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보물 제165호를 알리는 오죽헌의 표석
ⓒ 변종만
신사임당은 조선시대 현모양처의 본보기가 되는 인물로 뛰어난 여류 예술가였고, 아들 이이를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훌륭한 학자로 키웠다.

이이는 13세에 진사 초시에 합격하고, 생원시와 식년문과에 급제하는 등 아홉 차례 과거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 일컫는다. 황해도 관찰사, 대사헌, 이조ㆍ형조ㆍ병조판서를 역임하며 기호학파를 만들었고 붕당 조정은 물론 10만군대의 양병을 주장할 만큼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도 뛰어났다.

▲ 오죽헌 입구 풍경
ⓒ 변종만
▲ 오죽헌 외부 풍경
ⓒ 변종만
강릉시 죽헌동에 있는 오죽헌(烏竹軒)은 입구에 연못이 있는 초충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경치가 아름답다. 자경문을 들어서면 오죽헌과 문성사가 맞이한다. 오죽헌은 신사임당(1504∼1551)과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유서 깊은 집이다.

▲ 몽룡실이 있는 오죽헌
ⓒ 변종만
오죽헌(보물 제165호)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맞배지붕 양식으로 문신이었던 최치운이 지었다. 이이가 출생하던 날 신사임당이 흑룡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 들어와 서리는 꿈을 꿔 아명을 현룡이라 하고 산실을 몽룡실이라 했다.

율곡 이이가 태어난 몽룡실은 조선 전기 민가의 별당에 해당하는 건축물로 4면을 굵은 댓돌로 높이고 그 위에 자연석의 초석을 배치하여 네모기둥을 세웠다. 우리나라 주택 건축물 중에서 비교적 오래된 건물로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문화재이다.

▲ 위 - 문성사, 아래 - 문성사에 모신 율곡의 영정
ⓒ 변종만

▲ 오죽헌에 있는 나무들
ⓒ 변종만


경내에는 오죽헌을 비롯하여 문성사(文成祠), 사랑채, 어제각, 율곡 기념관, 강릉 시립박물관 등이 있다. 문성사는 율곡 이이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시호를 따서 문성사라 이름 지어졌고 현판은 박정희 전대통령이 직접 쓴 글씨다. 어제각과 안채도 복원된 건물이다. 신사임당과 율곡이 아꼈다는 배롱나무(목백일홍)와 매화가 이곳에 있는데 모두 수령이 600년이 넘었고 배롱나무는 강릉 시화로 지정되었다.

장자 우선이던 조선 후기의 상속제와 달리 조선 전기는 모든 자녀들에게 재산이 고루 분배되고 부부간에도 상속받은 재산을 따로 관리했다. 몽룡실 옆에 자라고 있는 오죽에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전해진다.

사임당의 어머니 이씨는 다섯 딸에게 재산을 물려주면서 둘째 딸의 아들 율곡 이이에게는 조상의 제사를 받들라는 조건으로 서울 수진방 기와집 한 채와 전답을, 넷째 딸의 아들 권처균에게는 묘소를 보살피라는 조건으로 기와집과 전답을 주었는데 권처균은 외할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집 주위에 까마귀와 같은 검은 대나무가 무성한 것을 보고 자신의 호를 오죽헌이라고 했으며 그것이 오늘날의 오죽헌이 되었다.

▲ 안채와 바깥채
ⓒ 변종만


오죽헌과 오죽 사이로 난 길로 들어서면 안채와 바깥채가 있다. 안채는 안주인이 생활하던 곳이고 바깥채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던 곳이다.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새겨 놓은 주련이 바깥채의 툇마루 기둥에 걸려 있다.

▲ 위 - 어제각, 아래 - 어제각에 있는 벼루 등 소장품
ⓒ 변종만


오죽헌의 가장 왼편에 있는 어제각은 원래 문성사 자리에 있었다. 1788년 정조임금이 벼루와 격몽요결을 궁궐로 가져오게 해 친히 벼루 뒷면에는 율곡의 위대함을 찬양한 글을 새기고 책에는 머릿글을 지어 돌려보냈다. 어제각은 당시 임금의 명을 받은 강원도관찰사가 보물 제602호인 격몽요결과 어린시절 사용했던 벼루를 보관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현재 격몽요결 원본은 강릉시립박물관에 있다.

▲ 위 - 율곡기념관, 아래 - 초충도
ⓒ 변종만


율곡기념관에는 풀과 벌레를 생동감있게 묘사한 초충도를 비롯해 신사임당과 맏딸 매창, 셋째 아들 율곡, 막내 아들 옥산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기념관 앞에 오천원짜리 지폐의 배경이 되는 오죽헌의 모습을 그대로 촬영할 수 있는 장소가 표시되어 있다. 상주하고 있는 문화유산 해설사를 만나면 오죽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늙으신 어머니를 고향에 홀로 두고/ 홀로 한양으로 떠나는 외로운 이내 마음/ 돌아보니 북촌마을은 아득하니 멀고/ 해 저문 산에 흰 구름만 흐르네'

연로하신 시어머니를 만나러 서울로 가는 길, 첫 번째 고갯마루에서 고향집 강릉에 홀로계신 친정어머니를 생각하며 읊조린 시 한수에 마음이 아련해진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미디어다음과 e조은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일상은 물론 전국의 문화재와 관광지에 관한 사진과 여행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