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하이닉스 반도체가 내년초까지 이천공장 증설을 정부에 요구했다. 그렇치 않을 경우 하이닉스의 기존 공장까지 모두 중국으로 옮길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김문수 경기지사는 밝혔다.

이는 당초 하이닉스 1,2라인 공장을 이천이 아닌 청주 등 비수도권 지역에 증설키로 한 정부의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돼 파란이 일 전망이다.

하이닉스측은 5일 오후 김지사와 경기도내 한나라당 의원 11명이 이천공장을 방문해 가진 비공개 대책회의에서 "우리에겐 이천공장 증설이 매우 중요하다.내년초까지 공장증설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김지사는 전했다.

김지사등 참석자들에 따르면 하이닉스측은"이천공장은 연구·개발(R&D) 시설과 머더팹(시험동)을 갖추고 있어 차일드팹(양산동)만 증설하면 되지만 다른 곳은 입지조성에 3년이 더 걸린다"며 "다른 곳으로 갈 경우 투자비용도 8700억원이 더 들고 첨단산업에 적합한 인력충원도 어렵다"고 밝혔다.

@BRI@하이닉스측은 구리문제와 관련, "구리공정 도입은 불가피하다.하이닉스는 구리배출기준치를 9ppb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저감기술을 충분히 갖췄다"며 정부의 구리배출로 인한 환경문제 제기를 일축했다.

하이닉스측은 이어 "앞으로 기존 알루미늄공정을 구리공정으로 바꿀수 밖에 없다. 따라서 구리배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기존 이천공장도 중국 등지로 이전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비공개 회의에는 김 지사와 이규택 심재철 박찬숙 김애실 이계경 배일도 정진섭 차명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하이닉스측에서는 오춘식 부사장을 비롯한 임원진이 나왔다.

이에앞서 참석의원들은 "정부의 이천공장 증설불허는 구리배출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논리에 의한 결정 "이라며 하이닉스측의 확실한 입장과 대응을 주문했다.

이날 현장에는 이화여대 박석순 교수, 공주대 김이형 교수 등 환경전문가 3명이 참석해 환경부 구리배출 규제의 불합리성을 집중적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이들은 "생태계에 대한 규제없이 먹는 물에만 규제하는 것 자체가 불합리하다"며 "오히려 소규모 난개발이 환경에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도내 국회의원들은 이날 이천공장을 방문한데 이어 오는 9일에는 '하이닉스공장증설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를 열 계획이다.

특히 비상대책위원회는 2월경 광화문 등 서울도심에서 '하이닉스 이천공장증설'를 요구하는 대규모 궐기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정부와 심한 마찰이 예상된다.

경기도의회도 도내 경제단체연합회와 공동으로 정부의 하이닉스 반도체 이천공장 증설 촉구를 위한 시.군별 서명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앞서 차명진 의원등은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구리배출기준 완화 등 수질환경 보전법 개정을 위해 공청회를 열어 각계 전문가들의 여론을 수렴하는 등 이천공잘 증설을 위한 국회차원의 여론형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