 공감, 문화로 소통하기'를 주제로 한국 대중문화 지형, 우리 시대 문화와 대중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홍세화 한겨레신문 기획위원, 진중권 중앙대 겸임교수 등 이름이 먼저 눈에 띈다. 강내희 중앙대 영문학과 교수의 '입시교육에서 문화교육으로' 강좌도 살펴볼 대목. 개강은 1월 9일이다.

 

'문화사회란 무엇인가'라는 큰 물음을 풀어 보기 위해 열리는 이론 1강좌는 1월 7일 개강한다. 심광현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의 '새로운 사회구성체론으로서 문화사회론'으로 첫 질문을 열게 된다. 강내희 중앙대 영문학과 교수, 이득재 효성 가톨릭대 노문학과 교수는 '코뮌주의'를 조명한다.

 

이론2 강좌 주인공은 프랑스 철학자 들뢰즈다. '들뢰즈와 그의 철학자들'을 주제로 칸트, 스피노자, 니체, 푸코 등 철학자들의 사유를 고찰하게 된다. 칸트의 비판 철학,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등을 '들뢰즈의 거울'을 통해 살펴 볼 예정이다. 개강은 1월 16일.

 

문화사회연구소 측은 "그동안 제도 개혁과 현장 운동들이 중심이 되다 보니 이론적 담론들이 구체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면서 "이제까지 연구소가 축적한 문화사회라는 담론을 앞으로 전문적인 강좌를 통해 체계화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이번 동계 강좌는 문화연대 문화사회 아카데미 강의실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다음은 동계강좌 프로그램, 자세한 내용은 문화사회연구소 홈페이지(www.kccs.or.kr)

 

[이론 1] 문화사회란 무엇인가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제1강(01/07) : 새로운 사회구성체론, 문화사회론 / 심광현(한국예술종합학교영상원 교수) 제2강(01/14) : 코뮌주의와 문화사회 / 강내희(중앙대 영문학과 교수)
제3강(01/21) : 문화사회론 논쟁들 / 이득재(효성가톨릭대 노문학과 교수)
제4강(01/28) : 문화사회와 다중 / 김성일(문화사회연구소 상임연구원)
제5강(02/11) : 문화사회와 노동 / 강수돌(고려대 경영학과 교수)
제6강(02/18) : 생태문화네트워크 문화운동 /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이론 2] 들뢰즈와 그의 철학자들
들뢰즈의 거울로 보는 철학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제1강(01/16) : 칸트의 비판철학 / 심광현(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제2강(01/23) :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 진태원(서울대 강사)
제3강(01/30) : 라이프니츠-주름과 바로크 / 배선복(숭실대 강사)
제4강(02/13) : 니체와 철학 / 김경수(한신대 연구교수)
제5강(02/20) : 베르그송과 베르그송주의 / 황수영(철학아카데미 강사)
제6강(02/27) : 들뢰즈의 푸코-고고학에서 다이아그램 / 심세광(성균관대 철학과 강사)

 

[교사·학부모를 위한 문화 및 인문 교양 강좌]
세대공감, 문화로 소통하기 (매주 수요일, 오후 3시)

 

제1강(01/09) : 텍스트로 철학하기 : 지식과 소통 / 김용석(영산대 학부대학 교수)
제2강(01/16) : 한국에 지성과 교양은 있는가 / 홍세화(한겨레신문 기획위원)
제3강(01/23) : 한국 대중문화의 지형들 / 김창남(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제4강(01/30) : 우리 시대의 문화와 대중 / 진중권(중앙대 겸임교수, 문화평론가)
제5강(02/13) : 문화세계화와 문화다양성의 함의들 /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제6강(02/20) : 입시교육에서 문화교육으로 / 강내희(중앙대 영문학과 교수)


태그:#강좌, #문화사회연구소, #문화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