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민주당과 통합신당모임 소속 의원들은 지난 13일 오후 국회에서 '중도개혁통합 신당추진협의회' 첫 회의를 열었다. 이낙연 민주당 부대표, 고재덕 민주당 부대표, 이강래 신당모임 추진위원장, 박상천 민주당 대표, 최용규 신당모임 원내대표, 김효석 민주당 원내대표, 조일현 신당모임 의원 등이 손을 잡고 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흐름이 빨라지고 있다. 통합신당모임과 민주당이,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천정배 의원이 각각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경향도 뚜렷하다. 통합신당모임과 민주당이 추진하는 통합은 사실상 '지역기반 회복'을 목표로 한다. 김 전 의장과 천 의원이 모색하는 통합은 '개혁 색채 강화'의 시도다.

길이 다르다. 그래서 이들이 모색하는 통합의 실체는 '소통합'이며, 그 전제는 '분열'이다.

스스로 그렇게 말한다. "그들만의 특권을 위한 소통합은 안 된다"고, 또 "지역문제를 빼놓고 대선을 준비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사고"라고. 자기 노선은 옳고 상대 노선은 글렀다는 주장이다.

'통합신당모임+민주당' : '김근태+천정배'

그렇다고 대통합이 물 건너갔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마지막 방법이 남아있다. 선거연합, 즉 후보단일화다. 세력은 독자적으로 꾸리되 대선은 공동전선을 구축해 치르는 방안이다.

이렇게 보면 소통합은 선거연합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고지 선점을 위한 전초전쯤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어차피 걸을 수밖에 없는 길이라는 얘기다.

분명히 하자. '걸을 수밖에 없는 길'이라고 해서 탄탄대로를 뜻하는 건 아니다. 알면서도 가시밭길로 걸음을 떼는 경우가 있다. 작금의 범여권 현실을 보면 그럴 가능성이 오히려 더 크다.

'지역통합파'와 '개혁통합파' 모두가 갖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유력 후보가 없다는 점이다. 바로 이 문제가 방정식을 2차에서 3차로 끌어올린다.

유력 후보 부재는 두 개의 상반된 현상을 낳는다. 소통합을 촉진하면서도 소통합의 한계를 설정한다.

유력 후보가 없으면 영입해야 하고, 그러려면 레드 카펫을 깔지 않을 수 없다. 세력을 키워야 한다는 얘기다. 바로 이 점이 소통합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레드 카펫을 깔았는데도 유력 후보가 밟을 생각을 하지 않을 때가 문제다. 그럼 먼지만 쌓인다.

운명은 외부 유력 후보 손에

▲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
ⓒ 오마이뉴스 남소연·이종호
상황은 의외로 단순하다. '지역통합파'와 '개혁통합파'의 운명은 외부 유력 후보의 선택에 달려있다.

전망도 예상외로 싱겁다. 영입 대상이 되는 외부 후보는 손사래를 친다.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은 "대선 출마를 하게 된다면 내가 깃발을 꽂고 뜻을 같이 하는 사람이 오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했다. 들어가는 게 아니라 끌어들이겠다는 얘기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도 '지역통합파'나 '개혁통합파' 모두와 거리를 두고 밖으로 빙빙 돌고 있다. '지역통합파'나 '개혁통합파' 모두 자칫하다간 멋쩍은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평가절하한 면이 있다. '지역통합파'와 '개혁통합파'의 저력을 얕본 측면이 있다. 이들이라고 해서 자력갱생하지 말란 법은 없다. 지역통합 또는 개혁통합 움직임이 국민 지지를 획득하면 자체 후보를 낼 수 있다.

소통합 움직임을 주도하는 몇몇 정치인 역시 아직 대권 꿈을 접지 않았다. 세력을 키우기 위해 시동을 건 각개약진이 '못 먹어도 고'로 내달릴 가능성은 분명히 있다.

정말 그럴 수 있을까? 이들이 국민 지지를 획득해서 자파 중심으로 대통합을 이룰 수 있을까?

대선을 코앞에 두고서야 최종 판단이 가능한 일을 지금 짚는 건 무리다. 다만 이 점만 확인하자. '지역통합파'와 '개혁통합파' 모두 가까운 시일에 시험대에 오를 것 같다.

지역기반 회복을 목표로 하는 '지역통합파'에겐 전남 무안·신안에서 눈을 뗄 수가 없다. 이곳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 홍업씨가 도덕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성에 기대 출마한 재보선 지역구다. 이 곳의 투표 결과에 따라 지역기반 회복 전략의 앞날을 어느 정도는 예측해볼 수 있을 것이다.

'개혁통합파'에겐 친노그룹과의 격돌이 예정돼 있다.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안희정 씨 등이 주축이 된 '참여정부 평가포럼'이 오는 27일 발족한다. 이들이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모색할 것이란 분석이 적지 않지만 그건 두고 볼 일이다.

새로운 변수, '참여정부 평가포럼'

지금 단계에서 주목할 점은 이들이 내세우는 발족 명분이다. 참여정부의 공과를 놓고 정책토론회나 외부 강연을 활발하게 펼칠 계획이라고 한다. 이들이 '참여정부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역설하면 할수록 '개혁통합파'와의 충돌은 잦아진다.

'개혁통합파'의 개혁 프레임은 새롭지 않다. 대개가 참여정부 4년을 거치면서 형성된 정책 줄기에 대해 찬반을 분명히 하는 선에 머물고 있다. 참여정부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자신들이 개혁성향을 각인시키려 한다. '참여정부 평가포럼'이 이런 시도를 두 눈 멀쩡히 뜨고 지켜볼 리는 만무하다.

'참여정부 평가포럼'과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개혁통합파'에 득이 될까 실이 될까? 이벤트 효과만 놓고 보면 나쁠 게 없다. 국민 관심을 집중시키는 데 그만한 이벤트도 없다. 문제는 공력이다. 참여정부 요직을 두루 거쳐 정책 정보와 자료가 풍부한 '참여정부 평가포럼'의 반격을 막아낼 정도로 '개혁통합파'가 뒷심을 발휘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상황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두 개의 소통합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안개를 일부 걷어준 면이 있지만 이 역시 제한적이다. 십리무중을 오리무중으로 줄였을 뿐이다.

태그:#대선, #통합신당, #범여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