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파사산성 정상에서 서북쪽으로 정상을 지르는 길이 있다. 성에서 내려와 능선 길을 따라 조금 가다가 보면, 마애불이 80m 거리에 있음을 알려준다. 밑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내려가면 산 정상 밑에 거대한 바위가 보인다. 이 바위를 인위적으로 깎아 마애불을 선각하였다. 상자포리 마애여래입상은 양평군 개군면 상자포리 36-1에 소재하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선각을 한 마애불은 고려 시대의 특징인 거대마애불이다. 인위적으로 깎아 만든 수직절벽에 높이 5.5m 정도의 큰 마애여래입상을 선각했다. 희미하지만 그 모습은 당당하다. 거대마애불들 중에는 규모가 커서 비례가 안맞는 경우도 있지만, 상자포리 마애불은 규모가 큰데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규모가 알맞다.

 

마애불은 이중의 두광을 갖추고 있으며 어깨부문이 각이 져서 당당해 보인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법의를 걸치고, 연꽃 대좌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선각이 되었다.

 

얼굴은 사각형이다. 어깨까지 늘어진 귀와 큰 눈과 코, 그리고 입등 거대 마애불답게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며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팔꿈치가 각이 되게 가슴 앞에 두었으나, 왼손은 마모가 되어 알아보기가 힘들다. 이러한 표현은 보물 제822호인 이천 설봉산 영월암 마애불과도 같은 표현기법이다. 이런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선각을 한 마애불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비바람에 씻겨 점차 그 형태를 알아보기가 힘들다. 상자포리 마애불의 경우에도 선각을 한 선들이 많이 희미해졌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돌에 새겨 놓았으니, 점차 사라져갈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런 선각 마애불들을 보존할 수 있는 대책이 하루 빨리 서야 한다고 느끼는 것은 당연한 것인가도 모른다.
 
어린 소녀가 열심히 마애불을 향해 절을 한다. 무슨 기원을 하고 있을까? 주말과 휴일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는 상자포리 마애불. 마애불의 동쪽 바위 틈에서는 맑은 물이 솟아나온다.
 

목도 마르고 날도 더운지라 바가지에 떠서 한 모금을 마신다. 속이 시원하다. 저 아래 내려다보이는 남한강 물줄기가 오후의 햇살을 받아 유난히 반짝인다. 상자포리 마애불의 주변에서는 기와조각이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도 절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점차 희미해져가는 선각 마애여래입상을 보면서, 얼마간의 시간이 더 흐르면 그저 바위 벽만 남아있지나 않을까 걱정이 된다. 문화재로 지정된 많은 마애불들이 점차 사라져가는데도 속수무책이다. 자연적인 풍화를 막을 수는 없는 것일까? 언제 또 다시 찾아올 줄 모르는 마애불을 향해 고개를 숙인다. 저 아래 흐르는 남한강이, 생명의 강이 될 수 있도록 보호해 달라는 속마음과 함께.          
 
▲ 상자포리 마애여래입상 바위를 인위적으로 깎아서 선각을 한 고려시대의 거대마애불이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마애여래입상은 선각을 한 선이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많이 마모가 되었다. 보존책이 시급하다는 것을 느낀다.
ⓒ 하주성

관련영상보기


태그:#마애여래입상, #고려, #선각, #양평, #유형문화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