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5년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70년이다. 제2차 세계대전은 열강의 각축전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열강은 전승국(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등)이면서 패전국(일본, 독일, 이탈리아)이다. 열강끼리 현상유지 세력과 현상타파 세력으로 나뉘어 전쟁을 치렀다. 당시의 약소국·소수민족은, 이 전쟁의 무고한 희생자였다. 제2차 세계대전은 또한 국가 총동원 체제로 저질러진 총력전이었다. 열강들은 승리를 위해 국가 총동원 체제로 임했기에, 당시에 저질러진 온갖 만행은 국가적 책임이며 따라서 국가에 그 책임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승국은 전리품을 챙기면서 패전국에 국제재판을 통해 전범 국가로서의 전쟁책임을 요구했다. 뉘른베르크 국제재판과 극동 국제군사재판(일명 도쿄재판)이 그것이다. 여기서 전승국은 전쟁책임을 패전국에 전가한다. 약소국·소수 민족에게 전승국은 은총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전쟁의 잔학성을 생각할 때, 열강의 당사자가 아닌 약소국·소수 민족에게 제2차 세계대전은 재앙이었다. 따라서 그 책임은 사실 패전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승국에도 있다. 열강 모두에게 전쟁책임은 있다. 즉 전쟁발발에 대한 책임이 패전국에 있다면 전후 책임은 전승국에도 있는 것이다.

종전 70년이 되는 2015년, 질서는 바뀌었고 열강 사이의 연대와 연합은 새로운 그림을 그렸다. 미국, 독일, 일본은 한배를 타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문제'를 되짚어봐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여전히 열강이 아닌 약소국·소수민족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학살과 강제동원, 약탈과 착취의 대상이었고 재앙의 당사자였다. 여기서 전승국의 자만은 비열함이 된다. 약소국·소수민족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패전국의 피해의식은 사치가 된다. 약소국·소수민족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전승국도 패전국도 아닌 약소국·소수민족의 재앙은 현재 진행형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재난과 잔학의 기억은 약소국·소수민족뿐 아니라 인류의 양심에 고통을 강요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는, 열강제국(가해자)과 약소국·소수민족(피해자)의 자존감을 훼손했다. 인류양심은 더 이상의 전쟁을 거부한다. 가해자는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에 대한 가책과 함께 수치를 느껴야 한다. 가해자는 전쟁책임과 함께 전후 책임을 동시에 해결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인류의 도덕과 양심의 푯대는 이 지점이다. 법적 해결 혹은 정치적 해결은 낮은 차원의 해결이다. 아시아에서의 일본과 피해국들, 유럽에서의 독일과 피해국들은 물론이고 전승국도 오직 학살과 만행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억하고, 그에 근거해서 미래를 설계해야 한다. 그 설계도에는 전쟁책임과 전후 책임이 동시에 그려져야 한다.

종전 70년, 패전국의 전쟁책임과 열강제국의 전후 책임이 인류양심에 기초해서 이루어져야만 미래를 위한 평화와 협력은 가능할 것이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을 잊고자 하는 미국과 일본은 불편한 진실을 인정해야 한다. 동시에 정직한 자기 성찰이 인류공존을 위한 도덕적 명령임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한국은 열강(미국과 일본)의 피해자였다. 민족분단은 거기서 기인했고, 한국전쟁의 뿌리도 그 지점이었다. 역사에 대해 한국/한국인도 자기비판에 철저하고 겸허해야 함은 당연하다.


태그:#종전 70년, #불편한 진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프로필 이미지는 이글거리는 태양입니다. 글쓴이는 뜨겁게 살아가는 자를 응원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