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비빌 때마다 힘을 덜어주던 나무 빨래판.
ⓒ 한미숙
일기예보에서는 지난주에 장마가 끝난다고 했다. 하지만 어제오늘, 하늘은 잔뜩 비를 품고 있다가 갑자기 쏟아지기도 하고 잠깐씩 해가 발끈 났다가는 다시 흐린다. 끈끈한 날씨에 하루라도 씻지 않으면 제대로 잠을 이룰 수도 없다.

끈적끈적한 요즘 같은 날씨에 식구들 속옷은 날마다 빨래통에 쌓이고 세탁기도 덩달아 바빠지며 덜컹덜컹 돌아간다. 땀이 밴 속옷이나 양말은 모아둘 수가 없어 손빨래를 한다. 그럴 때 내 힘을 덜어주는 빨래판이 새삼 고맙다. 화장실에 들여놓고 쓰다가 가끔 베란다 창가에 세워놓고 말려서 다시 쓰곤 하는데 가만 생각하니 이 나무 빨래판이 솔찮게 나이를 먹었다. 나이배기로 치면 할아버지뻘로 빨래판 '옹'이다.

결혼하고 시집에 온 그 다음날부터 나와 함께 한 빨래판. 큰애가 지금 고3이고, 시어머니가 써 왔던 물건이라 족히 20년이 넘었다. 무슨 나무로 만든 것인지는 모른다. 빨래판은 물에 젖어 판판해졌다가 햇빛을 받으면 살짝 휘어지기도 한다. 나무의 성질이 물기를 먹었다가 내뿜으니 그럴 것이지만 '아직도 나는 열심히 움직일 수 있다'고 말하는 것 같다.

▲ 물에 젖었던 빨래판은 베란다에서 시원한 바람을 만나기도 한다.
ⓒ 한미숙
'이쁜' 20대에 만나 귀밑머리 희끗한 흰머리가 눈에 띄기 시작하는 40대 중년이 되기까지 나와 함께 한 빨래판 '옹'은, 역시나 세월은 피할 수 없어 빨래로 비벼진 가운뎃 부분은 골이 무뎌지고 아래위로 금이 쩍쩍 갈라졌다. 테두리는 닳고 닳아 저절로 부드러워지고, 이제는 그나마 남아있는 손이 덜 가는 곳에 몇 개의 골만 남아있다. 뾰족하게 날이 서고 괜한 일에 투정이 많았던 나도 빨래판처럼 어지간히 무뎌졌다.

마트에 가면 바닥에 착 달라붙는 고무 빨래판도 있다. 가볍기는 그만이고 색깔도 다양하다. 하지만, 아직 이 나무 빨래판은 우리 식구를 떠날 마음이 없는 것 같다. 시어머니가 올해로 구십이시다. 가끔 우리 집에 오시면 당신이 썼던 물건을 지금도 쓰고 있는 며느리가 기특한지 꼭 한마디 하신다.

"저걸 내버리지두 않구 안즉도 쓰고 있네!"

▲ 세월따라 날카롭게 각이졌던 곳이 많이도 부드러워졌다.
ⓒ 한미숙
주름으로 쪼글쪼글한 어머니의 흐뭇한 표정이 올해도 내년에도 그 다음해에도 나는 보고 싶다. 어머니 손등 같은 빨래판 '옹선생'은 오늘도 바닥에서 나를 바라본다.

덧붙이는 글 | SBS U포터에도 보냅니다.


태그:#빨래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간에게 가면을 줘보게, 그럼 진실을 말하게 될 테니까. 오스카와일드<거짓의 쇠락>p182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